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80&local_id=10086589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미하(서울한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37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역경 후 성장의 애착-인지모형을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 적용하여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자녀 부모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을 매개로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에 부적 영향이 있었고, 역경 후 성장에는 영향이 없었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역경 후 성장에 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장애수용에는 영향력이 없었다. 장애수용도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그 외 모든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자녀 부모의 역경 후 성장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by linking the attachment-cognition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with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43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obtained following findings. First, adult attachment of those parent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appropriateness was found in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adult attachment, mediated b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ffected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hile it had no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but no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but no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lso had no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while no other factors had a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역경 후 성장의 애착-인지모형을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 적용하여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자녀 부모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을 매개로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에 부적 영향이 있었고, 역경 후 성장에는 영향이 없었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역경 후 성장에 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장애수용에는 영향력이 없었다. 장애수용도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그 외 모든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자녀 부모의 역경 후 성장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장애자녀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수용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는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의 긍정적 경험인 역경 후 성장에 자녀의 장애수용보다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효과적인 변인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결과활용이 기대된다.
    첫째, 지금까지 장애자녀부모의 긍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는 이루어져 왔지만 경험적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역경 후 성장이라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자녀부모의 역경 후 성장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그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을 수립해 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장애자녀와 그 부모가 경험하고 있는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증거기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애자녀 부모의 심리적 건강의 지표로서 역경 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 정서적 서비스 정책적 제도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장애자녀로 인해 역경을 경험하고 있는 부모들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역경 후 성장을 증진시키는데 자녀에 대한 장애수용보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효과적인 변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장애자녀 부모에게 일어나는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부정정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는데 필요한 인지기반 개입 전략에 대해 제언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색인어
  • 성인애착, 역경 후 성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장애자녀 부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