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19&local_id=10086023
인지 능력과 통사적 프로세싱: 한국어의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의 불균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인지 능력과 통사적 프로세싱: 한국어의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의 불균형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구재명(광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45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를 제2언어로 학습하고 있는 영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을 프로세싱하는데 있어서 통사론적인 거리가 주된 변인이라는 O'Grady, Lee, 그리고 Choo(2003)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처럼 후핵 언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가설(linear distance hypothesis vs. 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을 테스트 하였다. 세부적으로 좀 더 밀도 있는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지만, 현재 나타나는 실험의 결과로 볼 때, 통사론적인 거리가 더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인지 능력과 관련해서는 Operations span task를 이용하여 측정한 학습자의 작동 기억과 그들의 관계절 프로세싱의 정확도는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조절/통제력에 관한 데이터 분석을 포함하여 좀 더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이 추후 이루어 질 것임.
  • 영문
  • Following O'Grady, Lee, and Choo's (2003) study and many other studies of the same nature,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wo differing hypotheses with respect to how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rocess Korean subject and (direct) object relative clauses: the 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 vs. linear distance hypothesis. Twenty-three Chinese 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recuited from a Korean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carried out three experimental tasks: picture selection task (to measure accuracy in the processin of subject and object relative clauses), operation span task (to measure working memory), and task-set switching activity (to measure attention control). Preliminary results showed that unlike previous findings, the participant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n accuracy when they processed object relative clauses than when they processed subject relative clause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working memory and learners' processing performance. Further analyses of data including cognitive performance data collected via the task-set switching task will deliver a better picture of whether and how cognitive variables may (or may not) afffect learners' processing of Korean subject and object relative clau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O’Grady, Lee, 와 Choo (2003)가 보여 준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의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을 프로세싱하는데 있어서 인지적인 능력이 담당하는 역할을 조사함으로써 관련 연구와 이론에 좀 더 심층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설계되었다. O’Grady외는 한국어 관계절에서의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의 차이, 즉, 일반적으로 주격관계절(예: 그녀를 좋아하는 그 남자)의 이해가 목적격관계절(예: 그녀가 좋아하는 그 남자)의 이해보다 더 수월한 현상을 두 가지 가정을 통해서 증명하려 하였다. 그 하나는 The Linear Distance Hypothesis 이고 두 번째는 the 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 이다. 전자는 관계절 속의 gap(이동 전의 위치)과 그 관계절이 수식하는 (이동 후의 위치에 있는)head noun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단어수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가정이고 후자는 gap 과 head noun 사이의 통사론적인 거리에서 기인한다는 가정이다. O’Grady외는 이러한 두 가지 가설을 테스트 하였고, 그들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를 제2언어로 습득하는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목적격관계절이 주격관계절보다 더 어렵게 느껴지고 실제로 더 시간이 걸리고 난이도가 높은 이유는 통사론적인 구조에서 나타나는 gap 과 head noun 사이의 거리가 더 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들의 연구를 재조사 해 보고, 또한 작동기억과 주의 조절/통제능력이 한국어의 주격과 목적격관계절의 프로세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 당시 한국의 대학에서 어학연수를 받고 있었던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 23명이 실험집단으로 참가하였고 통제집단으로 15명의 한국 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세 가지의 활동에 모두 참여하였다: 그림선택활동, 작동기억테스트(Operations span task), 주의 통제/조절 테스트 (task-set switching 활동). 실험집단 학생들의 그림선택활동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다른 내용의 경향이 나타났으며 작동기억과 학생들의 관계절 프로세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통제/테스트를 포함하여 추후 좀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제2언어로써의 한국어 습득에 있어서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의 프로세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두 가설의 타당성을 조사한 논문으로 기존의 O’Grady외(2003)의 기본 타당성 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이 연구는 주격관계절이 목적격관계절 보다 더 쉬운 이유에 대해서 인지적인 변인들을 실험 디자인에 추가해서 그러한 변인들이 관계절의 프로세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나아가 O’Grady외에서 테스트를 했던 두 가지 가설의 타당성에 좀 더 폭 넓은 시각으로 현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의 나타난 예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한다면, L1의 영향이 강했을 때는 인지적인 능력의 역할이 다소 무뎌질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물론 주의 통제/조절 활동에 대한 결과는 아직 분석이 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인지적인 능력의 개별차가 가져 올 수 있는 다양한 역할에 관한 관련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는 연구로 본 실험은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초기에 계획했던 일본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를 하지 못한 것이 다소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국어와 어순과 관계절의 구조가 매우 유사한 언어이기에 관련 연구 영역의 확장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통사론적인 구조면에서의 거리(The 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가 주격/목적격 관계절을 프로세싱 하는데 단어 수의 차이에 의한 The Linear Distance Hypothesis 보다 더 명확하게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는 기존의 결과와는 사뭇 다른 방향의 성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좀 더 밀도 있고 다양한 연구를 위한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물음을 통해 좀 더 굳건한 일반화의 근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언어습득이라는 것이 인간의 인지 활동의 일부라는 점과 그 인지 활동의 핵심에는 학습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인 능력이 있다고 보고, 그 인지 능력이 과연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의 프로세싱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프로세싱과 설명하는 두 가설과 어떤 식으로 관련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학습자의 인지 능력이 제2언어습득 및 습득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수행이 되어 왔다는 점, 그리고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에서 보고되었듯이, 인지적인 부분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우리 연구자들 및 많은 교육자들에게도 중요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논의의 확장 및 다양한 각도에서 제2언어학습자들의 언어습득 활동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말하자면, O’Grady외에서 사용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와는 다른 L1의 비교를 통해 언어학적인 논의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작동기억과 인지 조절/통제 능력의 개별차가 언어적 프로세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에서 학습자의 제2언어 프로세싱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 학습자의 프로세싱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학습자의 교육적인 필요 역시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속적인 관련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에 따른 언어적 프로세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에 따른 교육적 변화를 추구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물론, 본 연구의 예비 분석에서 나타난 것처럼(작동기억의 경우) 인지적인 능력이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실 자체로도, 실제 교수/학습 방법에 이용이 될 수 있는 지식의 일부가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해 보면 연구 결과의 교육적인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 색인어
  • 주격 관계절, 목적격 관계절, 후핵 언어, 선핵 언어, 선형 거리 가설, 구조적 거리 가설, 상용적 전략, 작동 기억, 주의 조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