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30&local_id=10086583
한국어 수화의 도상성과 의미/음운의 접속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 수화의 도상성과 의미/음운의 접속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신홍임(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14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음성언어의 연구에서 도출된 언어의 특징이 한국어수화(Korean sign language)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한국어 수화를 기반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수화가 음성언어와 달리 시각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음성언어와 비교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 차별화된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실험연구방법을 토대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그결과 연구 1(N=48)의 그림판단과제에서 수화단어의 도상성이 높을수록 수화숙련도가 높은 농인집단에서 그림을 통해 가장 많은 이득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음운판단과제에서는 도상성이 높은 단어에서 의미-형식의 간섭으로 인해 수화숙련도가 높은 집단에서 가장 많이 수행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N=29)에서는 음성언어와 같이 수화에서도 손끝에 맴도는 현상(TOF)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화에서도 TOF가 관찰되었으며, 수화소수준(모양, 위치, 방향,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수화는 의미와 형식이 구분된다는 점에서 음성언어와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의미-형식의 강한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도상성이 크기 때문에 정보처리에서 음운이 강조될때 오히려 간섭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iconicity of Korean Sign Language has impacts on language processing. In Study 1(N=48), iconicity effects facilitated the task perfomance in a picture decision task, whereas these effects led to slower responses in a phonological decision task. In Study 2 (N=29), the "tip of the fingers" phenomenon (TOF) for Korean Signers was demonstrated, which parallels the "tip of the tongue" phenomenon (TOT) for spoken language. Specifically, Korean signers were more likely to a target sign's handshape, location, and orientation rather than its movement. The results support two-stage retrieval and a division between semantics and phonology in Korean sign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음성언어의 연구에서 도출된 언어의 특징이 수화(sign language)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한국어 수화를 기반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수화가 음성언어와 달리 시각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음성언어와 비교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 차별화된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실험연구방법을 토대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국외 연구와 비교해볼 때 국내에서는 한국어 수화에 관한 학술적 이해와 농인의 정보처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수화는 지금까지 차별을 받아왔으며, 현재도 차별받고 소외되는 언어 중의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화를 사용하는 농인들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수화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들을 파생시키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학문적인 이득을 기대해볼 수 있다. 지금까지 작업기억에 대한 연구들은 청인과 음성언어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화의 도상성에 따른 정보처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화의 도상성과 행위기반에 따른 의미-형식의 연결에 대한 이해는 수화의 정보처리가 음성언어의 정보처리에 비해 어떤 차별화된 특징이 나타나는지를 검증해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한국어 음성언어 처리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왔던 연구를 시각중심의 언어처리로 전환하여 연구하는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수화와 음성언어의 공통성과 차이점에 대한 인식은 수화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수화가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농인의 언어로서 차별당하고 있는 현재의 실정에서 수화의 정보처리에 대한 인식은 농인에게뿐만 아니라 청인을 위한 한국어 수화교육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한국어 수화, 도상성, 손끝에 맴도는 현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