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92&local_id=10086640
공적개발원조와 초국적 네트워크: 아프리카 여성 건강 원조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공적개발원조와 초국적 네트워크: 아프리카 여성 건강 원조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은혜(숭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44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여성의 건강과 초국적연결망 연구는 여성의 건강분야에 있어 국제개발원조를 받기 위해 여성 INGO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 건강분야에 대한 원조액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으나 어떤 국가가 어떤 매커니즘에 의해서 원조를 받는지, 그 금액은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간 시계열 비교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성의 INGO는 가족계획 분야의 건강원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성의 재생산권 혹은 HIV/AIDS와 같은 원조 분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건강관련 원조 프로젝트들에 관여하는 국제기구들이 불균형적인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의 건강원조 자원과 자금도 불평등하게 분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영문
  • Recent literature on women's health and women's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 emphasizes the role of women's INGOs in get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women's health is one of the main areas where development organizations have targeted and received many of health aid programs. However, there is a few analyses on which country can get funded or receives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what kinds of transnational politics are dominant in deciding women's health aid. Using a cross-sectional time-series analysis, this research found that women's international NGOs are only effective in getting aids on family planning and not in reproductive health care and HIV/AIDS assistan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unequal distribu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efforts to initiate health related projects, which might lead systematical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assistance in women's health are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여성의 건강과 초국적연결망 연구는 여성의 건강분야에 있어 국제개발원조를 받기 위해 여성 INGO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 건강분야에 대한 원조액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으나 어떤 국가가 어떤 매커니즘에 의해서 원조를 받는지, 그 금액은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간 시계열 비교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성의 INGO는 가족계획 분야의 건강원조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성의 재생산권 혹은 HIV/AIDS와 같은 원조 분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건강관련 원조 프로젝트들에 관여하는 국제기구들이 불균형적인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의 건강원조 자원과 자금도 불평등하게 분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구체적인 통계 데이터에 기반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공적원조의 특징을 검증하는 한편, 2000년대 들어서 강화되고 있는 세계시민성에 기초한 원조의 국제화(globalization of aid)의 효과도 검증해 볼 수 있다는 학문적 장점을 가진다. 이는 단순히 공적원조개발 연구뿐만 아니라 세계화에 대한 보다 거시적인 논의의 틀을 한층 성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공적원조에 대한 연구와 통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정확한 이론 모형을 확립하고 아프리카 여성에 대한 공적개발원조의 흐름을 세계화라는 총체적인 관점으로 조망할 수 있다면 앞으로도 점점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對) 아프리카 ODA 원조에 대한 보다 정교화된 그림을 그려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이 연구의 중요한 활용 분야는 정책 분야라고 할 수 있겠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기존 MDGs를 대체하는 후속 글로벌 개발목표로서 Post-2015 개발 의제 수립이 전세계적으로 정립되어가고 있는 만큼 이를 위한 이행수단과 파트너십의 한 방안으로서 공적개발원조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새로운 정책 수립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정부 예산에만 의존하는 ODA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과 출처를 가진 개발 자원이 어디로부터 와야만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세계시민성에 기초한 초국적 네트워크의 역할을 분석틀에 포함시킨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남녀의 성 격차를 줄이는데에도 정책적으로 많은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초국적 사회운동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국가 수준을 뛰어넘는 여성들의 연대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본 연구는 지난 수십 년간 여성과 남성 간의 평등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노력 외에도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잘 보여줄 것이다. 특히 2010년 7월 창설된 새로운 국제기구인 유엔여성(UN Women, http://www.unwomen.org)의 각 국가에 대한 지원이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정책적으로 여성의 국제시민단체들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하는지에 대한 기본 생각들과 한계점들을 본 연구가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색인어
  • 여성 인권, 공적원조, INGOs, 국제개발, ODA, 여성건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