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93&local_id=10086395
FRBR 기반의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FRBR 기반의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은주(동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82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겪게 되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 때, 그들은 그들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적절히 그리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그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도서관은 주요 정보매개체인 목록생산에 혁신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변화의 시작점에 FRBR 모델이 있다. FRBR 모델이란 ‘서지레코드의 기능 요건’이라는 이름 그대로 서지레코드, 즉, 도서관목록이 도서관자원의 탐색도구로서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가져야 할 요건에 대해 기술한 ‘이용자 중심적 개념모델(conceptual model)’이다. 그런데 우리의 관심은 FRBR 모델을 우리 서지세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이들 데이터를 활용하여 OPAC을 어떻게 재구조화할 것인지, 즉, 어떠한 검색 구조가 이용자들에게 보다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FRBR 적용방식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다음, 이를 반영한 FRBR 기반 도서관목록시스템을 개발․적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FRBR 모델을 적용한 OPAC 검색시스템의 사례를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2) FRBR 모델을 적용한 OPAC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3) 이를 기반으로 OPAC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4) OPAC 프로토타입에 대한 이용자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5) 궁극적으로 국내 도서관계에서 참조할 수 있는 OPAC 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계에서는 보다 주체적으로 FRBR 모델을 수용하고 도입시 시행착오를 줄이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국내 문헌정보학계에서는 보다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논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People need a variety of information to solve the many problems in their lives. At this time, they actively utilize the inform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In order to serve their users, the library is making an innovative change in catalog production. The FRBR model is at the beginning of this revolutionary change. The beginning of this study is the focus has been on how to apply the FRBR model. That is,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how useful FRBR-based systems are to users.
    This study intends to implement a OPAC prototype for FRBR-based information search services. To the end, this study applies prototyping techniques that design, evaluate and improve an early sample model. Includ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llect cases of FRBR-based search system comprehensively,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them, (2) investigate users' opinions on the current system, (3) implement a OPAC prototype with WordPress 4.2 version, (4) evaluate the prototype OPAC from the viewpoint of users(undergraduate student, librarian, and professor), and finally, (5) suggest the improved model and implementational strategies for FRBR-based information search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목록의 근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념모델인 FRBR은 이용자 친화적 목록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그러나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면 FRBR 모델을 적용한 OPAC이 국내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탐색도구가 될 것이라는 근거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RBR 기반 OPAC에 대한 이용자들의 가감 없는 평가를 토대로, 실제 우리 이용자에게 유용한 도서관목록시스템을 제안해 보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상적으로 알려져 왔던 이용자 중심적 FRBR 모델의 가치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우리 이용자의 목소리가 담긴 FRBR 기반 OPAC을 제안함으로써, 국내 도서관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논의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FRBR을 OPAC에 실제 구현한 사례를 분석하고, FRBR 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사례 중에서 이용자들이 보다 선호하는 방식이나 요구사항을 검토한 후 국내 도서관계에 적용 가능한 FRBR 기반의 OPAC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FRBR 모델을 적용한 OPAC 검색시스템의 사례를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2) FRBR 모델을 적용한 OPAC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3) 이를 기반으로 OPAC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4) OPAC 프로토타입에 대한 이용자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5) 국내 도서관계에서 참조할 수 있는 OPAC 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개발 방법 중 하나인 ‘점진적 개발 접근법’의 ‘원형개발법’(prototyping development) 중 일부를 연구목적에 부합하게 변형하여 ‘①요구사항 분석 단계 → ②프로토타입 설계 단계 → ③프로토타입 개발 단계 → ④프로토타입 평가 단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먼저, 이용자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국외에서 기 개발된 FRBR 시스템을 면밀히 조사하였다.그 결과, 4개의 FRBR형 검색서비스(FictionFinder, AustLit, Perseus Digital Library, Virtua)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① ‘검색화면’과 ②‘결과화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다양한 방식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후, 4가지 유형화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Jakob Nielsen이 제시한 구성 요소를 일부 변형한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삼아, ‘이용자 사용성’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선호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요구사항(선호도 결과)을 최대한 반영하여 ‘신경숙’의『엄마를 부탁해』를 중심으로 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한 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이용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50인에게 구조화된 설문지에 더해 개방형 질문이 추가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보다 질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현장 실무 사서와 문헌정보학 전공교수 각 3인, 총 6인으로부터 전문가 자문을 병행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① 학습의 용이성’, ‘② 사용의 용이성’, ‘③ 검색의 효율성‘, ’④ 기억의 용이성‘, ’⑤ 항해의 용이성’, ‘⑥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라는 6개의 측면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절대적 평가(이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토타입 시스템만을 활용한 뒤 응답)와 상대적 평가(이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토타입 시스템과 기존에 활용하던 시스템을 비교한 뒤 응답)를 함께 실시하였다. 이상의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시대적 흐름이라 할 수 있는 FRBR 모델을 우리 도서관계에서 어떻게 도입․구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국외에서 수행되는 목록원칙의 지속적인 개정 작업의 중심에 FRBR 모델이 있고, 이 모델을 적용한 RDA의 국제표준으로서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국내에서도 FRBR 모델을 근간으로 한 시스템의 도입과 확산은 당연한 수순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FRBR 모델이 가지고 있는 추상성으로 인해 복잡한 서지세계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이들 데이터를 활용한 OPAC을 어떻게 재구조화할 것인지, 어떠한 검색 구조가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과정에서 보다 유용할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면서, 이 연구는 FRBR 모델의 기본 의미인 ‘이용자 중심적 개념모델(conceptual model)’이라는 의미를 논의의 시작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FRBR 모델을 근간으로 한 우리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과정을 지원하는 OPAC 모형을 직접 개발하고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과제에서 수행한 연구내용 및 결과(성과)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FRBR 모델을 적용하여 구축한 OPAC 시스템의 사례연구 및 이용자들의 FRBR 시스템 이용행태 연구, 둘째,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기초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구축, 셋째, 구축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평가. 이러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FRBR 모델을 적용한 시스템에 대한 우리 이용자들의 평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 상황에서 실제 이용자들의 요구와 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기초한 FRBR형 OPAC 시스템을 개발해 봄으로써 이와 관련된 우리 도서관계의 관심을 촉발하고, 나아가 문헌정보학계의 폭넓은 논의를 이끌어내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 결과의 활용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FRBR 모델을 기반으로 한 OPAC의 구현과 관련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외와 달리, 국내는 FRBR 관련 연구논문이 상당히 빈약하고 파편화되어 있으며 실제 구현사례는 소수에 불과하다. 하지만 국내 목록규칙 및 데이터 입력형식이 FRBR 모델을 이미 수용하여 개정작업 중인 상황임을 고려한다면, ‘이용자 요구’를 바탕으로 한 FRBR 기반 OPAC 검색시스템의 구현 방안에 대한 고민은 국내 문헌정보학계의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논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FRBR 모델의 개념이 낯선 도서관 현장에도 모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FRBR 모델의 적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이 연구는 FRBR 모델의 근본적인 목적인 ‘이용자의 기대’에 응답하고 ‘이용자 과업’을 근간으로 한 도서관목록의 실행안을 제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한 FRBR형 목록은 향후 국가도서관은 물론 대학도서관 등에서 실무적인 지침의 역할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데이터 기술규칙 및 입력규칙이 FRBR 모델을 근간으로 개정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보다 주체적으로 FRBR 모델을 수용하고 적용시 시행착오를 줄이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3) 2005년 OCLC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도서관목록을 활용한다는 답변을 한 응답자는 1%에 불과하였다(OCLC 2005). 이러한 목록의 위기론은 우리 도서관목록이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탐색도구가 아님을 입증하는 결과로,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이용자의 요구와 능력에 적합한 도서관목록 시스템의 제안은 목록의 위기론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번 연구가 FRBR 모델의 적용 방식에 따라 이용자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낱낱이 밝혀내고, 이에 근거하여 우리 이용자를 위한 FRBR형 검색서비스의 개발 전략을 논리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궁극적으로 목록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과정에 적절히 개입하여 이용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목록, 온라인목록, 도서관목록, FRBR 모델, 이용자, 이용자 친화적 도서관목록시스템, FRBR 기반 OPAC, 이용자 만족도 평가, 선호도 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