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27&local_id=10086047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응 : 한국춤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응 : 한국춤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재은(경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13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춤 체험을 통해 한국의 사회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2016년 5월∼2017년 3월까지 경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혼 이주여성은 한국사회 이주 초기 본국과의 문화차이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한국 사람들의 문화사대주의 의식과 그로인한 차별로 한국의 사회문화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춤을 배우며 한국 사회문화를 쉽게 배우고 문화의 깊이와 다양성을 알게 되었으며 가치를 깨달았다. 신체활동에 의한 한국전통문화 경험은 결혼이주여성의 언어학습, 지역사람들과 교류, 이주여성들의 커뮤니티 구성, 이주생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어 한국의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안정적인 이주생활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tudy period is from May 2016 to March 2017.
    And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Gyeongbuk province. In - 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ocume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arriage migrant women suffered from cultural differences. The Koreans discriminated against them and ignored them. However, married immigrant women understood Korea by learning Korean dance. Korean dance help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skills.
    The married immigrant woman learned Korean dance and realized Korean society and culture. I became friends with the villagers and created migrant women's groups. In addition, stress was also relieved.
    Korean dancing is helpful for immigrant women living in married immigrant women.
    Understands and adapts to the social culture of Korea and helps to sustain stable migration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사회문화 적응과 관련된 연구로 한국춤을 매개로 한 사회문화 적응 과정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결혼이주여성은 사회문화적응을 두 가지 차원에서 경험한다. 결혼이주여성 전체가 하나의 공동체로 경험하는 집단차원의 사회문화적응과 결혼이주여성 각자가 개인적으로 겪는 심리적 차원에서의 사회문화적응이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에 적응과 정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한국 문화교육, 생활상담 등 다양한 노력과 지원을 하고 있지만 철학이 없이 실용만 앞세운 정책들뿐이고 지속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과 이주의 두 가지 문제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외국인들에 비해 더 많은 문화적응이 요구되어 근본적 성찰을 통한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은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인식으로 지속된 기존의 일방적인 지원보다 사회문화적 충격을 완화하고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적응이라는 생존문제를 넘어 인간이 당연히 누려야 할 자존감, 성취감, 즐거움, 행복 등 삶의 질적 측면에 관심을 가져 주체적인 사회일원이 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의 사회문화에 자연스럽게 동화되어 안정된 정착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전통문화예술과 관련된 체험은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놀이와 유희적 성격을 가진 한국춤은 언어의 장벽이 없어 신체활동으로 한국의 역사, 문화, 관습, 전통을 자연스럽게 배우고 이해할 수 있다(정은영, 최현주, 2010; 최경희, 2011). 또한, 함께 어울려 춤을 추는 과정 중 정서적 교류와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인간관계 형성을 용이하게 만들며 상호관계 속에서 변화되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춤 체험은 그동안 자신이 살아온 삶의 방식과 새로운 삶의 방식과 문화를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통로가 되어 사회문화적응을 점차 원만하게 하고 주체적인 자신의 모습을 찾아 보다 안정적인 정착생활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주민들의 신체활동 참여와 관련된 연구들에도 신체활동은 본연의 가치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나와 다른 문화에 대한 상호 간의 소통과 조화로운 통합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회문화의 다름과 차이로 겪는 내면적 갈등, 혼란, 어려움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에 대한 생각, 이주여성의 가족이나 이웃들이 그들을 바라보는 사회문화 가치관 차이에 대한 생각도 탐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

    1) 결혼이주여성의 관한 연구 논쟁의 시발점(始發點) 제공

    현재 우리나라의 체육학 분야에서 결혼이주여성과 관련된 연구는 타 학문분야에 비하여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를 위한 신체활동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과 구체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계획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신체활동 참여 중요성과 결혼이주여성의 이주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형식과 구성에 관한 논쟁의 단초(端初)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2) 한국춤 참여를 통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갈등 해결요인에 관한 정보제공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문화갈등에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있지만, 갈등의 구체적 요인 탐색 및 갈등 해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의 사회문화를 보다 쉽게 이해하여 한국사회에서 정착하는 과정 중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모형 설계에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3) 한국전통문화예술로서 한국춤의 교육 효과 활성화 및 활로개척 기여
    지금까지 드라마와 K-Pop 등의 대중문화가 한류문화산업의 주류를 이루었지만, 한국전통문화예술이 갖고 있는 한류문화산업의 가치는 소홀히 다루어졌다.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춤 참여를 통해 한국전통문화예술의 교육적 가치와 문화유산으로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널리 알려 한국전통문화예술교육의 동심원(同心圓)을 키우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

    1) 한국전통문화예술 콘텐츠로 한국춤의 가치 재발견과 개발에 기여
    한국전통문화예술은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문화와 사유체제를 이해하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타 문화와 관계하는 최고의 방법으로 외교의 매개(媒介)가 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 역사 속에 내재된 독창적인 문화 역량과 창의성을 끌어내 한국춤이 지역적․언어적 한계를 초월하는 형태의 가치를 인정받고 한류문화 콘텐츠로 다양성을 개발하고 넓혀 가는데 기여할 것이다.

    2) 한국춤을 통한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문화적응에 기여
    출신 국가의 문화와 한국문화의 혼재로 어려움을 겪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춤을 경험하며 신체활동의 유희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정신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체득(體得)하여 한국사회에 자연스럽게 동화(同化)되고 적응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3) 다문화 사회에서 소수자가 향유할 수 있는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 교육프로그램 방향설정에 대한 기여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 교육은 일회성 행사에 그치거나 전문화되고 구체화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각 지자체에서 시행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이들의 성공적인 한국생활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럴 경우 다문화 사회에서 소수자를 위한 한국전통문화예술체험 교육프로그램의 발달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결혼이주여성, 사회문화, 한국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