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90&local_id=10086477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실천적 제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실천적 제안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현석(동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23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 사회는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생활안전의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빠른 산업화를 통해 압축 성장한 한국사회의 안전의식과 사회적 시스템의 부재를 보여 준 예라 하겠다. 본 연구는 여타 선진국에서 최우선의 가치를 두는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담론으로 접근하며, 이에 대중영상매체인 애니메이션의 기능적·연출적 특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안전문화에 대한 학술적 정의, 그리고 영국의 안전사고 관련 시스템 및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 문헌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국민안전처 등에서 제작된 기존 안전관련 애니메이션 10편에 대해 Weppel(2014)이 제시한 안전사고 애니메이션 제작의 4가지 순차적 단계를 차용하여, 각 단계 별 ①내러티브 구성, ②상황재현, ③캐릭터와 배경, ④대사와 해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하여 문제점 및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문헌과 사례연구의 결과를 종합적,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안전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의 방법 제시 및 사회적 의식의 확산을 논한 본 논문은 안전사고 관련 학술연구와 영상제작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영문
  • The Korean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safety consciousness becaus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pril 2014. This shows the absence of social system and safety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that has been rapidly growing through fast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s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culture which has the highest value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an educational animation film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accidents through the functional an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animations. For this research process, first, literature review will be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safety culture, the social system of the UK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nimation film related to safety accident. Second, I will analyze 10 safety animation films by focusing on ① narrative composition, ② reproduction of situation, ③ characters and background and ④ dialogue and commentary through four sequential stages of safety accident animation production presented by Weppel (2014) to derive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safety accidents. Third,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safety animation will be sugges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in a comprehensive way.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and animation production related to safety accid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 사회는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생활안전의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빠른 산업화를 통해 압축 성장한 한국사회의 안전의식과 사회적 시스템의 부재를 보여 준 예라 하겠다. 본 연구는 여타 선진국에서 최우선의 가치를 두는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담론으로 접근하며, 이에 대중영상매체인 애니메이션의 기능적·연출적 특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안전문화에 대한 학술적 정의, 그리고 영국의 안전사고 관련 시스템 및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 문헌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국민안전처 등에서 제작된 기존 안전관련 애니메이션 10편에 대해 Weppel(2014)이 제시한 안전사고 애니메이션 제작의 4가지 순차적 단계를 차용하여, 각 단계 별 ①내러티브 구성, ②상황재현, ③캐릭터와 배경, ④대사와 해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하여 문제점 및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문헌과 사례연구의 결과를 종합적,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안전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애니메이션 영상 제작의 방법 제시 및 사회적 의식의 확산을 논한 본 논문은 안전사고 관련 학술연구와 영상제작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실용적 학문의 특성을 갖는 애니메이션이 사회적 이슈인 안전이라는 공공의 가치에 실천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다른 차별성을 갖는다 하겠다.

    -애니메이션의 기능성과 실용성을 바탕으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일반 보편의 사회적 가치를 위한 활용에 대한 제고
    -사회·윤리적 가치추구에 부합하는 애니메이션 분야 학문의 새로운 방향 제시
    -안전사고 예방 애니메이션 제작 시 제작요소에 대한 기준점 제시
    -관련 애니메이션 제작 수업 시 학생들에게 연출적·기능적 구성요소와 서사구성에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

    향후 국내 등재지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에 투고 및 게재할 예정이다.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는 애니메이션 및 관련 학술분야의 연구자가 가입된 학회로서 본 논문을 게재할 시 그 학술적 파급효과가 크리라 예상된다.
  • 색인어
  • 안전 문화, 애니메이션, 안전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