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85&local_id=10086737
지역 미술가와 연계한 학교 미술관 설치 ․ 운영을 통한 아동 ․ 교사 ․ 미술가의 인식 변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역 미술가와 연계한 학교 미술관 설치 ․ 운영을 통한 아동 ․ 교사 ․ 미술가의 인식 변화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미정(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77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역 미술가의 창조적 작품과 연계한 학교 미술관의 설치․운영 활동이 아동과 교사, 지역 미술가의 예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현상을 분석하고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자료의 내용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인식 변화와 내면의 생각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학교 내에서 일정 기간 임시 미술관을 설치․운영하는 실험적인 사례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사례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심층 면담 텍스트, 관람 및 수업 동영상과 사진 자료, 연구자의 연구일지, 아동의 설문지, 수업 후 연계활동을 통해 수집된 그림 자료이다. 연구 참여 대상은 지역 작가 2인, 3학년 2명, 6학년 3명의 아동, 작가와의 수업에 선정된 학급의 3학년 담임교사, 6학년 담임교사이다. 자료 수집, 분석, 해석의 연구 과정을 거쳐 지역 미술가의 창조적 작품과 연계한 학교 미술관의 설치․운영 활동이 아동과 교사, 지역 미술가의 예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현상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아동들에게 미술 활동이 곧 자신의 삶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깨닫게 해주고,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술 표현의 주제를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주제 선정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에게 이러한 수업은 미술교육에 대해 좀 더 깊이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의 수업을 보며 인문학적 주제로 접근하는 미술 수업을 해보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극하였고, 자신의 미술 수업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작가에게 ‘지역 작가’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인문학적 주제를 다루는 활동을 통해 예술가의 삶이 아동의 삶과 연결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술이 삶을 위한 교육임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 안에 수용하도록 유도한다. 다섯째, 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아동의 실물 감상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의미하는 미술 교육의 의미를 고려하게 한다. 여섯째, 찾아가는 학교 미술관은 비관람객을 겨냥한 가장 촘촘한 미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그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영문
  •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on Art of Children, Teachers and Artists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 Art Museum in Connection with Local Ar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ctivities of school museums linked to creative works of local artists on the perception of art by children, teachers, and local artists. As a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can analyze the data in detail and study in depth and in depth the changes of perception and inner thoughts. And selected the case study method in terms of showing the experimental case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temporary art gallery within the school for a certain period.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are the in - depth interview texts, the video and photographs of the classes and videos, the researcher 's journal, the questionnaire of the child, and the pictures collected through the post - class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two local writers, two third graders, three sixth graders, a homeroom teacher in the third grade of the class selected for the class, and a homeroom teacher in the sixth grad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art museum on the perception of art by children, teachers, and local artis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were able to realize that art activities were their own lives, and they were able to find the theme of art expressions in their own lives, thereby reducing the objection to the selection of themes. Secondly, this activity for the teachers became a chance to reflect more deeply on art education. Third,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local artist' and to worry about his identity. Fourth, through the activity of dealing with the humanities subject, the life of the artist is connected with the life of the child, so that the child understands that art is education for life and induces the child to accept it in his life. Fifth, the direction of school art education is suggested. It considers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which means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child to the real appreciation activity. Sixth, the visiting school museum is the net for the most dense art education aimed at the non-specta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역 미술가의 창조적 작품과 연계한 학교 미술관의 설치․운영 활동이 아동과 교사, 지역 미술가의 예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현상을 분석하고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자료의 내용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인식 변화와 내면의 생각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학교 내에서 일정 기간 임시 미술관을 설치․운영하는 실험적인 사례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사례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심층 면담 텍스트, 관람 및 수업 동영상과 사진 자료, 연구자의 연구일지, 아동의 설문지, 수업 후 연계활동을 통해 수집된 그림 자료이다. 연구 참여 대상은 지역 작가 2인, 3학년 2명, 6학년 3명의 아동, 작가와의 수업에 선정된 학급의 3학년 담임교사, 6학년 담임교사이다. 자료 수집, 분석, 해석의 연구 과정을 거쳐 지역 미술가의 창조적 작품과 연계한 학교 미술관의 설치․운영 활동이 아동과 교사, 지역 미술가의 예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현상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아동들에게 미술 활동이 곧 자신의 삶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깨닫게 해주고,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술 표현의 주제를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주제 선정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에게 이러한 수업은 미술교육에 대해 좀 더 깊이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의 수업을 보며 인문학적 주제로 접근하는 미술 수업을 해보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극하였고, 자신의 미술 수업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작가에게 ‘지역 작가’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인문학적 주제를 다루는 활동을 통해 예술가의 삶이 아동의 삶과 연결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술이 삶을 위한 교육임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 안에 수용하도록 유도한다. 다섯째, 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아동의 실물 감상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의미하는 미술 교육의 의미를 고려하게 한다. 여섯째, 찾아가는 학교 미술관은 비관람객을 겨냥한 가장 촘촘한 미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그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자는 해당 “찾아가는 학교 미술관”을 통해 아동들의 인식과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인식 및 지역 미술가의 창조적 기능이 교육적 매체와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순수 예술에 종사하는 지역 미술가가 지역의 예술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경험되는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과 교사 지역 작가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이 탐구 되었으며 결과 활용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에게 작가의 개념은 매우 비현실적 존재였으며, 그 만큼 미술교육도 삶과는 유리된 하나의 교과일 뿐이었다. 그러나 작가와의 대화와 작업을 통해 작가의 삶이 자신들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작가들도 삶 속에서 생겨난 고민들로 작업을 하고 느낌을 표현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아동들에게 미술 활동이 곧 자신의 삶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깨닫게 해주고,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술 표현의 주제를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주제 선정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학교 미술교육의 보완을 위한 교육과정 활동의 일환으로 꾸준히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에게 이러한 수업은 미술교육에 대해 좀 더 깊이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의 수업을 보며 인문학적 주제로 접근하는 미술 수업을 해보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극하였고, 자신의 미술 수업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지역 미술가와 교사의 공동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등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예술프로그램 개발에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작가에게 ‘지역 작가’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그들의 고민 속에서 ‘지역 작가’라는 정체성의 다양한 입장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작가라는 커다란 범주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지역 작가’에 대한 인식 계기가 부재를 함을 의미하기도 하고, 이는 곧 ‘지역 작가’라는 정체성과 긍지, 역할 인식을 가질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의 차원의 정책적 부재를 의미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문화의 활성화의 중심에 있는 지역 미술가들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인문학적 주제를 다루는 활동을 통해 예술가의 삶이 아동의 삶과 연결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술이 삶을 위한 교육임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 안에 수용하도록 유도한다. 예술과 인문학을 융합한 예술프로그램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찾아가는 학교 미술관은 비관람객을 겨냥한 가장 촘촘한 미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잠재적 관람객이 기회가 되면 자발적으로 감상을 위해 미술관을 찾아올 수 있는 관람객을 의미한다면 비관람객은 예술에 대한 접촉 가능성과 기회와 유리된, 예술이라는 것이 무관심의 영역에 자리한 대상인 것이다. 그들은 비교적 낮은 생활수준의 부모, 낮은 경제적 수준의 환경, 낮은 문화 수준의 인식으로 학교 미술교육을 전부로 살아가는 아동들인 것이다. 찾아가는 학교 미술관은 바로 이들을 겨냥한, 접촉의 기회조차 알지 못하고 갖지 못하는 아동들에게 그들이 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 보여주는 적극적인 예술 활동인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문화예술향유자의 잠재적 시장을 넓혀 가는 가장 섬세한 방법 중 하나인 것이다.
  • 색인어
  • 미술관, 지역 미술가, 인문학, 정체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