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42&local_id=10086543
체육지도자 자격개편에 따른 역량모델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성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체육지도자 자격개편에 따른 역량모델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성 검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추종호(남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20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체육지도자의 자격개편에 따른 역량모델 평가지표에 대한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체육지도자 육성과 관련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이용하여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모델 개발을 위해 기 개발된 내용을 토대로 상대적 우선순위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학전공교수 9명, 역량교육전문가 9명, 체육지도자 현장전문가 9명 총 27명을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수렴되었다. 첫째,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지도자전문성, 지도신념, 자기조절, 사회적 관계 역량으로 선정되었고, 그 중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대인관계, 개인관리, 수업능력, 감정조절, 팀 리더십, 목표의식, 자신감, 건강관련 지식, 체육 전반적 지식, 가치관순으로 위치화 되었다. 둘째,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모델 개발을 통한 적용성 검증에서는 4개요인 총 33개 항목이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그 적용 검증성이 확인 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the competency model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qualification reform of physical Physical Instructor. In this study, we used the in - depth interview technique for the professional group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selected the relative priority based on the contents developed for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s competency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purposeful sampling of 9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 9 of competency education specialists, and 9 of field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converge as follows. First, as a pre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model of physical education leader, it was selected as leader professionalism, guidance belief, self control, social relation competence. Among them, priority of evaluation item 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management, , Team leadership, goal consciousness, self - confidence, health related knowledge, physical education overall knowledge, value.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model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33 items, which are 4 outlines, were significant at the statistical level and the applicability was verifi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체육지도자의 자격개편에 따른 역량모델 평가지표에 대한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체육지도자 육성과 관련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이용하여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모델 개발을 위해 기 개발된 내용을 토대로 상대적 우선순위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학전공교수 9명, 역량교육전문가 9명, 체육지도자 현장전문가 9명 총 27명을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수렴되었다. 첫째,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지도자전문성, 지도신념, 자기조절, 사회적 관계 역량으로 선정되었고, 그 중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대인관계, 개인관리, 수업능력, 감정조절, 팀 리더십, 목표의식, 자신감, 건강관련 지식, 체육 전반적 지식, 가치관순으로 위치화 되었다. 둘째,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모델 개발을 통한 적용성 검증에서는 4개요인 총 33개 항목이 통계적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그 적용 검증성이 확인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새롭게 시작하는 시점에서 체육지도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제도적 장치 마련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때문에 이 시점에서 지식축적 보다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지식을 선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역량은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개인의 특성이다. 그렇기에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효과적인 행동방법을 끌어내는 능력이며, 이 능력은 가장 기본적으로 지식을 통해 파생되지만, 그 지식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상황 맥락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하는 능력과 관련성이 많다. 이러한 차원에서 효과적인 인력자원 관리를 위해 체육지도자의 역량모델 평가기준을 만들과 그 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은 체육 조직을 원활하고 능동적으로 운영하게 하는 전제 조건이 될 것이다. 또한 체육지도자 양성 후 그들의 후속조치 및 피드백을 위한 준거의 틀을 마련하는 교량적 역할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직까지 체육지도자의 역량평가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측정 가능한 자료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2015년부터 1월 1일부터 개편되어지는 체육지도자들의 담당직무와 역할 수행을 위한 조력자로서 역량평가를 위한 기초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한 후 모델 적용성의 타당화 작업을 진행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이 실행된다면, 많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새롭게 개편되는 체육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을 변화하는 시대에 부흥할 수 있는 매뉴얼적 역할 수행과 더불어 향후 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토대 연구가 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체육지도자 통합적 견지에서 역량모댈 뿐만 아니라, 각 지도사별 즉, 노인, 유아, 장애인, 엘리트, 생활체육 등 각 영역별 측정도구 개발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체육지도자 개인에게 체육 조직이 요구하는 역량을 인식시키고, 정책차원에서는 교육 및 자격 양성에 전사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체육 단체 차원에서는 현업 종사자에 대한 역량평가와 더불어 신규채용 및 인사고가 등 세분화된 전략 수립에 관한 의사결정에 많은 시사점과 기준표로 활용 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체육지도자, 지도역량, 역량모델, 평가지표, 적용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