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43&local_id=10086479
근대 초기 이중언어(二重言語) 표기와 일선어소설(日鮮語小說)-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대 초기 이중언어& #40;二重言語& #41; 표기와 일선어소설& #40;日鮮語小說& #41;-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노혜경(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31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크게 다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현공렴의 일선어 저작물 개관. 둘째,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연구. 셋째, 일선어표기의 특질 추출 및 일선어소설의 문학사적 의미와 한계 논의. ‘현공렴의 일선어저작물 개관’에서는 문법서인 『 정선 일어통편 전』을 비롯해서, 본 연구자가 새롭게 발굴한 현공렴의 저작물『일선소화(日鮮笑話)』 및 『일선담화(日鮮談話)』등에 대한 자료 소개와 개관 작업을 수행하였다.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에 대한 개관 작업도 여기에서 수행하였다.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연구’에서는 일선어소설의 대표작이라 판단되는『죽서루』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선어표기의 특질 추출 및 일선어소설의 문학사적 의미와 한계 논의’에서는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들을 종합해 결론을 추출해 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현공렴의 일선어 저작물 개관
    가. 문법서
    『정선 일어통편 전(精選日語通編全)』은 현공렴이 직접 저술한 일본어 교재이다. 본 연구 수행 과정에서는 『정선 일어통편 전』에서 사용된 문체의 특징, 조선어와 일본어의 표기 방식, 주석의 처리 방법, 구두법(句讀法)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식민시 시기 초기에 시도되었던 이중 언어 표기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나. 일선어소설
    『동각한매』는 일본의 고전예능인 라쿠고「분시치못토이(文七元結)」가 원작으로 이를 번안한 것이다.「분시치못토이(文七元結)」는 에도시대에 성립된 고전 라쿠고이다. 이것을 현공렴은 근대 조선의 경성을 무대로 펼쳐지는 신소설로 탈바꿈시켰다. 본 연구과정에서는 『동각한매』의 번안 과정에서 어떠한 변용과 굴절이 있어났는지에 대해서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다. 기타 출판물
    『일선소화』『일선담화』는 주석의 방식과 구성 등으로 미루어볼 때 일본어를 학습하는 조선어 독자를 상정한 출판물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일본어를 다양한 조선어로 번역하는 사례 등도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대표작 연구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대표작으로 평가할 수 있는『죽서루』대한 기존의 연구는 전무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원작의 실재(實在) 여부에 대한 탐구를 병행하였다.『죽서루』의 내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죽서루』는 기행문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새로운 시대의 풍속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실업(實業)과 농업을 강조하고 정부 정책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고 있는 점이다. 문장의 형태면에서 특징적인 것은 괄호, 말줄임표, 구두점과 같은 문장부호를 많이 사용한 점이다. 이것은 전작인 『동각한매』나『정선 일어통편 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이 책들이 거의 동시기에 발간된 점을 고려한다면 현공렴이 이 시기의 문장에 다양한 부호를 실험적으로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선어 저작물의 이중언어 표기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언어 교육적 의도가 강하다는 것이다. 『죽서루』발간 이후 일제의 식민지 통치와 출판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현공렴은 자신이 관여하던 출판물들의 성격을 점차 바꾸어가게 된다. 그것은 세태 비판 등의 주관적 해석을 생략하고, 본격적인 일본어 교육서로서의 면모를 강화하는 방향이었다. 그렇게 해서 출간된 것이 『일선소화』『일선담화』와 같은 언어 교육적 성격이 강하고,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저작물이다. 이 책들에서는 좀 더 세분화 되고 다양한 이중언어 표기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교과서와 같은 외견을 갖추게 된다. 작품의 소재도 골계담이나 소화와 같이 가벼운 내용을 선택함으로써 독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이 서적들이 10전 내외의 저렴한 가격대였던 것도 구매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격적인 이중언어 표기 저작물들의 상품화 시대가 진행되는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largely composed of following three parts. First, the overview of Ilseoneo writing of Hyun Kong-Ryeom. Second, research on Ilseoneo novel of Hyun Kong-Ryeom. Third, the extr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Ilseoneo writing, discussion of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of Ilseoneo novel and limitation. And this research conducted the introduction to the data related to the writings of Hyun Kong-Ryeom newly discovered by the researcher, such as 『Ilseonsohwa(日鮮笑話)』,『Ilseondamhwa(日鮮談話)』 and the overview, besides the grammar book Jeongseon Japanese Tongpyeonjeon in ‘The overview of Hyun Kong-Ryeom’s Ilseoneo writing’. The overview of Hyun Kong-Ryeom’s Ilseoneo novel 『Donggakhanmae』 and 『Jukseoru』 was also performed here. In respect of ‘Study on Hyun Kong-Ryeom’s Ilseoneo novel’, an in-depth analysis of『Jukseoru』, determined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Ilseoneo novels, was performed. In ‘Discussion on the extract of characteristic of Ilseoneo writing,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of Ilseoneo novel, and the limitation’, this research performed extract of conclusion by aggregating the contents arranged so far.
    First, the overview of Hyun Kong-Ryeom’s Ilseoneo writings
    A. Grammar book
    『Jeongseon Japanese Tongpyeonjeon(精選日語通編全)』is a Japanese textbook written by Hyun Kong-Ryeom.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arrang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of 『Jeongseon Japanese Tongpyeonjeon』, the writing mode of Joseon language and Japanese, treatment of footnote, and the characteristic of punctuation(句讀法), etc. Through this, this research intend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of dual language writing that was tried in the initial stage of colonial era.
    B. Ilseoneo novel
    『Donggakhanmae』was an adaptation of the original work of Japanese classic arts book Lakugo「Bunsichimottoi(文七元結)」.「Bunsichimottoi(文七元結)」is a classic Lakugo established during the Edo period. Hyun Kong-Ryum changed this to a new-style novel that was spread in Gyeongseong of modern Joseon. This research closely investigated which transformation and refrac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Donggakhanmae』.
    C. Other publication
    Considering the method and composition of the footnotes of 『Ilseonsohwa』. 『Ilseondamhwa』 they are determined as the publication that targeted Joseon readers who studied Japanese language. Here, the cases of translating Japanese into various Joseon languages are remarkable.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arranged and analyzed such phenomena.
    Second, study on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yun Kong-Ryeom’s Ilseoneo novel
    There’s almost no research on『Jukseoru』that can be evaluated as the representative Ilseoneo novel of Hyun Kong-Ryeom. This research combined an investigating on whether of the existence(實在) of the original work minding various possibilit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of『Jukseoru』is as follows. First,『Jukseoru』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travel essay. Second, it actively introduces the custom of a new era. Third, it emphasizes the practical industry(實業) and agriculture, and criticizes the government policy. The characteristic of the form of sentence is using bracket, ellipsis, and punctuation mark a lot. This is also the characteristic in the precedent works,『Donggakhanmae』and『Jeongseon Japanese Tongpyeonjeon』. Considering that these books were published almost in the same period, there’s a possibility that Hyun Kong-Ryeom tried various punctuation marks experimentally in the sentences of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more closely examine the background of such try. The characteristic in the dual language writing of Ilseone writing is a strong educational intention for language.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ntrol over publica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Jukseoru』, Hyun Kong-Ryeom gradually changed the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s that he was related to. That was a direction to omit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such as generation criticism and reinforcement of the aspect as a regula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ook. Accordingly, such books as 『Ilseonsohwa』and 『Ilseondamhwa』 , with a strong characteristic of language education and easy to read, were published. These books were equipped with the appearance of textbook by being more segmentalized and introduced to various dual linguistic inscription. By selecting light contents as the subject matter of the work, such as Golgyedam or Sohwa, etc., planning for the readers to more easily approach. The price of these books was around 10 jeon, which seemed to have been the strategy to make easy purchase. It was a progress of the regular commercialization era of dual language writing wor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 초기 출판물에서 발견되는 이중언어 표기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중언어 표기의 대표적 결과물인 일선어소설(日鮮語小說)을 연구해 그 특질과 문학사적 의미를 정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료 발굴과 분석을 토대로 하는 실증적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개별 자료에 대한 세밀한 독서를 바탕으로 하는 미시적 접근법과, 각 자료들의 연계성 및 자료가 놓인 문학사적 위상을 참조하여 가치를 판단하는 거시적 접근법을 절충해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현공렴의 일선어 저작물 개관. 둘째,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연구. 셋째, 일선어표기의 특질 추출 및 일선어소설의 문학사적 의미와 한계 논의. ‘현공렴의 일선어저작물 개관’에서는 문법서인 『정선 일어통편 전』을 비롯해서, 본 연구자가 새롭게 발굴한 현공렴의 저작물『일선소화(日鮮笑話)』 및 『일선담화(日鮮談話)』등에 대한 자료 소개와 개관 작업을 수행하였다.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동각한매』와『죽서루』에 대한 개관 작업 또한 여기에서 수행하였다.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연구’에서는 일선어소설의 대표작이라 판단되는『죽서루』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선어표기의 특질 추출 및 일선어소설의 문학사적 의미와 한계 논의’에서는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들을 종합해 결론을 추출해 내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현공렴의 일선어 저작물 개관
    가. 문법서-본 연구 수행 과정에서는 『정선 일어통편 전』에서 사용된 문체의 특징, 조선어와 일본어의 표기 방식, 주석의 처리 방법, 구두법(句讀法)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식민시 시기 초기에 시도되었던 이중 언어 표기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다.
    나. 일선어소설-현공렴은 일본의 고전예능인 라쿠고「분시치못토이(文七元結)」를 번안하여 근대 조선의 경성을 무대로 펼쳐지는 신소설로 탈바꿈시켰다. 본 연구과정에서는 『동각한매』의 번안 과정에서 어떠한 변용과 굴절이 있어났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다. 기타 출판물- 『일선소화』『일선담화』는 주석의 방식과 구성 등으로 미루어볼 때 일본어를 학습하는 조선어 독자를 상정한 출판물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일본어를 다양한 조선어로 번역하는 사례 등도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대표작 연구
    현공렴의 일선어소설 대표작으로 평가할 수 있는『죽서루』대한 기존의 연구는 전무에 가깝다. 본 연구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원작의 실재(實在) 여부에 대한 탐구를 병행하였다.『죽서루』의 내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죽서루』는 기행문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새로운 시대의 풍속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실업(實業)과 농업을 강조하고 정부 정책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고 있는 점이다. 문장의 형태면에서 특징적인 것은 괄호, 말줄임표, 구두점과 같은 문장부호를 많이 사용한 점이다. 이것은 전작인 『동각한매』나『정선 일어통편 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이 책들이 거의 동시기에 발간된 점을 고려한다면 현공렴이 이 시기의 문장에 다양한 부호를 실험적으로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일선어 저작물의 이중언어 표기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언어 교육적 의도가 강하다는 것이다. 『죽서루』발간 이후 일제의 식민지 통치와 출판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현공렴은 자신이 관여하던 출판물들의 성격을 점차 바꾸어가게 된다. 그것은 세태 비판 등의 주관적 해석을 생략하고, 본격적인 일본어 교육서로서의 면모를 강화하는 방향이었다. 그렇게 해서 출간된 것이 .『일선소화』나 『일선담화』같은 저작물이다. 이 책들에서는 좀 더 세분화 되고 다양한 이중언어 표기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교과서와 같은 외견을 갖추게 된다. 작품의 소재도 골계담이나 소화와 같이 가벼운 내용을 선택함으로써 독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이 서적들이 10전 내외의 저렴한 가격대였던 것도 구매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격적인 이중언어 표기 저작물들의 상품화 시대가 진행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소외 학문 분야 발전 및 학제간 연구에 기여 : 지금까지 근대 초기 국내 소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신소설과 역사전기소설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들어 근대초기 단형서사물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시작되었으나, 이러한 학계의 연구 범위 확산 경향에도 불구하고 일선어소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는 지금까지의 한국 근대문학사 연구 및 한일 근대 비교문학사 연구가 대부분 주류(主流) 양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일선어소설 계열 작품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만으로도 소외 학문 분야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일선어소설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 초기 문학에 연구이면서, 근대 초기 일본어 작품에 대한 해독 능력을 필요로 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학제간 연구의 한 전범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선어소설의 기능 가운데 하나가 언어 교육이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조선인을 상대로 한 일본어 교육 방법론에 대한 천착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한다.
    2) 근대 출판인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현공렴은 한말 개화기의 대표적인 출판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개화기의 대표적인 출판사인 대창서원을 직접 운영하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에 능통하여 수많은 역서와 저서를 남겼다. 지금까지 현공렴이 출판 문화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라고 하는 인식은 공유한 상태이지만 그의 관한 연구는 진전된 바가 없다. 이 연구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현공렴의 한국 출판문화 확산 및 근대문학사와 관련된 기여도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3) 해외 소장 근대 한국학 자료의 추가 발굴 및 후속 연구 촉발 기대 : 지금까지 일선어소설 계열의 작품에 관한 연구는 별반 진행된 것이 없다. 이는 일선어계열 소설이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발굴 공개된 원전 텍스트의 숫자가 지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문학사 초기에 출판된 단행본 후면이나 잡지 소재 서적 광고 등으로 미루어본다면, 한말 개화기 및 식민지 시기에 간행된 일선어소설 계열의 작품 수는 결코 적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선어소설의 대표 저자인 현공렴이 당시 저술 출판 활동을 매우 왕성하게 전개하던 현채(玄采)가(家)의 한 사람이었다는 점도 관련 작품의 추가 발굴 가능성을 높인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일선어 저작물들인 .『일선소화』와『일선담화』의 소장처는 미국의 하버드대학 부설 옌칭도서관이다. 이 점을 참고로 한다면, 미국 대학뿐만 아니라 일본 등 여타 해외 대학 및 문학 자료관에 소장된 근대 문학 관련 자료에 대한 추가 발굴의 필요성 또한 높아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후속 자료 발굴 및 추가 후속 연구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 본 연구는 학문적 효용성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식민지 시기의 일본과 조선의 비교문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식민지 시기 대중을 상대로 한 일본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식민지 시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다소 진행된 바 있지만, 교과서 이외의 문학 작품이 일본어 교육에 사용되었다는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의 성과는 식민지 시기 조선 내에서의 일본어 교육의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일선어 저작물 및 일선어소설 텍스트는 근대 일본에서 유입된 일본식 한자어와 근대 개념어 연구를 위한 실증적 강의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텍스트 형성 과정 연구 및 강의의 실증적 사례로 활용할 수 있다. 문학 교육에서는 작품의 가치에 대한 접근뿐만 아니라 그 작품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역사적 이해 또한 중요하다. 문학 교육에서 문학사 교육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론의 교육현장에서 중요한 것은 원작이 번역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형 및 굴절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굴절을 초래한 번역자의 의도 및 문학외적 요인이 무엇이었나를 학생들과 함께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일선어소설은 하나의 작품을 조선어와 일본어로 표기함으로써 하나의 작품 안에서 전혀 다른 두 언어를 사용하는 필자의 복합적 문화의식을 드러낸다. 특히 두 언어 사이에 직역이 아니라 의역의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드러난다. 일선어소설에 사용된 언어의 비교는 단순한 문장 비교의 차원을 넘어 문화 비교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특정 텍스트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 색인어
  • 현공렴, 이중언어 표기, 일선어소설 『죽서루』, 번안, 라쿠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