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84&local_id=10086967
제2언어의 암시적 지식 검사도구의 타당성 재검토: 언어 정보 처리 방식, 시간 제약, 감각 양상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2언어의 암시적 지식 검사도구의 타당성 재검토: 언어 정보 처리 방식, 시간 제약, 감각 양상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정은(홍익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39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7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시간 제한이 있는 문법판단검사(Timed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TGJT)와 유도구두모방검사(oral elicited imitation test, OEIT)는 제2언어(L2)의 암시적 지식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검사 도구를 활용한 과거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L2 학습자들이 OEIT에서보다 TGJT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양상을 관찰한 바 있다. 이는 두 검사 도구에서 요구되는 정보 처리 방식에서 기인한 차이로 추정된다. 예컨대 TGJT는 언어의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측정하며, OEIT는 언어의 표현 능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의 정보 처리 방식이 L2 학습자의 암시적 지식 접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OEIT는 TGJT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암시적 지식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IT가 암시적 지식 측정에 있어서 더욱 강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OEIT에서 실현되는 시간 제한의 방식(실재적 제한 혹은 심리적 제한)과 TGJT에서 실현되는 감각 양상(읽기 모드 혹은 듣기 모드)가 암시적 지식 검사 도구의 타당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OEIT의 경우, 실재적 시간 제한을 둘 때, 그리고 TGJT의 경우 듣기 모드로 검사를 시행할 때 더욱 수준 높은, 혹은 강력한, 암시적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imed grammaticality judgment tests (TGJT) and oral elicited imitation tests (OEIT) are considered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implicit linguistic knowledge, but studies consistently observe better performances on the TGJT than the OEIT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processing they require: comprehension for the TGJT and production for the OEI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degree of access to implicit knowledge is a function of processing type. Results from a series of factor analyses suggest that the OEIT requires greater access to implicit knowledge—implying that it measures stronger implicit knowledge—than the TGJT.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effects on construct validity of time pressure in the OEIT (uncontrolled vs. controlled) and modality in the TGJT (written vs. aura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sts reached higher construct validity, or measured stronger implicit knowledge, when the OEIT employed controlled time pressure and the TGJT used aural stimuli.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시간 제한이 있는 문법판단검사(Timed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TGJT)와 유도구두모방검사(oral elicited imitation test, OEIT)는 제2언어(L2)의 암시적 지식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검사 도구를 활용한 과거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L2 학습자들이 OEIT에서보다 TGJT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양상을 관찰한 바 있다. 이는 두 검사 도구에서 요구되는 정보 처리 방식에서 기인한 차이로 추정된다. 예컨대 TGJT는 언어의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측정하며, OEIT는 언어의 표현 능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의 정보 처리 방식이 L2 학습자의 암시적 지식 접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OEIT는 TGJT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암시적 지식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IT가 암시적 지식 측정에 있어서 더욱 강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OEIT에서 실현되는 시간 제한의 방식(실재적 제한 혹은 심리적 제한)과 TGJT에서 실현되는 감각 양상(읽기 모드 혹은 듣기 모드)가 암시적 지식 검사 도구의 타당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OEIT의 경우, 실재적 시간 제한을 둘 때, 그리고 TGJT의 경우 듣기 모드로 검사를 시행할 때 더욱 수준 높은, 혹은 강력한, 암시적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기존에 알려진 암시적 지식의 평가 도구인 TGJT와 OEIT의 차별성에 대해 규명하였다. 예컨대, 본 연구에서는 OEIT가 TGJT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암시적 지식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OEIT는 고강도의 암시적 지식 평가도구로서 재평가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SLA 분야의 암시적 지식 탐구를 위한 지침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교수법 및 학습 전략 등의 우수성과 효율성을 탐색하는 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언어 학습과 교육의 목표는 L2의 암시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있다. 암시적 지식의 습득에 있어서 명시적 지식이 미치는 역할은 아직 학계 내에서의 동의가 없지만, 언어 지식의 근본을 형성하는 것이 암시적 지식이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따라서 암시적 지식 개발과 발달에 더욱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교수법과 학습 전략이 효율적인 그것이며, 이러한 교수법과 학습 전략은 L2 교육계 각광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암시적 지식의 검사도구 없이는 일관성 있고 설명력이 큰 결과를 도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층적으로 검증된 검사도구(TGJT 및 OEIT)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바탕으로 여타 제2언어 교육 관련 연구들에 훌륭한 연구 기반을 제공해 줄 것임을 확신한다.
  • 색인어
  • 암시적 지식, 명시적 지식, 문법판단검사, 유도구두모방검사, 정보 처리 방식, 시간 제약, 감각 양상, 신뢰도, 타당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