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331&local_id=10086331
네트노그라피 접근을 통한 전통한옥마을 관광객의 경험 구조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네트노그라피 접근을 통한 전통한옥마을 관광객의 경험 구조 분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승훈(경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07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 개념 및 특징을 상세화하기 위해 네트노그라피 질적연구 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질적연구에서는 연구 데이터로 트립어드바이저 내 전통한옥마을 리뷰 글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스크리닝 과정을 통하여 381개 리뷰를 최종 연구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결과로, 첫째, 네트노그라피 분석을 통해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을 서비스품질경험, 고유성 경험, 감성경험의 3개차원, 6개의 주테마, 19개의 세부테마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관광경험의 테마별 긍정적 경험의 표현비율을 보면 서비스품질경험차원에서는 먹거리 관련 경험이 매우 높았고, 고유성경험차원에서는 정체성과 체험성이 높았으며, 감성경험차원에서는 심미성 표현비율이 매우 높았다. 셋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 차원의 부정적 경험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 관광인프라 인식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고유성 경험, 부정적 감성 경험, 부정적 유형성 순이었다.
    양적연구에서는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된 관광경험 변수 및 연계 변수를 양적연구에 반영하여 실증 검증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 방문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 구조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주요결과로, 첫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은 재미, 신기성, 몰입, 미적 경험,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관광인프라, 음식경험의 8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의 5가지 요인인 재미, 신기성, 몰입, 미적 경험, 구성적 고유성은 방문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미적경험은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으며, 재미, 신기성, 구성적 고유성, 몰입의 순으로 방문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통한옥마을의 방문가치 인식은 만족과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통한옥마을의 만족 인식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의 요소 중 재미, 신기성, 미적 경험 요인은 방문가치 변인을 매개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방문가치와 만족 변인을 매개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경험의 특성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추후 관광경험 연구의 확대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tourism experience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using mixed methodology with combining netnograph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as research data, we collected and analyzed traditional Korean village reviews on Tripadvisor.com an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381 review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analysis data. As result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netnography, the tourism experiences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s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ervice quality experience, authenticity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six main themes; and 19 sub-themes. Second, for the rate of expression of positiv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themes of tourism experience, food-related experience was very high in the service quality experience, authentic identity and experienceability were high in the authenticity experience, and esthetics was very high in the emotional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atio of negative experiences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the ratio of negative tourism infr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egative authenticity experienc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negative tangibles.
    In quantitative research, we tri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experience, visit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we surveyed the visitors of Hanok Villag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urism experience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was divided into eight factors: joy, novelty, flow, esthetic, objective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tourism infra and culinary experience. Second, five factors of tourism experience(e.g. joy, novelty, flow, esthetic, constructive authenticity)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ing value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ccording to importance among variables explaining visiting value esthetic was first, followed by joy, novelty, constructive authenticity, and flow.
    Third, visiting value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behaviour intention. Also, satisfac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vill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ur intention. Fourth, joy, novelty, and esthetic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via visiting value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behaviour intention via visiting value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gaining a meaningful understanding of construct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regarding tourism experience, and to expand for an extension of tourism experience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 개념 및 특징을 상세화하기 위해 네트노그라피 질적연구 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질적연구에서는 연구 데이터로 트립어드바이저 내 전통한옥마을 리뷰 글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스크리닝 과정을 통하여 381개 리뷰를 최종 연구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결과로, 첫째, 네트노그라피 분석을 통해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을 서비스품질경험, 고유성 경험, 감성경험의 3개차원, 6개의 주테마, 19개의 세부테마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관광경험의 테마별 긍정적 경험의 표현비율을 보면 서비스품질경험차원에서는 먹거리 관련 경험이 매우 높았고, 고유성경험차원에서는 정체성과 체험성이 높았으며, 감성경험차원에서는 심미성 표현비율이 매우 높았다. 셋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 차원의 부정적 경험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 관광인프라 인식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고유성 경험, 부정적 감성 경험, 부정적 유형성 순이었다.
    양적연구에서는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된 관광경험 변수 및 연계 변수를 양적연구에 반영하여 실증 검증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 방문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 구조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주요결과로, 첫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은 재미, 신기성, 몰입, 미적 경험,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관광인프라, 음식경험의 8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의 5가지 요인인 재미, 신기성, 몰입, 미적 경험, 구성적 고유성은 방문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미적경험은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으며, 재미, 신기성, 구성적 고유성, 몰입의 순으로 방문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통한옥마을의 방문가치 인식은 만족과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통한옥마을의 만족 인식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의 요소 중 재미, 신기성, 미적 경험 요인은 방문가치 변인을 매개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방문가치와 만족 변인을 매개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경험의 특성 및 행동에 대한 이해와 추후 관광경험 연구의 확대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추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네트노그라피 방법론을 통하여 연구자 편향을 지양하고 소비자 경험 관찰 중심의 질적연구 접근의 변화가 기대된다. 본 연구의 질적연구기법인 네트노그라피는 최근 소비자 연구의 대안적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무형재이며, 경험재인 관광의 경우 특히 다양하고 자유스러운 관광객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최적의 관광객 행동분석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적으로 현재 메리엇 호텔, 힐튼호텔 등 해외 관광 기업의 경우 네트노그라피를 소비자 분석 솔루션으로 개발하여 자사의 경쟁력 분석과 마케팅 전략 방향 자료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네트노그라피 방법이 국내 관광 연구에 적용가능성을 제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둘째, 네트노그라피 방법을 접목한 대안적 통합연구 접근의 참고적인 연구로서 관광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관광경험의 질적+양적 통합연구 접근을 통하여 기존 관광경험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양적연구에 의존한 기존 관광경험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잠재적인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양적연구에 통합 적용하는 시도는 관광경험 연구의 확장과 연계성 확보를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향후 후속 관광경험 관련 연구에서 세부적인 관광객의 경험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참고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에 대한 개념, 특징의 상세화 분석을 통하여 전통한옥마을 관광객의 경험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전통한옥마을의 관광경험 중 자주 언급되는 경험 요소와 키워드, 패턴 등을 중심으로 전통한옥마을 관광경험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준자료로 활용하여 소비자 니즈에 맞는 관광서비스 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관광객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관광경험 연구가 대부분 긍정적인 경험 분석에 국한되었던 데에 반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시가 안 되고 있는 부정적 관광경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모니터링된 부정적 관광경험의 요소 및 구조체계는 관광객 경험의 불만족 및 위협요소를 제거하여 지속가능한 운영을 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네트노그라피, 관광 경험, 전통한옥마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