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281&local_id=10086116
여성 결혼이민자의 공동체 참여경험 및 적응과정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성 결혼이민자의 공동체 참여경험 및 적응과정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은정(한양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98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공동체 참여경험과 적응과정 탐색을 통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 정착 이후 변화된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공동체 참여와 경험의 함의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동체 참여경험이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체 활동을 관련기관 실무자 6명을 보조적으로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이나 자녀관련 서비스를 받다가 기관의 권유에 의해 기관 주도 프로그램에 의해 자조모임과 같은 공동체에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출신국 여성들 간 상호간에 격려, 지지, 소속감, 유대감을 획득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회를 갖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비공식적인 지지망을 형성하고 확대하게 되었다. 셋째, 공동체 참여과정에서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출신국 여성들 뿐만아니라 지역내 다른 국적 여성들 혹은 선주민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공동체 경험은 개인적 역량강화(Empowerment)는 물론, 한국사회 적응과 통합에 중요한 경험이 된다는 점에서 공동체 활동경험은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대안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적응과 문제해결의 기제로서 공동체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arried female foreign immigrants’ community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adapta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living changed lives since their stay in Korea.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 with eleven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had experience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with six hands-on workers of community-related organizations, too.
    As a result, firstly, most of married female foreign immigrants got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ike a voluntary meeting, through an organization-based program, in the process of getting Korean education or children-related service from multi-culture organizations. Secondly, married female foreign immigrants had a chanc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by exchanging encouragement, support, sense of belonging and fellowship between people from their native places, forming and expanding informal supports network. Thirdly,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married female foreign immigrants experienced expanded social interactions and network with other countries’ women or former inhabitants inside district. Fourthly, community experience of married female foreign immigrants became an alternative to expand possibility of social integration, in that it is important to adapt to and integrate Korean society, as well as personal empowerment.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s mechanism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adaptation and problem solutions,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hereof.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공동체 참여경험과 적응과정 탐색을 통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 정착 이후 변화된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공동체 참여와 경험이 함의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동체 참여경험이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체 활동을 관련기관 실무자 6명을 보조적으로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이나 자녀관련 서비스를 받다가 기관의 권유에 의해 기관 주도 프로그램에 의해 자조모임과 같은 공동체에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출신국 여성들 간 상호간에 격려, 지지, 소속감, 유대감을 획득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기회를 갖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비공식적인 지지망을 형성하고 확대하게 되었다. 셋째, 공동체 참여과정에서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출신국 여성들 뿐만아니라 지역내 다른 국적 여성들 혹은 선주민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공동체 경험은 개인적 역량강화(Empowerment)는 물론, 한국사회 적응과 통합에 중요한 경험이 된다는 점에서 공동체 활동경험은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대안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적응과 문제해결의 기제로서 공동체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적응 촉진 기제로써 공동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당사자의 공동체 참여경험 분석을 통해 관련 주제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공동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의 개입 방안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대안적 방식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해결 및 변화가능성의 탐색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경험과 입장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당사자의 특성과 욕구에 근거한 정책 및 서비스 마련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기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여성 결혼이민자, 공동체, 이주여성, 커뮤니티, 공동체 참여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