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48&local_id=10086164
교육과정으로서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인성교육 담론과 현황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고찰을 기초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육과정으로서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인성교육 담론과 현황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고찰을 기초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가일(장안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75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으로서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질적연구로서 유아인성교육 공공담론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한 뒤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장, 유아들의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공공담론의 특징, 교사 및 원장의 인성 개념,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기존 유아인성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아의 인성 개념, 인성교육의 방법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인성교육의 교육과정화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성교육을 구조화하고 프로그램화하는 접근의 교육과정화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아인성교육 활동을 구성할 때 현장가와 유아의 관점을 고려하여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child personality education as a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it is a re - conceptual point of view about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public discour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iscourse on personality education, the concept of personality of teachers and directors, the perception of children 's sex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problems of existing child education. Also, we analyzed the concept of personality of infant, perception of method and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As a result, the public discourse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infant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ersonality, discussion of personality education starting from the top, and personality education whose purpose is clear. Teacher and director 's perception of personality can be characterized as' acceptance', 'being a cultural person', and 'determination of inherent character'. In additi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about the education of preschoolers on the basis of 'recognition and training of acquired children', 'need of common standards',' real life, not educational activities', ' Teacher 'and' parent '. The children 's point of view on personality is the subject of' good to me ',' concession and consideration ', and' humility '. The recognition of the method and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is' showing', 'teaching and informing' Dialogue, "" edification through control and punishment, "and" impossibility of edificat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 and purification of children 's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will be ref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ot and the child 's viewpoi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으로서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질적연구로서 유아인성교육 공공담론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한 뒤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장, 유아들의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공공담론의 특징, 교사 및 원장의 인성 개념,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기존 유아인성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아의 인성 개념, 인성교육의 방법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공공담론은 인성개념에 대한 논의 부재, 위로부터 시작되는 인성교육 논의, 목적이 뚜렷한 인성교육의 특징이 있다. 인성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은 ‘받아들임’, ‘초문화적인 사람의 됨됨이’, ‘고유한 성품의 결’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또한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장의 인식은 ‘후천적인 습득과 훈련’, ‘공통의 기준 필요’, ‘교육활동이 아니라 실생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것’, ‘인성교육의 목표는 아이가 아니라 교사와 부모’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인성에 대한 유아의 관점은 ‘나에게 잘 해 주는 것’, ‘양보와 배려’, ‘겸손’으로 주제화 하였으며 인성교육의 방법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보여주는’, ‘가르치고 알려주는’, ‘설득과 대화’,‘ 통제와 처벌을 통한 교화’, ‘교화의 불가능성’ 등으로 주제화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인성교육의 교육과정화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아인성교육 활동을 구성할 때 현장가와 유아의 관점을 고려하여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유아교육과정으로서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질적연구로서 유아인성교육 공공담론에 대한 재개념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한 뒤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및 원장, 유아들의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공공담론의 특징, 교사 및 원장의 인성 개념,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기존 유아인성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아의 인성 개념, 인성교육의 방법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인성교육의 교육과정화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성교육을 구조화하고 프로그램화하는 접근의 교육과정화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아인성교육 활동을 구성할 때 현장가와 유아의 관점을 고려하여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유아, 인성교육, 공공담론, 재개념주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