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3319&local_id=10086783
한일 무형문화재 전통무용의 표현매체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일 무형문화재 전통무용의 표현매체 비교연구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은자(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2A1A01025944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지정 전통무용인 한국 김백봉의 부채춤과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표현매체에 대한 비교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외형적으로 가마쿠라상의 분석법을 활용하였고 내재적 의미는 인터뷰와 구술채록을 분석하였다. 손동작의 Power Grip, Lateral/ Tripod Grip, Parallel Mild Flex Grip, Adduction Grip 분류한 일본 학자인 鎌倉 他 1978/ KAMAKURA et.al. 1980 による手の把握の分類による에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한국 김백봉 부채춤과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부채 기법을 분류하였다. 김백봉 부채춤의 부채의 기본 기법인 접사위와 편사위는 모두 Power Grip이며 손가락과 손목을 이용하여 꽉 쥔 상태를 말한다. 일상적인 생활의 모습과 자연적인 현상은 부채 춤사위 등에 모토가 되었고 부채를 접고 펴고 돌리며 등에서 나오는 춤사위는 세상을 살아가는 영역을 마음으로 전달함을 표현하였다.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부채 잡는 기법은 다음과 같다. Power- Grip- Standard 타입과 Power- Grip- Ext 타입, Tip – Grip과 Parallel – Ext- Grip으로 나뉘어 잡는다. 여기서 부채는 구체적 물건으로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 일부로서 기능하며 상징한다. 이 방법을 통해서 두 표현매체는 부채의 기법에 초점을 맞춰 분석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동작 특성을 파악해봤을 때 류큐무용이 더 다양한 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무용은 형보다 리듬이 더 강하게 나왔다. 둘째, 한국무용과 류큐무용 둘 다 추상성이 강하고 구상성이 작으며 의미를 가지지 않은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한국무용은 의미를 가지지 않은 기법이 많지만 꽃, 산, 바람 등 자연이나 작가의 내면성 의도가 표상되어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xpression materials between Kim Baik-bong’s Korean fan dance, a traditional danc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Kagyadifu(かぎやで風), a fan dance of Okinawa in Japan. To do this, we externally utilized an analytical method of KAMAKURA and analyzed interviews and oral recordings for internal meaning. We utilize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of 鎌倉他(1978) and KAMAKURA et al (1980)’s による手の把握の分類による, Japanese scholars who classified Power Grip, Lateral/Tripod grip, Parallel Mild Flex Grip, and Adduction Grip of hand movement, to classified fan technique of Kim Baek-bong’s Korean fan dance and Kazadhi, a fan dance of Okinawa in japan. Jubsawui and Pyunsawui, which are the basic technique of fan dance of Kim Baek-bong are all Power grip and they refer to the condition of grasping firmly with fingers and wrist. The appearance of daily life and natural phenomenon became a motto of fan dancing steps, and those dancing steps such as folding, spreading, turning convey the expression of the living in the world from the heart. The technique of holding the fan of Kagyadifu (かぎやで風) are these following: Power- Grip- Standard type, Power- Grip- Ext, Tip – Grip, and Parallel – Ext- Grip. And here, the fan symbolizes and functions as a part of the body, not selected as a certain object. Through this methodology, we focused on the technique of the fan of these two expression materials and we have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we apprehende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Ryukyu dance has more various types. But Korean dance has a stronger rhythm rather than types. Second, both Korean dance and Ryukyu dance have strong abstractness and weak concreteness, and consist of techniques that are meaningless. Third, Korean dance have many unmeaningful techniques but they represent flowers, mountains, winds, natures or author’s internal inten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급변하는 문화의 시대 속에 자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보호와 연구는 그 나라의 정체성의 근원을 밝혀 줄 수 있고 전통무용작품들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들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오늘날 범세계주의적 성향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문화 간 접촉의 빈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 통신의 발달은 문화접촉의 빈도를 높였으며 전파양상은 과거와 달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과정 속에서 사라지거나 변질되기도 하고 새로 생성되어 나기도 한다. 또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제간의 문화 교류 속에서 전통에 대한 정체성은 간과된 상태로 매너리즘적으로 전승되고 규정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에 대한 뿌리를 찾고 현대에 소통하는 문화유산으로 재창조 될 수 있는 다양한 논의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 중에서도 무형문화재인 민속무용을 본연구의 모티브로 설정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표현매체의 비교를 목적으로 하였다. 전통의 원형과 전승에 있어 동아시아 중에 일본은 원형에 있어 가장 잘 보존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전통에 대한 인식도 높은 편이다. 일본은 전통 전용극장이 오랫동안 잘 유지되고 있으며 현지인을 비롯한 관광객도 많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와 더불어 본 연구는 일본의 무형문화재 민속무용의 유형화 표현매체를 비교하여 과거의 전통무용의 국제교류가 현대 사회에 어떤 의미와 가치를 함유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현대에 재국축되고 재창조 된 동시에 양국의 전통무용을 세계사적 시각에서 바라봄으로써 전통무용 정체성의 근원을 밝혀줄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지정 전통무용인 한국 김백봉의 부채춤과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표현매체에 대한 비교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외형적으로 가마쿠라상의 분석법을 활용하였고 내재적 의미는 인터뷰와 구술채록을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손동작의 Power Grip, Lateral/ Tripod Grip, Parallel Mild Flex Grip, Adduction Grip 분류한 일본 학자인 鎌倉 他 1978/ KAMAKURA et.al. 1980 による手の把握の分類による에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한국 김백봉 부채춤과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부채 기법을 분류하였다. 김백봉 채춤의 부채의 기본 기법인 접사위와 편사위는 모두 Power Grip이며 손가락과 손목을 이용하여 꽉 쥔 상태를 말한다. 일상적인 생활의 모습과 자연적인 현상은 부채 춤사위 등에 모토가 되었고 부채를 접고 펴고 돌리며 등에서 나오는 춤사위는 세상을 살아가는 영역을 마음으로 전달함을 표현하였다. 일본 오키나와의 부채춤 카기야데후우(かぎやで風)의 부채 잡는 기법은 다음과 같다. Power- Grip- Standard 타입과 Power- Grip- Ext 타입, Tip – Grip과 Parallel – Ext- Grip으로 나뉘어 잡는다. 여기서 부채는 구체적 물건으로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 일부로서 기능하며 상징한다.
    과거 전통무용문화의 국제교류가 현대 사회에 어떤 의미와 가치를 함유하고 있는가에 대한 본 연구는 이전 시대의 전통무용 표현매체를 현시대에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국제사회에서 한 나라의 민족적 상징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통해 민족간에 커뮤니테이션 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동아시아의 문화적 기반위에서 형성된 전통무용을 매개로 한 상징적 표현매체의 컨텐츠화는 양국의 국가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채의 소품뿐만 아니라 의류, 음식, IT 등 한·일 양국의 표현 매체의 다양한 비교를 통하여 각국 현시대에 대중들이 매개체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이미지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간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에 관하여 연구를 확대해 볼 수 있다. 움직임의 표현화, 신체에 대한 매개체의 연결성 등 단순히 예술뿐만 아니라 실생활과 다양한 문화 속에 컨텐츠화가 될 수 있는 표현 매체를 모색하고 확대 볼 수 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이 무형문화재 민속무용의 표현매체를 이용해 현재 어떤 교육방법으로 활용되고 전승하고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전통무용이 전승체험이 아닌 현 시대의 민속적 상징체로 재창조되어 새로운 전통문화를 획득 할 수 있다.
  • 색인어
  • 무형문화재, 표현매체, 김백봉 부채춤, 카기야데후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