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71&local_id=10086449
독일어 명사합성어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코퍼스-계량언어학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독일어 명사합성어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코퍼스-계량언어학적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민재(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32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 과제는 형태론적 생산성에 관한 연구로서 독일어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코퍼스-계량언어학적 연구로서, 한정적 명사합성어를 구성하는 핵심어와 비핵심어 사이의 의미적 결합관계를 토대로 개별 조어유형의 형태론적 생산성을 추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독일어에서 가장 활발한 조어현상 가운데 하나인 명사합성어, 특히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개별적인 조어현상들을 형태론적 생산성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주제는 1.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조어론적 유형 분류 체계 검토, 2. 분석대상 자료 수집 및 분석, 3. 통계론적 해석 모델 연구로 요약할 수 있다.
    조어규칙의 적용상황을 통시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독일어 코퍼스로부터 추출한 일반명사 목록에서 단일어와 명사합성어를 구분하고, 명사합성어 목록에서 다시 한정적 명사합성어를 구별해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한정적 명사합성어 목록은 1900년부터 2006년까지 연도별로 비슷한 규모로 설정하였다.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조어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Kotulkova(2004)가 제안한 Genitivische Komposita, Adjektivische Komposita, Praepositionale Komposita 세 가지 바꿔쓰기 유형으로 구분하고, Motsch(1999)의 술어-논항-구조에 따른 의미관계분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통계자료에 형태론적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적용하여 개별 어형성 규칙의 생산성을 추정하였다.
  • 영문
  • (In german) Bei dieser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um die morphologische Produktivitaet der deutschen substantivischen Determinativkomposita. Die wichtigste Untersuchungsfrage ist, wie oft die einzelnen semantischen Relationen zwischen den Bestimmenden und den Bestimmten diachronisch angewendet werden und wie die Produktivitaet des einzelnen Wortbildungsprozesses aussieht. Im Einzelnen wird untersucht: 1. wie man die semantischen Modifikationsrelationn bei den substantivischen Determinativkomposita systematisch berschreiben kann, 2. wie effektiv man die diachronischen Belegen korpuslinguistisch bearbeiten kann und 3. wie man statistisch die morphologische Produktivitaet bei den substantivischen Determinativkomposita analysieren kann. Als Basiskorpus wird das Kernkorpus von DWDS, im Zeitraum von 1900 bis 2006 und im Umfang von 5,000 Saetze fuer jedes Jahr, benutzt. Und bei der Analyse der morphologischen Struktur wird die Unterscheidungen von Kotulkova(2004) und Motsch(1999) herangezog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 과제는 형태론적 생산성에 관한 연구로서 독일어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코퍼스-계량언어학적 연구로서, 한정적 명사합성어를 구성하는 핵심어와 비핵심어 사이의 의미적 결합관계를 토대로 개별 조어유형의 형태론적 생산성을 추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독일어에서 가장 활발한 조어현상 가운데 하나인 명사합성어, 특히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개별적인 조어현상들을 형태론적 생산성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주제는 1.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조어론적 유형 분류 체계 검토, 2. 분석대상 자료 수집 및 분석, 3. 통계론적 해석 모델 연구로 요약할 수 있다.
    조어규칙의 적용상황을 통시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독일어 코퍼스로부터 추출한 일반명사 목록에서 단일어와 명사합성어를 구분하고, 명사합성어 목록에서 다시 한정적 명사합성어를 구별해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한정적 명사합성어 목록은 1900년부터 2006년까지 연도별로 비슷한 규모로 설정하였다. 한정적 명사합성어의 조어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Kotulkova(2004)가 제안한 Genitivische Komposita, Adjektivische Komposita, Praepositionale Komposita 세 가지 바꿔쓰기 유형으로 구분하고, Motsch(1999)의 술어-논항-구조에 따른 의미관계분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통계자료에 형태론적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적용하여 개별 어형성 규칙의 생산성을 추정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했던 명사합성어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관한 연구로서 형태적 분류기준이 아닌 의미관계에 주목하여 생산성을 추정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 연구결과와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방법론은 실제 예문에서 추출한 대규모 자료에 통계모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형태론적 생산성 추이를 통시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결과를 보완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금까지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연구는 형태론적 기준이 상대적으로 명확한 파생어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독일어에서 가장 활발하게 신조어가 생성되고 있는 명사합성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물은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도외시되어 왔던 명사합성어에 주목하고 구성성분들 사이의 의미관계에 기반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영역을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연구방법론은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코퍼스-계량언어학적 접근 방법으로 기존 코퍼스 언어학 연구대상의 폭을 넓히고 방법론을 확충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재 코퍼스 언어학의 주요 이슈는 다양한 언어현상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므로 통계처리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형태론의 기존 연구과제에 코퍼스 처리기법과 통계처리기법이 접목됨으로써 관련 주제 연구를 활성화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형태론적 생산성, 명사합성어, 통계모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