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47&local_id=10086142
지방공무원의 기대불일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간사용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방공무원의 기대불일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간사용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대성(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34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군, 시, 도 6개 지역의 지방공무원들 2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25(화)-26(수) 이틀간의시간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공직선택동기, 공직전반에 대한 기대치, 조직문화 및 개인특성,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에 대한 인식과 이틀동안의 시간조사를 30분 간격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런 본 연구는 시간사용을 통한 객관적 지료에 근거하여 지방공무원의 역할을 정의하고 존재욕구, 공직봉사동기, 관계욕구, 성장요구 등 공직선택동기에 따른 공직 임용시 최초의 기대와 실제 공직생활에서 느끼는 기대불일치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동료와 상관관의 접촉과 공동업무 수행시간의 정도가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추가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분석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학문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지방공무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에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지방공무원과 지방정부 조직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지방정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 측정이 가능하다.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해서 이들의 역할과 삶의 질을 측정하고 업무유형과 강도 등을 분석하여 지방정부의 성과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방공무원의 동기유발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by using the time survey method. For 250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ounties, cities and provinces, I conducted a survey on their use of time for two days (April 25-26, 2017). In addition,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the motives for their involvement in the public sector, expectations of public sector work, organizational culture, personal characteristics,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by using objective data on their time use. Moreover,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the gap between their prior expectation and public sector work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how this effect differs by their motivation to work in the public sector existence desire, public service motivation, relationship desire, and growth dem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as following. First, by examining how local government officials allocate their time and efforts in specific public services, this study will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Second, this study involves objective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affect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Local public officials roles and quality of life are measured by analyzing their time use. Also, the types and intensity of their work are analyzed to discuss academic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motivat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하여 실제로 지방공무원들이 어떤 업무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지, 상사나 동료의 영향력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법정근무 시간과 초과근무시간을 포함한 총 근로시간은 얼마인지 등을 통하여 지방공무원들의 업무량과 업무비중 및 업무정도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려고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업무수행에서 발생하는 동기저해 요인들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려고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공직에 진입 시 가졌던 공직에 대한 기대와 실제 업무와 업무환경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기대불일치가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개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이 아닌 실제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하여 지방정부의 조직성과를 저해하는 동기요인들을 측정하고 이런 동기저해 요인들이 지방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 하려고 하고 있다. 또한 지방공무원들의 역할을 정의하고 지방정부 조직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지방정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6개 도, 시, 군 지방공무원 250명을 대상으로 이틀간의 시간사용을 조사했다. 이런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해서 실제로 지방공무원들이 어떻게 시간을 활용하는가를 통해서 지방공무원의 역할과 지방정부조직을 이해하는데 학문적 기초를 제시해 줄 수 있다. 즉, 지방공무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에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지방공무원과 지방정부 조직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방정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그동안 조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응답자의 주관적인 인식에 근거하여 조직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해서 지방공무원들의 감정노동을 발생시키는 민원업무의 비중과 초과근로나 업무과중에 따른 삶의 질문 문제, 그리고 동료나 상관관의 관계 등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은 지방정부의 성과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지방공무원들의 역할과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들의 시간사용을 통해서 이들의 역할과 삶의 질을 측정하고 업무 유형과 강도 등을 분석하여 지방정부의 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방공무원들의 동기유발 등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가 있다.
  • 색인어
  • 기대불일치, 조직성과, 시간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