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45&local_id=10086389
‘숨겨진 이웃’, 고독사 위험에 처한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숨겨진 이웃’, 고독사 위험에 처한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유진(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74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실무자 관점에서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실무자들이 고독사 위험이 높은 독거노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 이들을 발굴하고 접근하고 있는지, 서비스 제공의 경험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은 무엇인지 등 고독사 위험에 처한 ‘숨겨진’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개입과정의 전반적인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사회복지 실무자는 은둔형 독거노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는 일을 하면서 이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다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②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③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극복 방법은 무엇인가?
    ④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의 전반적인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숨겨진 사각지대 노인’을 발굴하고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보건복지부 주관 사업인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 실무자이다. 2016년 현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은 전국 80개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80명의 전담 실무자에 의해 수행 중이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협조를 통해 이 중에서 서울과 대전, 강원도 지역에서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과 실무자들을 접촉하였고, 총 40명과의 개별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조사 참여자의 심층 면담을 녹취한 원자료(raw data)와 연구메모, 현장노트를 중심으로 Marying(2000)과 Morgan(1993)의 질적 내용분석 방법 및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활용하고자 한다. 아직 분석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격적인 자료 분석은 현재 진행형이나, 그간의 연구 수행으로 도출된 내용 및 결과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정리되며, 다음과 같다.
    1) 우리사회 은둔형 독거노인에 대한 특성에 대한 이해

    - 소위 ‘은둔형’ 독거노인의 특성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이해
    - 비록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등은 수행하지 못했지만, 실무자와의 면담, 이들의 실천기록지 등을 통해 은둔형 독거노인에 유형화 작업 시도의 가능성
    2) 발굴부터 서비스 제공 및 사후관리 등 사회복지실천의 전 과정의 모습에 대한 이해
    - 실천 과정 및 단계마다 겪는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고민
    - (은둔형) 독거노인 대상의 독거노인친구만들기 사업을 통한 참여 노인의 변화 내용과 변화 정도, 실천과정상 효과적인 개입 전략

    최근 복지 사각지대 돌봄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지역사회 내 위기가정 및 개인을 찾아가서 발굴하는 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이 다시 중요한 실천방법으로 부각되는 중이다.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이에 관한 구체적이면서도 명확한 틀을 제시하는 실천 지식화 작업이 필요한 이유이다. 특히,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고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대상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여러 가지 법적·윤리적인 이슈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일이다. 비록 ‘숨겨진’ 대상자의 내부자적 관점이 아닌 이들과 일하는 실무자 입장에서 탐색하는 것일지라도, 본 연구를 통해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노인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처한 물리적 환경 및 심리사회적·정서적 특성 등 우리 사회 ‘숨겨진’ 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who have worked on outreach and intervene with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actitioners understand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at high risk of lonely death, how to identify and approach them, and how to experience and overcome the experience of providing social work servic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① How do social work practitioners perceive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f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hile working with them, how have their perception changed?

    ② What methods are used to find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③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the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services to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④ What are social work practitioners’ overall experiences while working with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ho find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and provide services to them. Research participants were social wo가 practitioners in the "Making Friend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 project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of 2016, the "Making Friend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s being conducted by 80 dedicated practitioners in 80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ingle Elderly People Support Center, this researcher contacted the institutions and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the "Single elderly friend making project" in Seoul, Daejeon and Gangwon provinces.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ork pratitioners and field notes will be analyzed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of Marying(2000) and Morgan(1993). Full-scale data analysis is currently in progress, but the content and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re roughly divided into two dimensions: 1)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dden and isolated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our society, 2)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ss of social work practice including outreach, service provision and follow-u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1) 연구의 목적

    우리 사회의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은 어떠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일까?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실무자 관점에서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실무자들이 고독사 위험이 높은 독거노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 이들을 발굴하고 접근하고 있는지, 서비스 제공의 경험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은 무엇인지 등 고독사 위험에 처한 ‘숨겨진’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개입과정의 전반적인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표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상황은 심각한 사회문제이다(Bartlett, Warburton, Lui, Peach, & Carroll, 2013; Fokkema, De Jong Gierveld, & Dykstra, 2012). 비록 현대사회 인간의 생애주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회적 고립 및 고독은 어느 정도 노년기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Warburton & Lui, 2007), 사회적 고립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고립은 심리적 불안과 우울을 가져오고, 인지적 기능을 저하시키며, 자살사고 뿐 아니라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권중돈 외, 2011; Berkman and Glass 2000; Glei et al. 2005; Roehner, 2007). 고독사 관련 통계의 부재로 인해 경험적으로 구축된 근거는 아니지만, 복지 실무 현장의 경험에 따르면 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고독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정순둘·임효연, 2010). 미국과 영국, 오스트리아 등 서구 독거노인인구의 7-12% 정도가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Steed et al., 2007),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가족과 친지, 이웃 등과의 사회적 교류가 전혀 없다고 응답한 노인이 27%에 달한다(권중돈, 2010; 이정관·김준현, 2013).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노인 고독사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권중돈, 2010). 독거노인의 수와 비율이 증가하는 것 뿐 아니라 이들의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최근 복지 사각지대 돌봄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지역사회 내 위기가정 및 개인을 찾아가서 발굴하는 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이 다시 중요한 실천방법으로 부각되는 중이다.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이에 관한 구체적이면서도 명확한 틀을 제시하는 실천 지식화 작업이 필요한 이유이다. 특히,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고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대상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여러 가지 법적·윤리적인 이슈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일이다.
    비록 ‘숨겨진’ 대상자의 내부자적 관점이 아닌 이들과 일하는 실무자 입장에서 탐색하는 것일지라도, 본 연구를 통해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노인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처한 물리적 환경 및 심리사회적·정서적 특성 등 우리 사회 ‘숨겨진’ 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이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당초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1) 연구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질적 기술 연구방법(qualitative descriptive study)을 활용하여 사회복지 실무자 관점에서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경험에 대해 탐색하고는 것이다. 질적 기술 연구방법(qualitative descriptive method)은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 또는 주제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이해가 필요한 경우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다른 질적 연구방법(예, 현상학, 근거이론 등)에 비해 특정 이론의 영향이 최소한으로 반영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Sandelowshi, 2000). 이에 따라 질적 기술연구는 수집한 자료에 대한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보다는 자료를 최대한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회과학연구, 특히 사회정책에 대한 연구에서 특정 현황이나 사회 현안을 둘러싼 사람들의 반응 또는 사회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문제 파악 등의 질문 등에 일반적이며 구체적인 답을 얻는데 적합한 연구방법이다(Sandelowshi, 2000).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사회복지 실무자는 은둔형 독거노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는 일을 하면서 이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다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②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③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겪은 어려움과 극복 방법은 무엇인가?
    ④ 은둔형 독거노인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의 전반적인 경험은 어떠한가?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활용계획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무자의 경험을 통해 은둔형 고독사 위험군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해 탐색하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실천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고독사 위험이 높은 독거노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 이들을 발굴하고 접근하고 있는지, 서비스 제공 상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은 무엇인지 등‘숨겨진’ 독거노인 발굴과 아웃리치 개입과정의 전반적인 경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숨겨진’ 은둔형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이 어떠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며,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실천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 ‘숨겨진’은둔형 독거노인 발굴 현상을 둘러싼 거시적 그림과 미시적 디테일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은둔형 노인 발굴은 아직 시범 사업 단계에 있는 만큼, 그에 관한 경험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 결과는 독거노인 돌봄체계에 필요한 학문적·실천적 지식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비록 ‘숨겨진’ 노인의 내부자적 관점이 아닌 이들과 일하는 실무자 입장에서 탐색하는 것일지라도, 본 연구를 통해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노인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존 지식이 ‘겉으로 드러난’또는 ‘자발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삶의 위험요인 파악 중심으로 살펴본 것과 달리, 본 연구 결과는 우리 사회에 ‘드러나 보이지 않는’ 또는 ‘숨겨진 채’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들의 삶에 관해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돌봄 사각지대의 구조적 요인 뿐 아니라 독거노인들이 왜 현황조사를 거부하거나 서비스 이용을 거부하는지에 대한 이해도 제공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독거노인의 다양한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 아니라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대상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과 아웃리치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발굴 방법에 대해 공론화 작업의 기초를 닦을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사회복지 실천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굴하는지에 관한 교육 및 훈련 자료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발굴 작업에 관한 구체적이면서도 명확한 틀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최근 복지 사각지대 돌봄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지역사회 내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이 다시 중요한 실천방법으로 부각되는 시기에 본 연구 결과는 활용도가 높은 자료가 될 것이다.
    넷째, 은둔형 고독사 위험군과 함께 일하는 사회복지 업무는 발굴 작업 뿐 아니라 개별상담과 관찰, 지역사회 탐색 등 실무자의 역량강화가 매우 필요한 일임을 유추할 수 있다. 사회복지 실무자의 발굴과 아웃리치 경험에 관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복지 개입에 필요한 실천 지식과 기술에 관한 실천기반 지식(practice-based knowledge)를 얻을 수 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식은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자료 구축 및 노인복지실천, 노인상담, 노인복지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실천지식과 기술 보강의 자료로 활용 뿐 아니라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신체적·정서적 안전을 위한 업무지침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독거노인,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과 사회복지개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