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236&local_id=10086670
허약예측을 위한 보행 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허약예측을 위한 보행 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진영윤(성균관대학교& #40;자연과학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904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허약예측 위한 보행 변동성 및 체력이 독립예측인자인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참여자의 신체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활동 수준 그리고 정신건강상태를 조사하였고, 보행 변인 및 체력을 측정하였다. Fride 등(2001)의 허약 척도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그리고 허약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허약정도(정상, 전-허약, 허약)에 따른 모든 측정변인의 비교 및 선 경향성(linear trend)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의 선형대조분석(linear contras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허약정도에 대한 독립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참여 인원(168명) 중 정상은 77명(45.8%), 전-허약 74명(44.0%) 그리고 허약 17명(10.1%)으로 나타났다. 허약예측을 위한 독립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만성질환 등을 통계적으로 보정한 후에도 상체근력(악력), 분당 보폭 수 변동성 그리고 두 다리 지지비율 변동성은 허약 예측을 위한 독립위험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상체근력, 보행 변동성은 허약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위험 인자일 것으로 판단되며, 허약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판단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ependent roles of functional fitness and gait variability in predicting frailty. This study targeted 168 community-dwelling women elderly people aged 65 or over.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first,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nd behaviors, K-IADL, functional fitness, gait parameters and gait variability were measured, and based on Fried et al(2001)‘s frailty criteria(weight loss, emotional exhaustion, physical activities, walking speed and grip strength), the degree of frailty(non-frail, pre-frail and frail) was classified. Then in order to compare all the measurement variabl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frailty and examine the linear trend, chi-square test and linear contrast analysis of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independent predictors of the degree of frailt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77(45.8%) of 168 elderly people were non-frail, 74 ones(44.0%) belonged to pre-frail and 17 ones(10.1%) belonged to frail. Upper body muscular strength (hand grip), step cadence and terminal double limb stance variability among functional fitness and gait variability variables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frailty. This finding was found after correcting age,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at might influence the degree of frailty. This finding was found after adjusted for age,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at might influence the degree of frailty.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upper body muscular strength, step cadence and terminal double limb stance variability, which are independent predictors of frailty, can be used as important indicators to predict and evaluate frailty and these study findings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a frailty prevention exercise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목적:본 연구는 허약예측 위한 보행 변동성 및 체력이 독립예측인자인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참여자의 신체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활동 수준 그리고 정신건강상태를 조사하였고, 보행 변인 및 체력을 측정하였다. Fride 등(2001)의 허약 척도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그리고 허약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허약정도(정상, 전-허약, 허약)에 따른 모든 측정변인의 비교 및 선 경향성(linear trend)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의 선형대조분석(linear contras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허약정도에 대한 독립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전체 참여 인원(168명) 중 정상은 77명(45.8%), 전-허약 74명(44.0%) 그리고 허약 17명(10.1%)으로 나타났다. 허약예측을 위한 독립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만성질환 등을 통계적으로 보정한 후에도 상체근력(악력), 분당 보폭 수 변동성 그리고 두 다리 지지비율 변동성은 허약 예측을 위한 독립위험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종합적으로 상체근력, 보행 변동성은 허약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위험 인자일 것으로 판단되며, 허약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을 대상으로 허약과 보행변동성 및 체력과의 연관성을 검정하여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보행변동성 및 체력의 독립적인 역할을 구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상체근력, 두 다리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 수 변동성은 허약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허약의 예방적 차원에서 봤을 때, 정상에서 전-허약으로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체근력과 더불어 보행의 안정성을, 전-허약에서 허약으로의 예방을 위해서는 상체근력을 높이는 신체활동 및 운동 중재프로그램 적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ek.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허약은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노인의 신체적 독립성과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사회적 의료비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운동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일상생활활동(개인위생, 가사, 쇼핑, 여행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체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허약의 독립예측인자로 나타난 상체근력과 더불어 두 다리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 수 변동성을 포함한 보행 안정성은 허약상태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허약을 예방하는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보행 변동성, 체력, 허약, 독립예측인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