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50&local_id=10086405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의 한국 유학 경험 대한 질적 연구: 특권과 차별 사이의 균형 잡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의 한국 유학 경험 대한 질적 연구: 특권과 차별 사이의 균형 잡기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재은(세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76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이 한국 유학 경험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스스로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수생 스스로 정부초청 공무원 출신 연수생이라는 신분과 개발도상국 출신으로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특권과 차별 사이의 갈등, 타협, 그리고 균형 잡기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A대학교 국제대학원의 공공행정 분야에서 석사과정에 참여한 KOICA 연수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16개월간 석사학위 과정에 참여한 2015 코호트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동일한 석사학위 과정에 참여하는 2016 코호트를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질적 면담을 포함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연수생은 총 33명이다. 연구자료는 KOICA 석사학위과정의 운영기간과 본 연구의 연구기간을 고려하여 다단계 종단적 질적연구(multi-stage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방법을 고안하여 수집하였다. 종단적 질적 면담, 참여관찰, 귀국 졸업생 현지 방문 등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A대학 국제대학원 KOICA 연수생의 버디를 담당하였던 동일 대학원의 한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5 코호트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차 공간(third space)’(Bhaba, 2004; Cuenca et al., 2011; Khan, 1998; Kim, 2016)이라는 이론적 틀을 통해 이해해볼 수 있다. KOICA 연수생들은 주로 A대학교와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라는 한정된 ‘3차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자국에서 가져온 정체성과 관련된 ‘1차 공간’과 한국이 연수생에게 제공한 KOICA 프로그램과 개발 정책으로 이루어지며 넓게는 한국 사회로 확장될 수 있는 ‘2차 공간’ 사이를 유동적으로 이동하며 생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16 코호트 대상 연구자료와 삼각화를 위해 수집한 자료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완료할 계획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KOICA 석사학위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하고, 한국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의 발굴과 방향성 설정에 대한 기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국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KOICA Master’s degree programs experience during their study abroad in Korea and how they interpret and respond to those experiences. This study also aims to understand the conflict, negotiation, or balancing between privilege and discrimination they experience in Korea as a government official invi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n international student and a person from developing countr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with KOICA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KOICA Master’s degree program for public administr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A university. Participants included the 2015 cohort who studied in Korea from September 2015 to December 2016, and the 2016 cohort who studied in Korea from September 2016 to December 2017. In total, 33 KOICA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lti-stage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was created to collect data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period of Master’s program and that of the fund for this stud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longitudinal qualitative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visit to KOICA graduates in their country,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Korean graduate students at the same graduate school, who did buddies for KOICA students.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the 2015 cohort data showed that KOICA students’ experiences in Korea can be understood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third space”(Bhaba, 2004; Cuenca et al., 2011; Khan, 1998; Kim, 2016). KOICA students mostly lived in the limited “third space,” which consists of the A university and the dormitory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were also living with fluidity, moving between the “first space” related to indtity from their own countries and the “second space” which consists of the KOICA program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development policy. The analysis will be completed using the 2016 cohort data to triangulate with the 2015 cohort results.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resources to improve and develop the KOICA Master’s program and also contribute to develop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ducational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the policy related to those programs. This study can also contribute to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이 한국 유학 경험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이를 스스로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수생 스스로 정부초청 공무원 출신 연수생이라는 신분과 개발도상국 출신으로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특권과 차별 사이의 갈등, 타협, 그리고 균형 잡기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1)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은 한국 사회 및 대학원에서 어떠한 경험을 갖는가? (2)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은 본인의 한국 유학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그리고 이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3) KOICA 석사학위과정 외국인 연수생은 자국 및 한국 사회에서의 위치(성별, 인종, 종교, 개발도상국 출신, 공무원 신분 등)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그리고 이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연구방법으로는 A대학교 국제대학원의 공공행정 분야에서 석사과정에 참여한 KOICA 연수생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9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16개월간 석사학위 과정에 참여한 2015 코호트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동일한 석사학위 과정에 참여하는 2016 코호트를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질적 면담을 포함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연수생은 총 33명이다.
    연구자료는 KOICA 석사학위과정의 운영기간과 본 연구의 연구기간을 고려하여 다단계 종단적 질적연구(multi-stage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방법을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종단적 질적 면담, 참여관찰, 귀국 졸업생 현지 방문 등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A대학 국제대학원 KOICA 연수생의 버디를 담당하였던 동일 대학원의 한국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종단적 질적 면담은 예를 들어, 2015 코호트와 2016년 7월 1차 면담, 10-11월 2차 면담을 실시한 후, 2016 코호트와 2016년 11-12월에 3차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2017년 2월에는 2015 코호트 중 귀국한 연수생 2명을 대상으로 스리랑카를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여 4차 면담을 완료하였다. 또한 이 때 다른 연수수행기관인 B대학과 C대학 졸업자 2명과도 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2015 코호트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차 공간(third space)’(Bhaba, 2004; Cuenca et al., 2011; Khan, 1998; Kim, 2016)이라는 이론적 틀을 통해 이해해볼 수 있다. 2015 코호트 대상 자료를 중심으로 3차 공간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3차 공간이란 유동적이고 대안적이며 사이 공간(in-between spaces)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물리적이지 않은 생활 공간이 유동적이고(living here and there) 한 곳에만 머무르지 않는(bi-focal)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Vertovec, 2009). 즉, KOICA 연수생들은 주로 A대학교와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라는 한정된 ‘3차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자국에서 가져온 정체성과 관련된 ‘1차 공간’과 한국이 연수생에게 제공한 KOICA 프로그램과 개발 정책으로 이루어지며 넓게는 한국 사회로 확장될 수 있는 ‘2차 공간’ 사이를 유동적으로 이동하며 생활하고 있었다. 다만, 연수생 개인에 따라 대체로 ‘1차 공간’에 머물며 1차와 3차 공간 사이만 이동하는가하면, 3차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2차 공간과 한국 사회 및 한국 내 국제적 커뮤니티와 교류하며 공간을 확장하는 연수생들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16 코호트 대상 연구자료와 삼각화를 위해 수집한 자료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완료할 계획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KOICA 석사학위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하고, 한국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의 발굴과 방향성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문적으로도 국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첫째, KOICA 석사학위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KOICA 석사학위과정 연수생들에 대한 연구는 사업평가 차원의 연구만 수행된 한계점이 있다(한국국제협력단, 2010, 2015b). 아직 결과보고서 공개되지 않은 2015년 글로벌연수사업 효과성 평가 계획안에는 석사과정 우수사례 심층분석도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업 차원에서 사업의 적절성, 효율성, 평가성, 영향력 및 지속가능성을 주요 내용으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KOICA 석사학위과정 참여자들이 한국에서 어떠한 학문적, 사회적 경험을 갖고, 이는 개인적으로나 공무원으로서의 경력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등에 살펴보는 것은 향후 사업 운영 및 개선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업의 성과 및 효과성 평가 계획과 진행에도 참고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사업의 발굴과 방향성 설정에 대한 기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한국의 개발협력에서 외국인 유학생 정부초청사업과 같은 교육분야의 국제교육개발협력은 개별 참여자의 역량 개발과 더불어 공여국과 수원국 간 상호 존중에 기반해야 한다(유성상, 2010). 본 연구를 통한 KOICA 석사학위과정 참여자들에 대한 이해와 존중은 과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된 한국의 개발협력이 추구하는 방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KOICA 글로벌연수사업과 교육부의 GKS 사업과 같은 한국정부초청 연수사업의 발굴과 발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소홀하였던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과 외국인 대학원 유학생에 대한 연구이자, 정부초청사업 외국인 유학생 참여자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이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과 어려움에 대한 단편적 연구에서 벗어나, 종단적, 다면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 공무원 신분의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사회에서 경험하고 갈등, 타협, 대응하는 복잡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교육학 전공 또는 국제대학원 과정생을 연구보조원 또는 수시인력으로 연구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후속학문세대 양성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비교교육 또는 고등교육 연구 분야가 아직까지 학문적 기반이 매우 취약한 상황을 고려할 때, 대학원 전공과정 학생들의 적극적 연구 프로젝트 참여는 풍부한 학문적 지식의 습득과 함께 교육훈련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KOICA 석사학위과정 연수생을 위한 교육적 활동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다. Baxter(2014)에서 활용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중간 연구결과를 참여자와 공유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가짐으로써 참여자 개인에에게도 한국 유학 경험을 반추하고 의미있는 경험을 이끌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앞으로 다른 KOICA 석사학위과정 프로그램 및 글로벌 연수사업에 대해서도 본 연구과 같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행하여 자료를 축적한다면, KOICA 글로벌 연수사업 또는 정부초청 연수생 사업의 교육적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국국제협력단, 외국인 유학생, 공무원, 개발도상국, 유학, 장학금, 석사학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