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17&local_id=10086093
강점기반 평가: 국내 학교에서의 타당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강점기반 평가: 국내 학교에서의 타당화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채드& #40;Chad Kiyoshi Ebesutani& #41;(덕성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44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 사회에서의 정신건강문제는 심각한 수준으로, 아동·청소년 시기의 정신건강문제가 심각해지면 발달과업 형성뿐 아니라 학교생활, 장래진로, 자기 성장 등을 저해할 수 있는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과 가족의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건강문제를 예방을 위해 강점기반접근의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강점기반접근은 증상기반접근보다 아동·청소년과 보호자가 문제행동에 대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관점이다. 또한, 보호자와 치료자 간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심리 영역에서 긍정적인 강점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강점을 측정하는 많은 척도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다른 척도는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전문가의 합의를 통한 논리적 결정 과정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으며, 미국의 PracticeWise팀이 15년 동안 아동·청소년의 치료 연구를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확증한 13개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3개의 근거기반 강점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척도인 Evidence-Based Strengths Assessment (ESA)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분당, 수원, 파주, 인천, 의정부)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이며, 총 1,03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 결과, 12개의 요인 모형으로 좋은 적합도 수준을 모두 충족하였다. 요인 1은 ‘감정에 대해 이해하기’, 요인 2는 ‘문제 해결 기술’, 요인 3은 ‘인지적 재구성’, 요인 4는 ‘자기보상 및 자기칭찬’, 요인 5는 ‘장기적인 목표’, 요인 6은 ‘즐거운 활동’, 요인 7은 ‘스트레스 풀기’, 요인 8은 ‘실력 쌓기’, 요인 9는 ‘환경 조절하기’, 요인 10은 ‘두려움 극복하기’, 요인 11은 ‘사회성 기술’, 요인 12는 ’의사소통능력/자기주장 기술’과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 결과 대체로 12개 영역의 내적 일치도(Cronbach α)계수가 높게 나타나 척도의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ESA는 기존의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긍정 자원 척도와 .40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기존 연구대상의 속성과 높은 관련성이 보고되어 온 개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K-YSR DSM 우울 진단 척도와는 유의하게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경험척도 정적 정서 척도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기 때문에 준거 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ESA는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 영문
  • Mental health problems continue to be prevalent among Korean youth and are thus in need of more attention, research, and support. Mental health problems lead to a variety of negative outcomes, including academic difficulties, social isolation, and challenges in development—making mental health both an individual and society issue. Fortunately,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with respect to developing and identify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help youth reduce these mental health problems and subsequent negative effects. For example, through a rigorous coding process (spanning 60 years of published research trials across several different countries), core components of effective treatments, known as Practice Element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youth treatment literature, representing the treatment techniques associated with the most effectiveness with respect to helping children better manage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Chorpita et al., 2011). Among these Practice Elements include mental health skills focused on child skills, including Relaxation Skills,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ognitive Restructuring Skills, and Activity Scheduling Skills, among others. These child-focused skills can be thought of as positive strength behaviors and skills of children (with respect to managing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l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development and progress in the area of finding ways to treat children in these areas, relatively less development and progress has been in the assessment of these areas. Some measures do exist that measure some of the noted positive strength areas in children, such as Social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children. However, no comprehensive measures exist yet that measure all evidence-based Child Strength areas identified by the recent empirical review of the child and adolescent treatment literature (i.e., Long-Term Goal Settings, Talent/Skills Building, Assertiveness Skills, Social Skills, Relaxation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Self-Rewards/Self-Praise, Psycho-Education, Activity Scheduling, Environmental Control, Communication Skills, Cognitive Restructuring, Facing My Fear). One reason for this is that all such (strength-based) measures to date were developed not based on an empirical, literature wide review of what areas matters mo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rather, primarily based on rationally-derived decision making processes involving experts’ opinions. While such rationally-derived approaches have much merit and value, they do risk missing important areas that would be captured by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treatment literature. What has not yet been developed is an assessment method based on the positive strength behaviors of children identified in the literature-wide review noted above.
    In this present study, we therefore developed a new measure—called the Evidence-Based Strengths Assessment (ESA)—which comprehensively measures all the child strength skill areas identified by the recent literature-wide empirical review (Chorpita et al., 2011), such as Relaxation Skills,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ognitive Restructuring Skills, and Activity Scheduling Skills, among others skills. We also sought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new questionnaire to ensure that responses from youth on this measure can be interpreted meaningfully.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new measure is important to ensure that use of its scores can be used effectively with respect to helping with the promotion of increasing well-being and reducing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e present study, we obtained and examined data from a total of 1,038 students (3rd grade to 11th grade) enrolled in the Seoul Capital Area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region).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a 12 factor structure was associated with good model fit (combining Communication Skills and Assertiveness Skills into a single factor). All items also loaded significantly and highly (<.38) on their intended factors. The 12 factors are:
    • Factor 1: Psycho-Education
    • Factor 2: Problem Solving Skills
    • Factor 3: Cognitive Restructuring
    • Factor 4: Self-Rewards/Self-Praise
    • Factor 5: Long-Term Goal Settings
    • Factor 6: Activity Scheduling
    • Factor 7: Relaxation Skills
    • Factor 8: Talent/Skills Building
    • Factor 9: Environmental Control
    • Factor 10: Facing My Fear
    • Factor 11: Social Skills
    • Factor 12: Communication/Assertiveness Skills
    The result of the internal consistency confirmed that all 12 subscales exceeded the .70 cutoff of adequate reliability. The Total Score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 reliability (Cronbach α=.95). The result of the construct (convergent) validity analyses revealed that, as predicted, all of the ESA subscales and Total score correlate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with construct (convergent) validity criterion measure (i.e., the Youth Self Report Positive Resources Scale). Additional analyses in this area also supported the construct (divergent) validity of the ESA, as the ESA scale correlated less strongly with measures less related to their targeted constructs (such as relatively low correlations with the Korean Emotional Experience Negative Affect Scale and K-YSR Externalizing Scale).
    The result of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es also demonstrated that, as predicted, all ESA subscales correlated (a)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with the K-YSR DSM-oriented Affective Problem scale and (b)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with the Korean Emotional Experience Positive Affect Scale.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examin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SA support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scores provid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on the newly developed ESA questionnaire.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is new questionnaire can serve as an important step in providing the field with a much-needed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 We can now conduct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screening,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some of the most important positive strength skill area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lives that can help protect themselves from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myriad of associated negative sequela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과 가족의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건강문제를 예방을 위해 강점기반접근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강점기반접근은 증상기반접근보다 아동·청소년과 보호자가 문제행동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하고, 수용 가능하며, 보호자-치료자 간 긍정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13개의 근거기반 강점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척도인 Evidence-Based Strengths Assessment (ESA)를 개발하여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분당, 수원, 파주, 인천, 의정부)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이며, 총 1,03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타당성 검증 결과, 좋은 적합도 수준을 모두 충족한 12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감정에 대해 이해하기, 문제 해결 기술, 인지적 재구성, 자기보상 및 자기칭찬, 장기적인 목표, 즐거운 활동/격렬한 운동, 스트레스 풀기, 실력 쌓기, 환경 조절하기, 두려움 극복하기, 사회성 기술, 의사소통능력. 또한, ESA는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긍정 자원 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기존 연구대상의 속성과 높은 관련성이 보고되어 온 개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K-YSR DSM 우울 진단 척도와는 유의하게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경험척도 정적 정서 척도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기 때문에 준거 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ESA는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의 근거기반 강점 영역인 12 요인(장기적인 목표, 실력 쌓기, 자기주장 기술, 사회성 능력, 스트레스 풀기, 문제 해결 기술, 자기보상 및 자기칭찬, 감정에 대해 이해하기, 즐거운 활동, 환경 조절하기, 의사소통 능력, 인지적 재구성)으로 분석한 결과 적합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 검사 도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우울/불안을 측정하는 증상기반 척도와 다르게 긍정적인 아동·청소년의 강점을 평가하기 때문에 가정에 쉽게 접근하고 수용 가능할 것이며, 근거기반 치료 정보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아동·청소년의 증상 호전 여부와 상관없이 치료 기간 동안 본 척도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추후의 치료 방안을 수정하거나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근거기반 치료 기법으로 구성된 본 척도를 사용하여 강점을 평가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심리치료와의 연결을 통해 정신건강문제를 겪고 있는 환자들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척도는 아동·청소년의 근거기반 강점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강점 척도로써 활용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근거기반, 강점기반, 평가, 심리측정적 속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