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197&local_id=10086546
외상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모형 검증: 삶의 의미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외상경험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모형 검증: 삶의 의미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선영(선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83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을 일구어낸 사람들의 삶의 의미의 특성을 삶의 의미의 다차원을 고려하여 살펴본 연구다. 탐색적 연구로서 우선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다차원적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삶의 만족, 의도적 반추 척도로 구성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측면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보다는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자기수용 및 성장, 가족관계,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일에 대한 만족, 사회적 성취, 종교 및 영성,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은 자기관련 요인 네 가지와 타인관계 요인 두 가지 원천이 집단차를 나타냈고, 자기초월 관련 요인에 대해서는 역시 집단차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과 일치도 측면이 외상 후 성장의 경로모델에서 서로 다른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삶의 의미의 일치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외상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국가 차원의 재난관리시스템의 개입 방향 및 목표 제시에 활용할 수 있다. ‘외상 경험은 단지 인간의 삶을 파괴하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면 다행이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생각으로는 외상 피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지원을 할 수 없다. 관련 분야 서비스 종사자들이나 치료자에게도 소극적인 태도를 갖게 할 뿐이다. 따라서 외상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역경을 통해 성숙한 사람들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훌륭한 위인의 삶에는 대부분 역경이 있기 마련이듯이, 우리 삶을 더욱 단단하게 성장시키는데 외상 사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역경을 역(逆)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시사점이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촉진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PTSD 증상의 감소를 넘어선 성장과 성숙을 일구어내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외상의 충격으로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절망의 늪에 빠져 주의전환이 어려운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은 외상의 고통으로부터 빨리 회복할 뿐 아니라 이전보다 더 나은 삶, 만족스러운 삶을 만들어나가는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재난 및 외상관련 전문가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재난 및 외상 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뿐 아니라 다양한 지원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인간의 외상 경험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전문가들이 지원의 방향과 범위, 역할 등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목표와 원칙이 될 수 있다. 특히 상담자와 같은 심리지원 전문가의 양성 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내용이 될 것이다. 내담자의 증상 감소만을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를 통해 성숙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과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재난관련분야 종사자들의 심리적 소진(burn out) 예방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을 일구어낸 사람들이 어떤 삶의 가치를 지니고 살아가는지 구체화하고, 그들이 긍정적 착각 속에 사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할 뿐 아니라 삶의 가치에 부합하기 위해 실천함으로써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외상 후 성장 현상을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체로 이해하는 것은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뿐 아니라 이들을 치료하는 상담자에게도 중요하다. 외상관련 전문가와 봉사자들, 예컨대 소방/구조, 구급요원 및 심리치료자들은 다른 업종 종사자들보다 심리적으로 소진될 위험이 큰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외상 피해자들의 무력감과 절망감에 동일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상을 통해 일시적으로 고통을 겪더라도 장기적으로 잘 대처했을 때 오히려 이전보다 더욱 성장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지원하는 것은 무력감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meaning in life,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In this study, various sources and structural aspects of meaning in life such as importance or consistency were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47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igh PTG vs. low PTG) in the scores of importance, consistency, and sense of meaning in life. Second, the high PTG-group consider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elf-acceptance and growth’,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more important than low PTG-group, while there was no group-difference in importance for ‘satisfaction at work’, ‘social achievement’,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and ‘contribution to society’. Third, the effects of intentional rumination on satisfaction of life were mediated by PTG and ‘consistency’ of meaning in life, while the ‘importance’ of meaning in life did not effect on satisfaction of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meaning in life might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which aspects of meaning in life identified and measured.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regarding the variety of meaning in life in PTG model we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삶의 의미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상 후 성장의 의미처리모형의 적합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외상 경험이 있는 학부생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를 분석한 후, 삶의 의미의 중요도와 일치도 측면을 각각 한 개의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에 대입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측면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보다는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자기수용 및 성장, 가족관계,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일에 대한 만족, 사회적 성취, 종교 및 영성,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은 자기관련 요인 네 가지와 타인관계 요인 두 가지 원천이 집단차를 나타냈고, 자기초월 관련 요인에 대해서는 역시 집단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삶의 의미의 일치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측면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보다는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 및 정신건강, 자기수용 및 성장, 가족관계, 친구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일에 대한 만족, 사회적 성취, 종교 및 영성,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삶의 의미의 일치도와 의미감 측면은 자기관련 요인 네 가지와 타인관계 요인 두 가지 원천이 집단차를 나타냈고, 자기초월 관련 요인에 대해서는 역시 집단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삶의 의미의 중요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삶의 의미의 일치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성장 경로모형은 의도적 반추를 통한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외상에 대한 통합적 관점 제시. 국가 차원의 재난관리시스템의 개입 방향 및 목표 제시
    ‘외상 경험은 단지 인간의 삶을 파괴하고,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면 다행이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생각으로는 외상 피해자에 대한 제대로 된 지원을 할 수 없다. 관련 분야 서비스 종사자들이나 치료자에게도 소극적인 태도를 갖게 할 뿐이다. 따라서 외상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역경을 통해 성숙한 사람들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훌륭한 위인의 삶에는 대부분 역경이 있기 마련이듯이, 우리 삶을 더욱 단단하게 성장시키는데 외상 사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역경을 역(逆)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시사점이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외상 후 성장 촉진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
    본 연구의 결과는 PTSD 증상의 감소를 넘어선 성장과 성숙을 일구어내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외상의 충격으로 가치관의 혼란을 겪고 절망의 늪에 빠져 주의전환이 어려운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은 외상의 고통으로부터 빨리 회복할 뿐 아니라 이전보다 더 나은 삶, 만족스러운 삶을 만들어나가는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재난 및 외상관련 전문가 교육에 활용
    재난 및 외상 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뿐 아니라 다양한 지원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인간의 외상 경험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전문가들이 지원의 방향과 범위, 역할 등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목표와 원칙이 될 수 있다. 특히 상담자와 같은 심리지원 전문가의 양성 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내용이 될 것이다. 내담자의 증상 감소만을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를 통해 성숙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과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재난관련분야 종사자들의 심리적 소진(burn out) 예방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성장을 일구어낸 사람들이 어떤 삶의 가치를 지니고 살아가는지 구체화하고, 그들이 긍정적 착각 속에 사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할 뿐 아니라 삶의 가치에 부합하기 위해 실천함으로써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외상 후 성장 현상을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체로 이해하는 것은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뿐 아니라 이들을 치료하는 상담자에게도 중요하다. 외상관련 전문가와 봉사자들, 예컨대 소방/구조, 구급요원 및 심리치료자들은 다른 업종 종사자들보다 심리적으로 소진될 위험이 큰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외상 피해자들의 무력감과 절망감에 동일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상을 통해 일시적으로 고통을 겪더라도 장기적으로 잘 대처했을 때 오히려 이전보다 더욱 성장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지원하는 것은 무력감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색인어
  • 외상 후 성장, 다차원적 삶의 의미,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