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41&local_id=10086196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력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력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손승현(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449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읽기는 학교 학습의 기본이며, 학업 성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학습 수단이다. 어휘는 ‘읽기를 위한 학습’과 ‘학습을 위한 읽기’에 모든 포함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어휘를 이해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글을 이해하고 폭넓은 목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휘에 어려움을 보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제한된 어휘력으로 단어 자체를 이해하거나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이러한 어려움은 읽기와 관련된 전반적인 언어활동에 문제를 나타내며 다른 과목 영역의 학업 성취에도 심각한 제한성을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어휘와 관련된 부분들이 거의 측정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에게 어휘를 구축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회조차 제공하지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중심 어휘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학생들에게 질 높은 어휘 중재를 제공하고 개개인의 진전도를 점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반교육과정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고 학업적 실패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1차년도 목적은 어휘 영역에서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교 육과정중심 어휘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예비 검사를 통해 문항 적합도와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93명의 학생 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항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Rasch 모형을 사용하였으 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적문항신뢰도와 탐색적요인분석과 피어슨상관관 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중심 어휘평가의 문항 적합도 와 난이도는 위험군 학생들을 선별하는 데 적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차년도의 목적은 읽기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에게 어휘 영역에서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한 뒤 그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초등학교 2,3학년 학생 400명에게 총 12주간 어휘 중재를 실시하였다. Tier 1단계에서는 어휘 중재를 실시하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로 주 1회, 총 4회의 교육과정기반 어휘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검사 결과 하위 28%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읽기학습장애 위험군으로 선별하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총 8회, 1주일에 2회 어휘 직접교수를 실시하 였다. 연구자는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ier 1과 Tier 2 단계를 시행하면서 모든 학생 들에게 교육과정기반 어휘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휘 중재를 받은 학생들은 Tier 2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어휘 성취를 보였다.
  • 영문
  • Reading is a complex construct made up of several important skills, and vocabulary knowledge has been strongly linked to reading comprehension as a component of learning to read and reading to learn. Struggling students have trouble due to their limited ability to recall information and answer explicit comprehension questions. Vocabulary instruction and effective monitoring of progress for instruction have returned to a place of prominence in the reading curriculum. Instruction is improving vocabulary learning, which might lead to improvements in general comprehension, but the instruments teachers use to measure vocabulary are so insensitive that they prevent us from documenting th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1s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vocabulary CBA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s language curriculum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school. To do this study, vocabulary CBA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roperties of vocabulary CBA were assessed using Rasch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 was confirm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earson r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594 students completed the tests, and results showed promising evidence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the purpose of 2nd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vocabulary intervention within RTI framework for students who are at risk in read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otally 400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2 and 3 as received vocabulary intervention during 12-week. Tier 2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the students who scored were below 28 percentile on CBA vocabulary assessment during 4-week.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students who are experiment group students received Tier 2 vocabulary intervention using direct instruction for eight weeks. And another at risk students who are control group received the general language instruction. Vocabulary CBA assessment is implemented to all students and reported the resul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ier 2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Tier 2 intervention significantly achievement resul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어휘는 일반학생 뿐 아니라 읽기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학생들의 어휘 발달 패턴 및 특성을 파악하도록 한다(김애화, 황민아, 2008; 김애화 외, 2010; 김애화 외, 2011). 또한 학생들의 어휘 특성을 기반으로 교실 내에서 진전도를 파악하는 것은 읽기 학습장애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정대영, 2010). 하지만 국내 어휘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국어교육에서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거나(곽재용, 2004; 김광해, 2003), 읽기능력에 대한 예측도를 살펴보고 있다(김애화 외, 2011; 김애화, 황민아, 2008)이다. 따라서 어휘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으며 어휘 오류 유형을 분석한 연구가 최근에 발표되었을 뿐(김애화 외, 2012), 다른 읽기 영역에 비하여 어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서화자 외, 2011; 이예다나 외, 2012; 전병운 외, 20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이 보이는 어휘처리 특성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중심 어휘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일반교육과정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고 학업적 실패를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년차인 당해 년차에는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검사 문항 개발을 위하여 선별과 중재, 어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측정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였다. 문헌기반을 기반으로 어휘 추출과 검사 유형의 틀을 마련한 뒤 교과서, 교사용 학습 자료를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1,2학년 어휘 100문항을 각각 추출하였다. 2) 어휘 관련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검사 유형을 다섯 개의 유형으로 결정하고 문항을 구성하였다. 3) 본 검사를 실시하기 전 개발된 문항이 적절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 8월-12월에 서울 소재 초등학교 2학년 학생 52명에게 예비검사 및 중재연구를 실시하였다. 4)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의 대략적인 소요 시간과 난이도, 문제점을 파악한 뒤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뒤 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2학년 교사를 모집, 연구에 관심을 보이는 교사에게 연구를 설명한 뒤 학교장의 동의를 얻고,어 2016년 2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 650명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년도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2차년도에는 어휘 중재 수업 스크립트와 차시별 어휘 검사를 개발하였다. 1차년도 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1)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2) 최종 문항 선정 및 중재 스크립트를 개발한 뒤, 2,3학년 학생 400명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3)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중재 스크립트를 적용하였다. 그 뒤 4)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중재 결과 분석을 ANOVA와 회기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표준화된 검사 도구에 비하여 교육과정기반 어휘 평가도구(vocabulary CBM)가 학생들의 수준 향상에 효과적인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생 수행 수준의 변화와 민감성은 HLM을 통해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에서 분석한 1,2학년 학생들의 어휘 특성을 기반으로 2차년도에는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진전도를 분석하였다. 진전도를 기반으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학생들의 어휘 능력 뿐 아니라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최종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교수하는데 있어 1차년도에서 분석한 어휘 특성을 반영한 중재 스크립트를 실제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진전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중재를 통한 교수가 다른 학년 혹은 다른 교과에서 어휘를 위험군 학생들에게 교수하는데 적용하더라도 그 결과가 유의미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본 교육과정중심측정 어휘 검사 도구와 중재가 일반 교육과정 내에서 효과적인 도구인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2차년도의 결과를 토대로 학술지 두 편을 출간하였으며, 2018년까지 한 편 이상 더 출간할 예정이다. 본 연구결과는 어휘 중재를 제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 진전도를 점검함으로서 중재에 대한 반응을 과학적으로 평가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중재 반응모델에 적합한 연구기반교수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탐색하여 단계별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나아가 중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반응을 평가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 과정중심사정 도구를 개발하고 진전도의 규준을 제시하여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규준이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장에서 중재와 평가가 체계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현장교사에 대한 교사 교육과 연수를 제공해야 하며 학문적 전문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지속적으로 수행을 점검하고 교육현장에 적합한 방식으로 협의할 수 있도록 연계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것이다.
  • 색인어
  • 어휘, 교육과정중심 어휘평가, 진단도구, 중재반응모델, 읽기학습장애 위험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