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37&local_id=10086750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화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윤소정(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18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 학생들의 연구능력 강화는 의과학의 발전을 가져오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이 지나치게 자연과학적 접근에만 의존하게 되어 결국 의학의 총체적 연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발생하여 최근 인문사회의학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의과대학 학생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적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성과는 어떠하며, 참여 경험은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가? 셋째, 인문학적 연구, 의학연구, 그리고 연구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집단 간의 연구흥미와 연구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일개 의과대학의 의예과 2학년 학생 88명과 학생 연구지도에 참여한 교수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문학적 연구과정에 참여한 교수는 총 13명이었으며, 학생은 37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연구과정 타당도 평가척도, 연구과정 참여 학생 학습성과 평가지, 연구흥미, 연구효능감 등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연구과정 평가와 학생 성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과정 타당도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문학적 융합연구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3학기의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구성된 연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교수와 학생의 의과대학 학생을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타당도에 대한 평가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수가 학생에 비해 타당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문학적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과정에 참여한 교수가 자신이 지도한 학생의 연구과정 학습성과를 평가하도록 한 결과 상집단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직접 자신을 평가한 것과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인문학적 연구과정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은 인식과 효과, 요구의 3차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 총 11개의 현상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적 연구, 의학연구, 그리고 연구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집단 간의 연구흥미와 연구효능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는 연구미참여 학생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인문학적 연구를 수행한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영문
  • Strengthening research capabilities for future medical students will improve the future of medical scien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However, since human medicine is dependent on natural science approach only,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relationship of medicine is limited, and recent emphasis is on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educ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in this study. First, how can a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be developed to enhance the humanities capacity of medical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humanities research program, and how can participation experiences be structured?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research interests, medical researches, research interests and research efficacy among students who are not involved in the research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second grade students and 26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student research teaching. Among them, there were 13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humanities research process and 37 students. a research tool, measures such as research process validity rating scale, study participant student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research interest, and research efficacy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research process evaluation and the student performance analysi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n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process. The students' experiences in the humanities research proces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research program developed is a core course that lasts for three seme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he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for the medical students of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s, and the professor perceived the validity more than the students. The professor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process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capacity highly evaluated the achievement of the research course of his / her students. These resul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from students' self – evalua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humanities research process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of recognition, effect, and demand. As a result, 11 phenomena were derived. Finall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research interest and research efficacy between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humanities research, medical research, and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searc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had studied humanitie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 학생들의 연구능력 강화는 의과학의 발전을 가져오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이 지나치게 자연과학적 접근에만 의존하게 되어 결국 의학의 총체적 연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발생하여 최근 인문사회의학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의과대학 학생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적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성과는 어떠하며, 참여 경험은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가? 셋째, 인문학적 연구, 의학연구, 그리고 연구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집단 간의 연구흥미와 연구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일개 의과대학의 의예과 2학년 학생 88명과 학생 연구지도에 참여한 교수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문학적 연구과정에 참여한 교수는 총 13명이었으며, 학생은 37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연구과정 타당도 평가척도, 연구과정 참여 학생 학습성과 평가지, 연구흥미, 연구효능감 등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연구과정 평가와 학생 성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과정 타당도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문학적 융합연구 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3학기의 전공필수 교과목으로 구성된 연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교수와 학생의 의과대학 학생을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타당도에 대한 평가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수가 학생에 비해 타당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문학적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과정에 참여한 교수가 자신이 지도한 학생의 연구과정 학습성과를 평가하도록 한 결과 상집단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직접 자신을 평가한 것과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인문학적 연구과정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은 인식과 효과, 요구의 3차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 총 11개의 현상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적 연구, 의학연구, 그리고 연구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집단 간의 연구흥미와 연구효능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는 연구미참여 학생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인문학적 연구를 수행한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재 의과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와 평생학습자를 위한 연구 역량의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의과대학 학생들은 의학과 관련한 자연과학적 지식 습득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은 소홀히 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연구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자 하고 있으나, 단기적 프로그램에 그치거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면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인문학적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둔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주제의 연구로, 국내 의과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연구과정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루브릭의 개발은 실제 의학교육 상황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이후 타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의과대학학생,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인문학적 역량, 연구흥미, 연구효능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