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498&local_id=10086891
플립러닝 기반 힌디어 학습 모형 개발 : 수업 유형 및 학생참여 동영상 강의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플립러닝 기반 힌디어 학습 모형 개발 : 수업 유형 및 학생참여 동영상 강의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태진(부산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27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7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전공필수과목인 ‘기초 힌디어II’를 수강하고 있는 3개 분반 59명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적용 이전과 이후의 성적 및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과연 언어교육에서도 플립러닝 교수법이 학생들의 언어실력 향상과 수업 만족도, 공부에 대한 흥미 유발 등에 일정한 기여 또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플립러닝과 언어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한 실증연구이다. 플립러닝은 일반적으로 교수법 특성 상 발표 및 토론과 협업이 빈번한 사회과학영역의 교과목에서 적용하기 적합하며 언어교육에서는 큰 주목을 받고 있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언어교육, 특히 특수 외국어 교육에서의 적용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었던 것임에는 분명하다. 또한 플리러닝의 교육적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해서도 각 분반별로 차이를 두어 어떠한 수업 운영 방식이 가장 효율적일 수 있는지 최적화된 학습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기에 비교분석이 가능한 연구이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학부 1학년 전공학생 59명이 수강하고 있고 3개의 분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초 힌디어 II’를 대상으로 적용 운영하였는데, 분반 A의 경우에는 교수 스스로 사전에 제작한 동영상을 미리 시청하고 학습하게 하고, 분반 B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일반강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영상은 수업 시간 이후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분반 C의 경우에는 분반 A와 같은 플립러닝의 수업운영 방식을 갖고 있지만 동영상 제작 시 학생들을 참여시켜 교수와 학생 간의 수업 장면 모습을 촬영하여 진행하였다. 그리고 강의 시작 전, 학생들의 어학 능력 테스트와 2015년 1학기 취득한 학생 개인별 학점을 바탕으로 중간고사 이후와 기말고사 이후 각각 한 차례 실시된 설문조사와 자기평가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그러나 2차례 진행된 설문조사 내용에 대한 일관성 결여, 플립러닝 이외의 기타 내외부적 환경을 통한 학생의 수준 변화 가능성, 팀 구성의 한계, 사전 학습을 실시하지 못하였던 학생들에 대한 관리 미흡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있었기에 객관화된 지표를 바탕으로 절대적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특수 외국어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가능성을 읽어낼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플립러닝의 제 1 구성요소인, 동영상 사전 학습에 학생들의 만족도가 가장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특수 외국어의 경우에는 수업 시간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학습이 진행될 수 없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의 독학은 매우 힘든 영영이다. 그러나 미리 준비된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은 사전 학습을 하여 이해도를 높이거나 재인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업 후에도 부족한 부분에 대해 다시 시청함으로써 부족한 강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 시간 내에서의 학생들 간 활동을 통해 교육에 대한 눈높이가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색다른 수업 분위기에도 호기심 이상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일반 강의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팀 별 경쟁이 언어 교육에서도 실시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비록 학습 부진자의 경우 플립러에 대한 참여율이 낮게 나타나 그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그들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참여를 전제를 할 경우 학습에 대한 관심도 증가 및 평소 어렵게 느껴졌던 학습에 대한 대체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참여 구성원의 모두가 만족도가 높았던 것은 아니었다. 일부 학습 우수자의 경우에는 팀 구성원들의 비협조적 참여로 인해 오히려 학습 능률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 및 결론을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 특수 언어 교육에서 그 교과 영역이 문법을 바탕으로 한 경우라면, 동영상 사전 제작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는 매우 클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의 크기 및 시청 환경을 고려해서 만든 강의 동영상은 일종의 디지털 교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셋째, 교실 내에서의 수업은 문제 기반이어야 하며, 팀 구성 및 운영은 반드시 서로 만들어낸 규칙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 부진자의 경우 참여가 전제된다면, 그 학습 효과는 기대 이상의 수준까지 도달될 수 있다. 다섯째, 플립러닝은 교과목의 특성뿐만 아니라 교수와 학생들의 수준도 고려한 맞춤형이어야 한다. 여섯째,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고, 디지털 및 시청각 자료에 익숙한 세대라는 점을 고려할 때 플립러닝은 가장 최적화된 학습모델로 교수-학생 간, 학생들 간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한 애니타임(anytime)-애니훼어(anywhere) 수업방법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unique in terms of i) applying an extended definition of flipped learning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strategic language learning such as Hindi; ii) streamlining a variety of flipped activities in semester-long modules; and iii) examining what specific features of flipped activities yield benefits or pose challenges to students and instructors.
    The research findings is trigge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Hindi class training. This is an interesting study of an area attracting increasing interest in Hindi learning, not just in relation to the general incorporation of a teacher in the classroom but, more specifically, the shift in focus from traditional learning approaches and formats to those of a more formative nature. Also, this i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aspects, and may propose avenues for subsequent research that uses technology to provide a supportive, blended environment for students and to adopt a more ‘guide on the side’ teacher function. The paper is also draw attention not just to the benefits but also to some of the pitfalls of blended learning, such as the potential risk of overloading students and instructors with online activ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처럼 동영상 강의가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언어교육에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특수 외국어 교육의 타당성 및 효과성에 대해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기존의 전통적 일반강의와 비교함으로써 최적화된 학습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플립러닝에 필요한 동영상 강의 제작에 있어서도 교수 혼자 만든 동영상과 학생이 함께 참여하여 만든 동영상을 분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하고 운영함으로써 수업 준비 단계에서부터 학생 중심 학습법을 실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번스테인(Bernstein, 1996)의 분류화(classification)와 구조화(framing) 개념을 활용하여 학생 참여 정도 및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에 대해 수업의 유형을 범주화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플립러닝이 특수 외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모델로 도입될 수 있는 준거에 대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 위함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 후속연구 기반 마련 및 힌디어 교육의 다변화
    다양한 학습자원을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립러닝 기반 연구영역의 확대를 이루어내고 연구자의 교수법 역량 증대와 학제 간 토론을 통한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후속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정형화된 힌디어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통한 교육의 다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2) 사회적·실용적 기여: 지식 증진 및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확대
    본 연구는 새로운 교수법을 연구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문화를 조성하며 힌디어와 같은 언어교육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결하고 분석하는 교육 시스템 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동영상 강의와 학습 모델을 통해 지식이 공유되고 증진되어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과 교육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3) 교육과정 개선: 적용대상 확대 및 교육의 질 제고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연구 자료와 결과물은 보편적 서비스를 다하기 위해 교육현장에서 공유되고 활용될 것이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학습 모델을 바탕으로 다른 교과목에서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실현 및 교수자의 역량 강화 등 교육의 질도 제고할 수 있다.
    (4) 힌디어 교육 자료 공유: 동영상 강의 공개를 통한 학습 공간의 이동
    플립러닝 힌디어 동영상 강의는 전공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온라인을 통해 공개되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기초 힌디어를 학습할 수 있다.
  • 색인어
  • 플립러닝, 학습자 중심 학습법, 힌디어 교육, 학생 참여 강의 동영상, 플립러닝 설계 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