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2979&local_id=10086153
학교폭력 노출 청소년에 대한 진로조망, 심리적 거리두기 상담 프로그램이 반추유형과 분노조절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교폭력 노출 청소년에 대한 진로조망, 심리적 거리두기 상담 프로그램이 반추유형과 분노조절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어윤경(공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659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청소년기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청소년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각 학교에서는 가해학생에 대한 선도조치와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를 하고 있으나 이 중 심리상담 및 심리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고 과정과 심리적 치료과정에 대한 정보나 축적된 연구가 부족하여 교사가 효과적으로 상황에 개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상담기법에 대한 연구자료가 축적되는 것이 시급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과 진로조망 변인에 집중함으로써 학교폭력 노출 이후 진로조망 변인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 밝히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둘째, 진로조망과 심리적 거리두기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셋째,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상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연구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문헌연구를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을 활용한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고,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 측정도구와 분노조절 측정도구, 진로조망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FGI를 통해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또 학교폭력 노출대상자의 심리적 요인의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심리적 변인의 학교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노조절 수준의 변화를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설명하기 위해 HLM(Hierarchical Linear Models)을 적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변화함수를 추정하고 2단계에서는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분석하였다.
    분노조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반추유형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고, 미래조망 능력을 통해 심리적 거리두기 효과를 얻음으로써 학교폭력 노출에 대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탐색하고자 진로조망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쳐 관련 문항을 구성하고 예비조사, 본조사를 거쳐 문항을 선정하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분노조절 수준 측정도구는 점겸구, 한덕웅, 이장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index; 이하 STAI-K)를 참고하고 이송희(2014)의 반추반응척도 문항을 참고하였다.
    학교폭력 개입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전체적으로 Analysis–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 - Evatuation(이하: ADDIE) 단계에 맞추어 개발하였고,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진로조망 능력이 향상되고, 분노조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입 프로그램 개발하여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피드백을 받아 수정ㆍ보완하였다. 학교폭력 상담자 5인을 대상으로 심리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의 개입적 요소를 이끌어 내고자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내용에 반영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support adolescent exposed to school violence in educational psychology. Especiall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 exposed to school violence by clarifying the effects of career perspectives which play a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anger-control variables.
    Recently, adolescent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it is urgent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in adolescents. At each school, there are a lot of the lead and protection actions for student, but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lay an important role.
    However, it is urgent for researchers to accumulate research data on counseling techniques because teachers are not able to intervene effectively. That’s because they don’t have information about students' thinking process and psychological treatment process.
    Based on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goal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focus on career perspectives, so as to investigate how career perspectives variables can be effective after school violence exposure. Second,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using career perspectives . Third, in order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the research goal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through developed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the career perspectives, which plays a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were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 developed the career perspectives tool, the anger adjustment tool and career perspectives intervention program and then supplemented it through expert FGI.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nger control, I developed a tool for measurement of the rumination type and developed a career perspectives tool. After analyzing the experts, the related items were composed and the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anger control level measurement tool is based on the state-trait anger index (STAI-K) developed by the Korean version of Kangwon-do, Han Duk-Woong and Lee Jangho (1997)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
    Evatu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DIE) stage. Several experts opinions was reflected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elucidate the interventional factors of the career perspectiv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교육심리학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노출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교육심리학적 변인으로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과 분노조절 변인의 효과를 밝혀 학교폭력 노출 청소년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청소년기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2년 1월 발표된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자료에 따르면 학교폭력 건수는 연간 6,000~8,000건에 이르는데 이 중 중등학교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건수에서 68.8% 에 이르고 있어 청소년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관계부처합동, 2012). 각 학교에서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구성하여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선도조치와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를 결정한다. 이 중 심리상담 및 심리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고 과정과 심리적 치료과정에 대한 정보나 축적된 연구가 부족하여 학교폭력 피해자와 가해자를 위해 교사가 효과적으로 상황에 대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폭력 노출 당사자들을 심리상담적 측면에서 지원할 때 이들의 심리적 치유과정이나 상담기법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는 것이 시급하고 심리상담적 측면에서 접근 가능한 검증된 기법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심리적 거리두기역할과 진로조망 변인에 집중함으로써 학교폭력에 대해 진로조망 변인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 밝히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둘째,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 요인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셋째,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은 지원인력의 양성인데,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상담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연구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문헌연구를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 측정도구와 분노조절 측정도구, 진로조망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고, 전문가 FGI를 통해 이를 수정·보완하였다.
    세부적으로 학교폭력 노출대상자의 심리적 요인의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 심리적 변인의 학교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분노조절 수준의 변화를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설명하기 위해 HLM(Hierarchical Linear Models)을 적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변화함수를 추정하고 2단계에서는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분석하였다.
    분노조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반추유형 측정도구를 개발하였고, 미래조망 능력을 통해 심리적 거리두기 효과를 얻음으로써 학교폭력 노출에 대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탐색하고자 진로조망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쳐 관련 문항을 구성하고 예비조사, 본조사를 거쳐 문항을 선정하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분노조절 수준 측정도구는 점겸구, 한덕웅, 이장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index; 이하 STAI-K)를 참고하고 이송희(2014)의 반추반응척도 문항을 참고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학교폭력 개입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전체적으로 Analysis–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 - Evatuation(ADDIE) 단계에 맞추어 개발하였고,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진로조망 능력이 향상되고, 분노조절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입 프로그램 개발하여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피드백을 받아 수정ㆍ보완하였다.
    학교폭력 상담자 5인을 대상으로 심리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의 개입적 요소를 이끌어 내고자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내용에 반영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교 폭력 개입 프로그램에 활용가능한 심리적 변인으로서 진로조망의 효과를 입증하고 개입 프로그램 컨텐츠를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보급함으로써 학교폭력발생시 전문상담사가 자체적으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하는 어려움을 덜고 프로그램 진행에 전념함으로써 학교폭력 해결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가능케 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학교폭력 관련 개입 프로그램들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변인이 효과를 발휘하는지 알기 어려웠으나 본 프로그램은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에 집중함으로써 학교폭력 노출 이후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폭력이 발생하였을 때, 특정 상황, 특정 단계에서 이 기법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심리적 충격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미래 진로조망 능력을 키우는데 주력하게 될 것이므로 타 프로그램과 차별화된다.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 변인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개입 프로그램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현장 적용에 전략적으로 집중하기 위하여 상담인력을 교육시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은 지원인력의 양성이다. 일선 초·중·고의 전문상담 인력은 교육과정에서 실무적 교과목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질적 수준이 담보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는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 현재 학교폭력 상담인력은 진로교육 컨텐츠에 대한 경험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진로지도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는 자기이해영역과 직업세계에 대해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는데, 본 연구 결과물을 통해 학교폭력 노출 학생을 지원하는 심리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한층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등학생을 위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상담심리적 교육기회가 요구된다.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나 학생들의 심리적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는 교육이 미비하다. 따라서 초·중·고 학생에게 연령에 따른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발달심리학, 성격발달이론, 대인관계심리학, 심리상담 기법, 인간적 성장을 이해하고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내용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학생에 적용하고 학교폭력 노출 후 겪게되는 심리적 변화 과정을 세심하게 파악함으로써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대처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청소년 비행행동, 진로조망, 학교폭력, 분노조절, 반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