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22&local_id=10086189
중장년층 암생존자의 직장복귀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장년층 암생존자의 직장복귀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인정(호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466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사회의 암생존자 급증은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지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특히 직장으로의 복귀는 중장년층 암생존자에게는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의 지속이라는 중요의미가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생산력 확보라는 의미가 있어 더욱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의 암생존자에 대한 직장 복귀 경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로 이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장년층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 경험을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를 돕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암생존자는 암과 그 치료로 인해 신체적으로 전반적 쇠약감을 경험하고 정신적으로 감정 조절을 잘 하지 못하거나 우울함을 경험하기도 하고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정신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더불어 항암치료 이후 기억력 감퇴 등으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받는 느낌을 경험하기도 하여 직장 복귀시 적응에 대한 염려를 표현하였다. 직장 복귀 과정에서 직장 복귀를 하게 되는 동기가 매우 중요하였는데, 경제적 어려움이나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 유지를 위해 직장 복귀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준비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에 복귀하는 경우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장으로의 복귀가 일상의 삶으로의 복귀, 개인의 성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직장 복귀시 원만한 적응을 예고하였다. 직장 복귀시 암과 치료로 인한 신체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업무가 자신에게 적절한가에 대한 의문도 직장 복귀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장시간 근무를 해야하거나 노동강도가 심하거나 동료들이 담배를 피는 등의 노동환경이 좋지 못한 경우 직장 복귀에 대한 주저함이나 염려가 컸으며 이로 인해 담당 업무를 변경하거나 근무시간을 조정하거나 직장을 변경하기도 하였으며 심한경우 직장 복귀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직장 복귀후 변화된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상태에 따라 근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근무시간을 단축하여 일하는 모습도 있었으며 열심히 일하지만 승진에서 누락되어 암생존자에 대한 편견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 영문
  •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cancer on the survivor’s quality of work lif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describe the work experiences among cancer survivors after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12 cancer survivors were interviewed. They have a broad range of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primary cancer sites. Qualitativ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learning about their cancer diagnosis, participants had diverse and complex patterns of work return and work change, and experienced a variety of factors that influenced post-cancer decisions. Experiences at work after cancer also varied in relation to how others responded, changes in productivity, effects of cancer and treatment on work, and feelings about work. Most respondents received little guidance from their physicians about work, and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cancer as impacting their priority of work relative to other aspects of their lives. Findings reinforce the complexity of measuring employment outcomes and the range of adaptations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 lif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that can guide clinical or workplace efforts to restore cancer survivors to their desired level of work function and economic productiv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사회의 암생존자의 급증으로 사회적 복귀에 보다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직장으로의 복귀는 중장년층 암생존자에게는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할의 지속이라는 중요의미가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생산력 확보라는 의미가 있어 더욱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의 암생존자에 대한 직장 복귀 경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로 이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장년층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 경험을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를 돕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암생존자는 암과 그 치료로 인해 신체적으로 전반적 쇠약감을 경험하고 정신적으로 감정 조절을 잘 하지 못하거나 우울함을 경험하기도 하고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정신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더불어 항암치료 이후 기억력 감퇴 등으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받는 느낌을 경험하기도 하여 직장 복귀시 적응에 대한 염려를 표현하였다. 직장 복귀 과정에서 직장 복귀를 하게 되는 동기가 매우 중요하였는데, 경제적 어려움이나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 유지를 위해 직장 복귀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준비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에 복귀하는 경우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장으로의 복귀가 일상의 삶으로의 복귀, 개인의 성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직장 복귀시 원만한 적응을 예고하였다. 직장 복귀시 암과 치료로 인한 신체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업무가 자신에게 적절한가에 대한 의문도 직장 복귀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장시간 근무를 해야하거나 노동강도가 심하거나 동료들이 담배를 피는 등의 노동환경이 좋지 못한 경우 직장 복귀에 대한 주저함이나 염려가 컸으며 이로 인해 담당 업무를 변경하거나 근무시간을 조정하거나 직장을 변경하기도 하였으며 심한경우 직장 복귀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직장 복귀후 변화된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상태에 따라 근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근무시간을 단축하여 일하는 모습도 있었으며 열심히 일하지만 승진에서 누락되어 암생존자에 대한 편견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활용방안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 암생존자의 직장 복귀 경험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의 장애물과 지지 원들을 파악하여 암생존자의 직장으로의 복귀를 돕는 사회복지 정책 및 서비스를 마련하는데 그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는 암생존자가 직장에 복귀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가족 경제의 문제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손실을 경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차원에서도 암생존자인 직원들의 직장 복귀를 원활하게 하여 기업 생산성을 증진하고 직원의 직장생활에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의료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의 임상적 함의 제공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암생존자, 직장복귀경험, 근거이론접근, 질적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