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37&local_id=10086478
사회재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분석: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가?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재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분석: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가?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승주(명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28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한국 정부가 국가적 사건사고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책임 회피한다는 사회적 비판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 연구는 반복되는 사회 재난에 대한 정부 대응 행태가 책임성 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음. 장기간에 걸친 정부 대응의 특징 및 경향성 발견을 위하여 지난 10년 간(2005년-2014년) 발생했던 국가적 사회재난 사례 총 7건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음.

    ○ 법령 분석을 통한 재난 이후의 정부 대응 행태 분석
    - 국가적 재난이 수습된 이후 정부는 문제의 원인을 찾고 재발 방지 및 예방을 위한 책임을 지며, 그러한 정부의 책임은 관련 법령의 제정 및 개정으로 반영됨. 그러므로 재난 이후, 관련 법령 상 무엇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본다면 정부가 재난의 주요 원인을 무엇에 귀인 했는지, 재난 예방의 책임을 어떻게 분담하였는지 등을 추론할 수 있음.
    - 이를 위해 일곱 건의 분석 사례별로 사건 직후 개정된 법령의 내용을 찾아 분석하였음. 총 21개 법률의 제・개정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틀은 크게 세 차원으로 구성하였는데, 문제 인식의 변화 차원, 조직 관계의 변화 차원, 정책 내용의 변화 차원으로 분류하였고 차원마다 하위 차원들을 분석하였음.
    - 분석 결과, 사회 재난 이후 정부의 대응 특징은 첫째, 문제 인식 상 재난 대응의 패러다임적 변화로 나타난 경우가 거의 없으며 개별적 문제 원인 및 상황을 정부의 관리 대상에 포함해나가는 일차원적 대응이었으며 둘째, 재난 이후 중앙집권적 관리체계가 강화되었는데 상위 조직이 일선 조직에 비해 더 포괄적 권한과 책임을 맡는 방향으로 변화해간데 비해, 공공과 민간 조직 사이의 책임은 민간영역의 당사자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음. 또한 해당 재난의 관리 기준을 구체화하고 사전 규제 및 관리 절차를 증가함으로써 재난 관리를 정부 규제의 증가 형태로 대응하였고, 외부 민간조직에게 관리 및 감독의 권한을 넘김으로써 전문성 강화 또는 책임 회피라는 논쟁점을 남기고 있었음.

    ○ 정부의 책임성 분석 모형 도출
    - 정부 책임성에 관한 다차원 모형 구성을 위한 이론적 연구 및 분석 작업 수행하고 전문가 및 실무자의 의견 취합하여, 책임의 영역-주체-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차원에 하위 판단 기준들을 도출하였음. 이와 같은 분석 모형을 일곱 건의 사회재난 사례에 적용한 결과, 사건의 진행 과정에서 정부의 책임 영역에 대한 초기 판단은 회피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건 수습 중 정부의 책임 주체에 대한 판단은 하부의 분산적 책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발견되었고, 사건 종료 후 책임 방식에서는 대체로 공직자보다는 과실 유발 당사자의 법적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었음.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overnment responses to repeated social disasters appear in terms of accountability, as the Korean government is increasingly criticized for avoiding its responsibility for coping with national accidents. In order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government response over a decade, w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n 7 cases of national social disasters that occurred in the past 10 years (2005 - 2014). As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ly, it was rarely seen as a paradigm shift with respect to a perception of disaster, and the government made measures to address the primary and direct cause of the disaster with ignoring the indirect and structural causes. Secondly,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was rather centralized than before disaster. Also, in terms of the allocation of responsibilit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duty of stakeholder in the private sector related to disaster prevent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rather than that of public sector. Lastly, the management criteria of the disaster were more elaborated and the management procedures were increased. Thus, Government regulations on disaster management have increased further. In addition, as the authority of disaster management was partly outsourced to the private sector, the controversy arose over the responsibility avoidance of the government on disaster manag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한국 정부가 국가적 사건사고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책임 회피한다는 사회적 비판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 연구는 반복되는 사회 재난에 대한 정부 대응 행태가 책임성 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임. 장기간에 걸친 정부 대응의 특징 및 경향성 발견을 위하여 지난 10년 간(2005년-2014년) 발생했던 국가적 사회재난 사례 총 7건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음. 분석 결과, 사회 재난 이후 정부의 대응 특징은 첫째, 문제 인식 상 재난 대응의 패러다임적 변화로 나타난 경우가 거의 없으며 개별적 문제 원인 및 상황을 정부의 관리 대상에 포함해나가는 일차원적 대응이었으며 둘째, 재난 이후 중앙집권적 관리체계가 강화되었는데 상위 조직이 일선 조직에 비해 더 포괄적 권한과 책임을 맡는 방향으로 변화해간데 비해, 공공과 민간 조직 사이의 책임은 민간영역의 당사자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음. 또한 해당 재난의 관리 기준을 구체화하고 사전 규제 및 관리 절차를 증가함으로써 재난 관리를 정부 규제의 증가 형태로 대응하였고, 외부 민간조직에게 관리 및 감독의 권한을 넘김으로써 전문성 강화 또는 책임 회피라는 논쟁점을 남기고 있었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다양한 사회재난 이후, 정부 대응이 나름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이 재난 관리 측면에서 우려가 있음을 근거 자료를 분석을 통해 확보하였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논문과 책 등의 형태로 발표하고 언론보도 등을 통해서 제시할 계획임. 행정책임론, 위기관리 등 행정학 분야의 수업 내용에 포함시켜 수업의 교재로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며, 관련 과목(위기관리)의 특강 방식으로 연구 성과의 교육 기회를 확보할 것임. 향후 연구 범위가 아니었던 최근 재난 사례에도 이러한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또한 정부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정책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다른 관련 연구로 확장하여 진행할 예정임. 재난 이후, 정부의 정책학습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제도적 조치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정부 내 주요 조직단위 별 역할과 책임 등을 검토하는 향후 연구를 진행할 예정임.
  • 색인어
  • 재난 관리, 책임성, 책임 회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