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86&local_id=100860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발화의 음성적 특징에 대한 연구: 음운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2016S1A5A8019210 |
선정년도 |
2016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7년 10월 31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7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한국어 교사들의 발화’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 보고, 한국어 남성 교원의 여성스러운 발화에서 몇 가지의 운율적 단서들(음의 길이, 음높이 변화, 강세)을 복제하여 일 ...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알려진 ‘한국어 교사들의 발화’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 보고, 한국어 남성 교원의 여성스러운 발화에서 몇 가지의 운율적 단서들(음의 길이, 음높이 변화, 강세)을 복제하여 일반 남성의 발화에 씌워 봄으로써 한국인 청자들의 여성성에 대한 지각 단서의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사들이 자신의 음성 사용 기제에 대해 이해하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음성적 특징들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세부적인 연구 목적이 있었다. 추가 연구로서 연구자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경험적으로 발견한 교사 발화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해 말토막이라고도 불리는 음운구(phonological phrase)의 마지막 두 음절의 음높이를 조작하여 교사가 효과적으로 수업 내용을 전달하는 데 필요한 음성적 특징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isteners' perception on femininity produced by 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which have an impact on students' utterances in L2 classroom settings. Evaluation of a paralinguistic cue(femininity) in questio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isteners' perception on femininity produced by male Korean language teachers, which have an impact on students' utterances in L2 classroom settings. Evaluation of a paralinguistic cue(femininity) in question, in the speech utterances of Korean male teachers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acoustic cues such as Duration, Intensity, and F0 contours. This sound manipulation let teachers themselves perce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voices. In addition, the effective way of delivering messages will be presented by manipulating pitches of the final syllable of phonological phrases produced Korean teachers.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academic studies to shed a positive light on teacher educa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ir own speech patter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난 1년간의 연구 과정을 거치면서 당초 계획되었던 세 가지의 연구 문제 중에서 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남녀 교원의 여성적인 발화에 대한 방언 청자들의 지각 반응을 살펴본 논문은 게재되었다(윤은경·곽선우(2017)).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
지난 1년간의 연구 과정을 거치면서 당초 계획되었던 세 가지의 연구 문제 중에서 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남녀 교원의 여성적인 발화에 대한 방언 청자들의 지각 반응을 살펴본 논문은 게재되었다(윤은경·곽선우(2017)).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결과보고서에 사용될 연구 문제는 당초의 계획에서 일부 변경되었으나, 기본적으로는 실험·청취 음성학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어 남성 교원의 여성성이 느껴지는 발화에 대한 근본적인 음성적 단서(acoustic cues)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음성적 특징들이 실현될 때 실제 의사소통 과정에서 효과적인 내용 전달이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추가 실험(음성 조작)이 실시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를 모국어로 파악하여 대조언어학적 접근을 시도하거나, 학습자 변이를 통해 오류 분석을 시도한 것들이 많았다. 이들의 연구 결과에서는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서 교사 발화의 음 ...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를 모국어로 파악하여 대조언어학적 접근을 시도하거나, 학습자 변이를 통해 오류 분석을 시도한 것들이 많았다. 이들의 연구 결과에서는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서 교사 발화의 음성적 특징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매우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교사발화가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어 남성 교원의 여성스러운 말투의 산출과 지각의 특징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교사 교육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여성스러운 말투의 음성적 특징 중 말토막 억양의 일부를 음성적으로 조작해 봄으로써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메시지 전달력을 높이는 교사 발화의 음성적 특징을 밝히게 되므로 본 논문은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색인어
-
한국어 교원 발화, 남녀 언어, 여성성, 지각적 단서, 한국어발음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