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43&local_id=10086227
돌봄서비스(care service) 국제비교를 위한 기초연구 – 중고령자패널(KLoSA)의 지표와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돌봄서비스& #40;care service& #41; 국제비교를 위한 기초연구 – 중고령자패널& #40;KLoSA& #41;의 지표와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수지(강릉원주대학교 제 2 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21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서비스 국제비교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서비스 성과 연구의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고, 성과에 해당하는 변수를 KLoSA, HRS, ELSA, SHARE에서 찾아 비교한다. 둘째,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equivalence)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우선 KLoSA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ADL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미국의 HRS, 영국의 ELSA, 유럽의 SHARE 자료의 ADL 문항과의 동등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돌봄의 이용자 중심 성과와 관련된 개념을 일상생활활동(ADL) 능력,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스트레스 감소로 보았다. 그리고 KLoSA, HRS, ELSA, SHARE의 관련 변수로 일상생활활동(ADL), 주관적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주관적 건강에 관한 설문 문항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4년 KLoSA 4차조사의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 동등성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K-ADL 지표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값의 비교가 무리가 없음이 증명되었다. 이후 국내 타당성이 검증된 KLoSA의 K-ADL이 타 자료원의 ADL 지표와 측정값의 동등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2014년 KLoSA, HRS, ELSA, SHARE 4개의 데이터를 모두 고려한 모형은 측정 값의 동등성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추가로 2개 조사자료 간의 조합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정은 KLoSA와 타 자료원 ADL 측정값 비교 가능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HRS와 SHARE의 ADL 지표 측정값의 경우는 비교가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cale us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launched in 2006, has developed a research network with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 US)’, ‘Studies on Health and Retirement in Europe(SHARE, EU)’, and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UK). The KLoSA team has designed their research with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in order to use KLoSA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ADL used in KLoSA over the panel studie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over-50 aged who answered ADL scale used in KLoSA, HRS, SHARE and ELSA in 2014.
    First, the data was extracted from the 4th wave of the KLoSA and was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s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DL scale used in KLoSA fits well and it is invariant across gender, education group and wealth group. In addition, the age groups are invariant, between under 65-aged and over 65-aged and between from 65 aged to 74 aged and over 75-aged. Second, the data was extracted from KLoSA, HRS, SHARE, ELSA and was analyzed using a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DL scale is not invariant among the 4 data groups, KLoSA, HRS, SHARE, ELSA. The study analyzed, therefore, a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each 2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DL scale is invariant between HRS and SHA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서비스 국제비교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서비스 성과 연구의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고, 성과에 해당하는 변수를 KLoSA, HRS, ELSA, SHARE에서 찾아 비교한다. 둘째,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equivalence)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우선 KLoSA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ADL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미국의 HRS, 영국의 ELSA, 유럽의 SHARE 자료의 ADL 문항과의 동등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돌봄의 이용자 중심 성과와 관련된 개념을 일상생활활동(ADL) 능력,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스트레스 감소로 보았다. 그리고 KLoSA, HRS, ELSA, SHARE의 관련 변수로 일상생활활동(ADL), 주관적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주관적 건강에 관한 설문 문항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4년 KLoSA 4차조사의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 동등성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K-ADL 지표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값의 비교가 무리가 없음이 증명되었다. 이후 국내 타당성이 검증된 KLoSA의 K-ADL이 타 자료원의 ADL 지표와 측정값의 동등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KLoSA, HRS, ELSA, SHARE 4개의 데이터를 모두 고려한 모형에서는 형태동일성이 확인되었으나, 스칼라 동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후 추가로 2개의 조사자료 간의 조합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오직 HRS와 SHARE 데이터만이 스칼라동일성까지 확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의미에서 측정 동등성을 스칼라 동일성까지 충족되어야 한다고 본다면 HRS 와 SHARE 데이터만이 ADL 측정 값의 동등성이 검증된 것이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 형태동일성까지 확인될 경우도 측정 동등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경우가 있어 KLoSA와 타 자료원 ADL 측정 값 비교 가능성이 점검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스칼라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해당 모형에서 요인적재값이나 분계점에 대한 동일성 제약을 부분적으로 완화 시키는 방법을 통해서 부분 동일성(partial invariance)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동일성을 후속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의 의의를 갖는다. 우선, 이용자 중심 성과에 대한 후속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는 돌봄의 성과를 공급자(정부, 기관) 중심의 성과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성과로 개념화하였다. 이는 정부의 이용자 중심 성과가 중요시되는 상황에서 이용자 중심 성과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국제비교를 위한 측정도구의 검증 및 보정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국가 간 사회문화적 배경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자가보고식 척도 값의 동등성을 확인하는 점검은 필수적이다. ADL지표의 국내외 측정불변성을 검증한 분석결과는 돌봄 영역 국제비교 연구의 전제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다. KLoSA ADL지표의 국가비교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국 돌봄서비스의 대상 즉 ADL장애인을 구분해 내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ADL수치의 비교 또한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KLoSA ADL지표의 국가 간 측정불변성이 검증된다면 이를 근거로 하여 각국 자료원을 병합한 수치 해석이 가능해지고 돌봄 변수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이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향후 돌봄서비스 국제비교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서비스 국제비교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핵심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서비스 성과 연구의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고, 성과에 해당하는 변수를 KLoSA, HRS, ELSA, SHARE에서 찾아 비교한다. 둘째,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equivalence)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우선 KLoSA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ADL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미국의 HRS, 영국의 ELSA, 유럽의 SHARE 자료의 ADL 문항과의 동등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돌봄의 이용자 중심 성과와 관련된 개념을 일상생활활동(ADL) 능력,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스트레스 감소로 보았다. 그리고 KLoSA, HRS, ELSA, SHARE의 관련 변수로 일상생활활동(ADL), 주관적 삶의 질, 돌봄 제공자의 주관적 건강에 관한 설문 문항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KLoSA의 ADL지표가 타 자료원과 갖는 등가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4년 KLoSA 4차조사의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 동등성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K-ADL 지표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측정값의 비교가 무리가 없음이 증명되었다. 이후 국내 타당성이 검증된 KLoSA의 K-ADL이 타 자료원의 ADL 지표와 측정값의 동등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KLoSA, HRS, ELSA, SHARE 4개의 데이터를 모두 고려한 모형에서는 형태동일성이 확인되었으나, 스칼라 동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후 추가로 2개의 조사자료 간의 조합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오직 HRS와 SHARE 데이터만이 스칼라동일성까지 확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한 의미에서 측정 동등성을 스칼라 동일성까지 충족되어야 한다고 본다면 HRS 와 SHARE 데이터만이 ADL 측정 값의 동등성이 검증된 것이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 형태동일성까지 확인될 경우도 측정 동등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경우가 있어 KLoSA와 타 자료원 ADL 측정 값 비교 가능성이 점검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스칼라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해당 모형에서 요인적재값이나 분계점에 대한 동일성 제약을 부분적으로 완화 시키는 방법을 통해서 부분 동일성(partial invariance)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동일성을 후속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의 의의를 갖는다. 우선, 이용자 중심 성과에 대한 후속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본 연구는 돌봄의 성과를 공급자(정부, 기관) 중심의 성과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성과로 개념화하였다. 이는 정부의 이용자 중심 성과가 중요시되는 상황에서 이용자 중심 성과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국제비교를 위한 측정도구의 검증 및 보정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국가 간 사회문화적 배경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자가보고식 척도 값의 동등성을 확인하는 점검은 필수적이다. ADL지표의 국내외 측정불변성을 검증한 분석결과는 돌봄 영역 국제비교 연구의 전제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다. KLoSA ADL지표의 국가비교 가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국 돌봄서비스의 대상 즉 ADL장애인을 구분해 내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ADL수치의 비교 또한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KLoSA ADL지표의 국가 간 측정불변성이 검증된다면 이를 근거로 하여 각국 자료원을 병합한 수치 해석이 가능해지고 돌봄 변수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이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향후 돌봄서비스 국제비교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돌봄서비스,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요인구조, 측정불변성, 측정동등성, 국제비교, 고령화연구패널조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