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33&local_id=10086091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나치 국가에 의한 강제 성매매 – 군대와 수용소 유곽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나치 국가에 의한 강제 성매매 – 군대와 수용소 유곽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용숙(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16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나치 국가에 의한 강제성매매의 성격과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다. 특히 수용소 유곽은 몇몇 남성들의 일탈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조직적으로 추진된 수용소 시스템 중 일부였으며, 이곳에서 강제성노동은 군대(나치 친위대) 주도와 관리 하에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이루어졌다. 그런 이유로 수용소의 강제 성매매는 나치 역사의 주변부가 아니라 나치 수용소 시스템의 본질적 부분에 속하며, 나치 국가에 의한 폭력의 일부로 규정할 수 있다. 둘째, 나치 국가와 군대에 의한 강제성매매가 전후 반세기 동안이나 공론화되지 못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젠더사적 관점과 기억연구의 이론적 틀을 빌어 분석한다.
    이 목적을 효과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첫째, 성매매에 대한 나치의 태도로서, 폐지주의와 규제주의가 미묘하게 공존하는 이중성이다. 나치는 공식적으로는 성매매를 금지하면서 뒤로는 국가 차원에서 성매매를 기획하고 관리했다. 나치 독일의 특수한 점은, 성매매 시설들을 목적에 맞게 차등을 두어 체계적으로 분리 운영 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나타난 나치 국가의 성매매에 대한 독특한 태도와 역사적 배경을 분석한다.
    둘째, 성매매를 국가와 군대가 조직하고 관리하는 아이디어의 유래와 과정을 추적한다. 그것을 위해 강제성매매 프로젝트의 시작인 군전용 성매매 업소가 프랑스 점령지에서 만들어진 과정과 배경, 그리고 그 실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나치 정부와 프랑스 비시 정부가 공유했던 인습적 성별 역할 유지에 어떻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는지도 고찰할 것이다.
    셋째, 군대 성매매 시설 운영의 경험과 노하우가 강제수용소로 확대·응용된 과정과 결과를 살핀다. 힘러에 따르면 수용소 유곽은 수감자의 노동력을 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로 필요했으며, 이는 이들이 군수산업의 주요 노동력이었다는 점에서 산업계의 이해와도 일치했다. 나아가 여기에 동원된 여성들이 누구이며 어떤 경로로 이러한 운명에 처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들의 계급적 인종적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해 여성들에 대한 전후 복권과 보상 문제를 다룬다. 우선 이들이 속한 범주가 ‘사회부적응자’로서 ‘불명예스러운 피해자’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나치 피해자 보상과 관련하여 1956년 독일의 연방보상법(Bundesentschädigungsgesetz; Federal Compensation Law), 오스트리아의 <피해자복지법>(Opferfürsorgegesetz, 1947)이 이들을 어떻게 차별하였는지도 밝힌다. 오스트리아에서 1995년 마련된 국가기금(Nationalfond), 1990년대 독일의 극빈자 피해보상(Härtefond) 등의 역할과 의미를 구체적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연구 방법론으로 이 연구는 첫째, 전시 성폭력을 성범죄로 보는 패러다임을 공유한다. 이는 1993년 6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엔 세계인권회의 이후 정착된 ‘군대성노예제’(military sexual slavery) 패러다임과 맥을 같이 한다. 둘째, 국가에 의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자행된 ‘강제성매매’ 사례는 국가별로 특수하지만, 피해자 여성들이 동원되는 과정, 그들이 처한 운명, 피해자 지위의 인정과 배상 등 여러 관점에서 유사한 점이 더 많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 영문
  • The first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forced prostitution enacted by the Nazi State. The brothels in the National Socialist concentration camps were a component of the concentration camp system promoted in an organized manner with specific purposes, not the result of the deviance of particular men. The forced sex work was carried out systematically and thoroughly under the leadership and management of the military (Nazi Schutzstaffel). For this reason, the forced prostitution at the concentration camps is not a peripheral part of the Nazi history but rather a substantial part of the Nazi concentration camp system, and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orms of violence perpetrated by the Nazi State. The second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 forced prostitution by the Nazi State and its military was not publicized for as long as half a century after the war by emplo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emory studies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history.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topics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first is the attitude of the Nazis toward prostitution, which is summarized as duplicity cunningly embracing abolitionism and regulative intervention. The Nazi State forbade prostitution, while planning and managing it behind the scenes at the governmental level. One notable feature of Nazi Germany was that the prostitution facil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systematically operated in a separated manner. The unusual attitude of the Nazi State toward prostitution wa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within its historical background. Secon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ollow up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the idea that the state and the military organize and manage prostitu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brothels exclusively for the military in the occupied territories in France, which represents the beginning of the forced prostitution project,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the states of operation.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manner in which the military exclusive brothels we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conventional gender roles, a mission shared by the Nazi government and the French Government of Vichy. Thir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applying the experiences and skills of operating the prostitution facilities exclusive to the military to the concentration camps. According to Himmler, the brothels at the concentration camps were necessary as an incentive to draw out the labor force from among the population of prisoners. This purpose of the brothels was well harmonized with the interests of the industry because the prisoners in the concentration camps were the major source of labor required for the Nazi war industry. This article further elucidates the identities of the mobilized women and through what paths they were forced to the situation. To this end, the social classes and races of the mobilized women were analyzed. Finally, the present article discusses the post-war reinstatement and recompense for the victimized women. It is noted that the women were categorized as “social misfits” who were considered “dishonorable victims.” This article shows how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with regard to the post-war recompense by the Bundesentschädigungsgesetz (Federal Compensation Law) of West Germany in 1956 and the Opferfürsorgegesetz (Victim Welfare Act) of Austria in 1947.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the Nationalfond (National Fund) of Austria established in 1995 and the Härtefond (Destitute Recompense) of Germany in the 1990s were reviewed as specific examples.
    With regard to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firstly employed the paradigm in which wartime sexual violence is considered a sexual crime. This point of view is consistent with the “military sexual slavery” paradigm that has been established since the United Nations World Conference on Human Rights held in Wien, Austria, in July, 1993. Secondly,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cases of “forced prostitution” executed by states in an organized and systematic manner have many features in common with relation to the procedures by which the victimized women were mobilized, in their destinies, and in the recognition of their status as victims as well as the recompense, although the cases may have some unique features according to the stat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시 위안부는 늘 존재했다.” 2015년 8월 6일 일본 역사학자 110명의 기자회견 성명 골자다. 이것은 앞서 5월 5일 세계의 일본학자 187명이 「일본 역사학자를 지지하는 공개서한」에서 아베 내각에 전범역사를 ‘편견 없이 청산’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한 비판이다. 이 서한은 특히 일본군 위안부의 야만성을 지적하면서 그 근거로 “방대한 규모와 군 차원의 조직적 관리, 점령지의 어리고 가난한 취약 여성을 착취했다는 점”을 적시했다. 이에 대해 일본 학자 110인이 반박 성명을 내면서 일본뿐만 아니라 과거 세계의 주요 전쟁터에는 늘 여성위안부가 있었고,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연행을 증명하는 실증자료 또한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일본군 위안부 비판은 “근거 없고 무례”하며 “당시 가치관에서 볼 때 다른 나라에서도 있었던 현상을 가지고 일본만 비판하는 태도는 정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공문서가 없다는 것으로 ‘실증자료 부재’를 논하는, 시대에 뒤떨어진 역사연구 방법론 주장은 이미 오래 전부터 되풀이되어온 것이므로 별반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러나 ‘전시 위안부는 과거 어디에나 있었는데 왜 일본만 비난하는가’는 주장은 비교적 새로이 등장한 것이며, 여기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른 나라들과의 비교를 통해 희석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이 주장은 ‘전쟁과 성폭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오래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명제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공문서 부재론보다 훨씬 더 설득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죄를 지은 사람이 몇 명 더 있었다 해서 자신의 죄가 가벼워지는 것도 아니다’는 반론으로 가볍게 물리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또 다른 죄인’이 과거사 청산의 ‘모범국가’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획득한 독일이기 때문에 문제가 복잡해진다. 독일은 2000년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설립한 〈기억, 책임, 그리고 미래 재단〉을 통해 강제 징용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배상을 최종 집행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강제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보상은 빠져 있었다. 이들에 대한 손해 배상은 지금까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그 이유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이들의 존재가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이 한국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제기된 것보다 더 늦은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일이기 때문이다.
    ‘과거청산 모범국’인 독일에서 군대와 수용소의 성노동을 위해 강제 동원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론화가 왜 그렇게 늦었는가? 독일 역사 중에서도 나치 제3제국은 20세기 후반 들어 전문연구자들에 의해 가장 철저하게 파헤쳐진 분야다. 그런데 여기서도 강제성노동 여성들의 존재가 반세기 동안이나 금기시되고 철저히 외면당한 이유가 무엇인가?
    첫째, 나치가 “건강한” 성풍속과 성도덕을 강조했다는 이미지가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 뒤에는 독일인을 ‘건강한 국민’으로 만든다는 인종주의적 목표가 있었다. 둘째, 당사자 여성들의 침묵 및 그로 인한 구술 증거와 사료의 빈약함 때문이다. 당사자들은 증언 자체를 거부하거나, 구술 증거를 남겼다 하더라도 성매매에 대한 인습적 편견이 증언을 각색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성매매 여성에 대한 인습적이고 도덕적인 편견 및 성을 매개로 한 폭력에 대한 사회의 몰감성과 무각감이 전후 시대에도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침묵과 금기의 구덩이에 가장 깊이 파묻혀 있었던 강제 수용소 유곽의 경우, 나치 피해자인 남성 수감자들의 성적 목적을 위해 동원된 여성 수감자들은 ‘희생자의 희생자’, 이중의 희생자였다. 그러나 바로 이 때문에 이들의 존재는 감추어져야 했다. 나치 폭력에서 살아남은 피해자들의 ‘집단 서사’를 더럽혀서는 안 되었기 때문이다. 강제성매매 여성들의 역사는 공식적인 나치 피해자 역사 서술에 들어갈 자리가 없었던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나치 국가에 의한 강제성매매의 성격과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다. 특히 수용소 유곽은 몇몇 남성들의 일탈이 아니라 구체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조직적으로 추진된 수용소 시스템 중 일부였으며, 이곳에서 강제성노동은 군대(나치 친위대) 주도와 관리 하에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이루어졌다. 그런 이유로 수용소의 강제 성매매는 나치 역사의 주변부가 아니라 나치 수용소 시스템의 본질적 부분에 속하며, 나치 국가에 의한 폭력의 일부로 규정할 수 있다. 둘째, 나치 국가와 군대에 의한 강제성매매가 전후 반세기 동안이나 공론화되지 못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젠더사적 관점과 기억연구의 이론적 틀을 빌어 분석한다.
    이 목적을 효과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룬다. 첫째, 성매매에 대한 나치의 태도로서, 폐지주의와 규제주의가 미묘하게 공존하는 이중성이다. 나치는 공식적으로는 성매매를 금지하면서 뒤로는 국가 차원에서 성매매를 기획하고 관리했다. 나치 독일의 특수한 점은, 성매매 시설들을 목적에 맞게 차등을 두어 체계적으로 분리 운영 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나타난 나치 국가의 성매매에 대한 독특한 태도와 역사적 배경을 분석한다.
    둘째, 성매매를 국가와 군대가 조직하고 관리하는 아이디어의 유래와 과정을 추적한다. 그것을 위해 강제성매매 프로젝트의 시작인 군전용 성매매 업소가 프랑스 점령지에서 만들어진 과정과 배경, 그리고 그 실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나치 정부와 프랑스 비시 정부가 공유했던 인습적 성별 역할 유지에 어떻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는지도 고찰할 것이다.
    셋째, 군대 성매매 시설 운영의 경험과 노하우가 강제수용소로 확대·응용된 과정과 결과를 살핀다. 힘러에 따르면 수용소 유곽은 수감자의 노동력을 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로 필요했으며, 이는 이들이 군수산업의 주요 노동력이었다는 점에서 산업계의 이해와도 일치했다. 나아가 여기에 동원된 여성들이 누구이며 어떤 경로로 이러한 운명에 처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들의 계급적 인종적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해 여성들에 대한 전후 복권과 보상 문제를 다룬다. 우선 이들이 속한 범주가 ‘사회부적응자’로서 ‘불명예스러운 피해자’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나치 피해자 보상과 관련하여 1956년 독일의 연방보상법(Bundesentschädigungsgesetz; Federal Compensation Law), 오스트리아의 <피해자복지법>(Opferfürsorgegesetz, 1947)이 이들을 어떻게 차별하였는지도 밝힌다. 오스트리아에서 1995년 마련된 국가기금(Nationalfond), 1990년대 독일의 극빈자 피해보상(Härtefond) 등의 역할과 의미를 구체적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연구 방법론으로 이 연구는 첫째, 전시 성폭력을 성범죄로 보는 패러다임을 공유한다. 이는 1993년 6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엔 세계인권회의 이후 정착된 ‘군대성노예제’(military sexual slavery) 패러다임과 맥을 같이 한다. 둘째, 국가에 의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자행된 ‘강제성매매’ 사례는 국가별로 특수하지만, 피해자 여성들이 동원되는 과정, 그들이 처한 운명, 피해자 지위의 인정과 배상 등 여러 관점에서 유사한 점이 더 많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목적으로 제시된 내용을 효과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분석 범주를 설정한다. ① 성매매 시설 설치 및 운영의 조직적 법적 배경 ② 각 시설들의 규모와 지리적 분포 ③ 여기에 동원된 여성들의 출신과 동원 과정 ④ ‘강제성매매 여성’으로서 구체적 삶의 실태 ⑤ 전쟁이 끝난 후 이들의 삶의 궤적 ⑥ 피해자 지위의 법적 인정과 배상.
  • 색인어
  • 나치, 강제성매매, 수용소유곽, 기억, 피해보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