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63759&local_id=10086244
동시대 대안연극 형식으로서 새로운 다큐멘터리 연극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동시대 대안연극 형식으로서 새로운 다큐멘터리 연극 | 201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남지수(경기대학교& #40;서울&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1013867
선정년도 201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1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과제는 동시대 새로운 연극성의 한 가지 형태로서 실재에 주목하는 다큐멘터리 연극을 연구하였다. 특히 다큐멘터리 연극 범주에서 상반되는 속성을 보이는 사례로서 허구적 다큐멘터리 기법을 강조하는 모크 다큐멘터리 연극과 실재(기록)에 천착하는 버바텀 연극의 형식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forms applied the technique of mock-documentariness and verbati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은 어떤 연극적 기법이나 양식으로 수렴하기 어렵다.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지닌 연극성의 패러다임은 매우 폭넓은 양상을 보이며, 심지어 때로는 상반된 속성을 띤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것은 기술적으로 분석되기 보다는 묘사적으로 접근되어야 하고, 특정한 연극양식을 갖춘 개별적 실천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그 개별적 실천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성들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 또한 이것은 단지 공연적 측면에서 만이 아닌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콘텍스트와 미학적 패러다임의 측면으로 확장해 연구되어야 한다. 다큐멘터리란 장르 자체가 그것이 존재하는 사회로부터 절대로 유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박사논문 주제로서 그간 관심있게 연구해온 다큐멘터리 연극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기 위해, 박사논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다큐멘터리 연극의 형식들에 주목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그 주제로서 허구를 의도적으로 드러내거나 강조하는 다큐멘터리 연극과 실재를 확보하는데 천착하는 다큐멘터리 연극 등 상반되는 다큐멘터리 연극의 특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다큐멘터리 연극은 동시대 새로운 대안연극의 한 가지 형태로서 현재 많은 예술가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2010년 이후 국내 연극계에서는 새로운 다큐멘터리 연극 또는 새로운 다큐멘터리성을 차용한 연극실험이 급증했고, 학계의 관심 또한 지대해 관련된 세미나와 학술대회들이 지속적으로 개최되기도 했다. 현재 국내 연극계에서는 학술적, 실천적 측면에서 다큐멘터리 연극 담론을 적극적으로 형성해 가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움직임이 대단히 주목된다.
    연구자는 이미 다큐멘터리 연극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하여 본 주제에 대해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음을 증명했다. 특히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은 1990년대 이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주목할 만한 경향을 만들어냈기에 해외 연극사례에 대한 분석이 없이는 불가능한데, 연구자는 석사학위를 유럽에서 마치며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해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박사학위 논문을 집필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다큐멘터리 연극성을 다루지 못한 한계가 이었고, 본 연구주제가 굉장히 현재적인 담론인 까닭에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미처 담지 못한 시의성 있는 공연들도 있었다. 예컨대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이론적 담론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제 막 태동하기 시작한 국내 다큐멘터리 연극 보다는 해외 연극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되었고, 새로운 다큐멘터리성이라는 거시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새로운 연극기법으로서 버바텀 연극양식을 세세하게 접근하지 못했다. 또한 학위논문이 갖는 특수성과 내용적 측면으로 인해 다큐멘터리 연극작업 과정에 대한 실제적 사례연구를 포함시키지 못했던 것도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이런 이유로 연구자는 박사후 국내연수 과정을 통해 박사논문에서 포함되지 못했던 공연과 주제들을 중심으로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궁극적으로 한국연극에서 다큐멘터리 연극에 관한 분명한 이론적 토대를 세우고자 한다.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에 관한 학술서와 이론서, 번역서가 전무하고, 관련된 내용에 대한 논문, 비평 등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수과정을 통한 다큐멘터리 연극담론의 학술적 보완을 통해 연극학계는 물론이고 연극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생산해낼 수 있을 것이다. 2년의 연수과정을 바탕으로 산출된 단행본 및 논문 출판, 강의 등은 다큐멘터리 연극의 실천작업 및 학술 연구에 도움이 되는 토대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 모크 다큐멘터리 연극, 버바텀 연극, 실재의 연극, 다큐멘터리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