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24&local_id=10086016
국어과 핵심역량에 따른 ‘언어와 매체’의 교육내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2016S1A5A8020476 |
선정년도 |
2016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7년 10월 31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7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언어와 매체’라는 통합 과목의 신설에 대비하고자 ‘문법’과 ‘매체 언어’의 진정한 통합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매체 언어의 본질적 특성이 복합양식성이라는 점에 기인하여, 매체 언어 교육 ...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언어와 매체’라는 통합 과목의 신설에 대비하고자 ‘문법’과 ‘매체 언어’의 진정한 통합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매체 언어의 본질적 특성이 복합양식성이라는 점에 기인하여,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를 복합양식 문식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에서 복합양식 문식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문법’과 ‘매체 언어’의 통합 교육 내용의 구체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문법’과 ‘매체 언어’의 통합 교육을 위한 교육적 범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문화적 언어 현상을 이끄는 매체 언어의 언어적 특성이다. 둘째, 문법적 선택을 통해 소통 주체의 사고를 매체 언어로 표상하는 방식이다. 셋째, 매체 언어를 비판적·창의적으로 탐구하고 소통에 참여하려는 태도이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 과목이 2018년에 적용된다. 그간의 국어과에서 영역 간 통합에 대해 통합이 아닌 결합의 형태로 그쳤다는 과거의 전철을 되밟지 않으려면, 문법 교육에서 매체 언어 통합 교육의 방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연구로서, ‘언어와 매체’ 교과서 구현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ategorie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the true integrative education of ‘grammar’ and ‘media language’ to cope with the new installation of the ‘Language and Media’ subject in the 2015 revised Ko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ategorie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the true integrative education of ‘grammar’ and ‘media language’ to cope with the new installation of the ‘Language and Media’ subject in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sets up the goal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s complex forms literac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media language is complex forms.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has established the concrete frame of integrative education contents in ‘grammar’ and ‘media language’ so that students can enhance their complex forms literacy through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educational categories for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grammar’ and ‘media language’. The first i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edia language leading socio-cultural language phenomena. The second is the way of representing the thoughts of the agent of communication into media language through grammar choices. The third is the attitude of exploring media language critically and creatively and participating in communication.
The ‘Language and Media’ subject newly installed by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will be applied in 2018. So far,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areas tried in the Korean subject has ended up being a form of combination, not integration. In order not to repeat that, more thorough discussion will be ended about the methods of integrative education for media language in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at problem, and this author expect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the textbooks of ‘Language and Media’ afterwar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언어와 매체’라는 통합 과목의 신설에 대비하고자 ‘문법’과 ‘매체 언어’의 진정한 통합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매체 언어의 본질적 특성이 복합양식성이라는 점에 기인하여, 매체 언어 교 ...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언어와 매체’라는 통합 과목의 신설에 대비하고자 ‘문법’과 ‘매체 언어’의 진정한 통합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매체 언어의 본질적 특성이 복합양식성이라는 점에 기인하여,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를 복합양식 문식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에서 복합양식 문식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문법’과 ‘매체 언어’의 통합 교육 내용의 구체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문법’과 ‘매체 언어’의 통합 교육을 위한 교육적 범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문화적 언어 현상을 이끄는 매체 언어의 언어적 특성이다. 둘째, 문법적 선택을 통해 소통 주체의 사고를 매체 언어로 표상하는 방식이다. 셋째, 매체 언어를 비판적·창의적으로 탐구하고 소통에 참여하려는 태도이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언어와 매체’ 과목이 2018년에 적용된다. 그간의 국어과에서 영역 간 통합에 대해 통합이 아닌 결합의 형태로 그쳤다는 과거의 전철을 되밟지 않으려면, 문법 교육에서 매체 언어 통합 교육의 방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연구로서, ‘언어와 매체’ 교과서 구현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언어와 매체’라는 새 교과의 적용을 앞둔 현 시점에서 여러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육내용의 구성 방안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언어와 매체’의 교육내용을 구성을 제시하는 것을 시도한 ...
본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언어와 매체’라는 새 교과의 적용을 앞둔 현 시점에서 여러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육내용의 구성 방안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언어와 매체’의 교육내용을 구성을 제시하는 것을 시도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국어교육의 이론적 연구들을 뒷받침하여 실제 교육적 활용에 기여하는 시의적절한 논의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국어교육의 장에서의 실천을 염두해 둔 것으로 ‘언어와 매체’의 실제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역량 중심의 교수학습방안, 평가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의 기여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 교육에서 역량 중심 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논의가 구축되지 못한 점에서 사회적, 교육적 요구에 따른 교과교육 차원에서 학문적 논의의 선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문적 발전에서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 중등, 고등학교와 같은 학교교육에 입각하여 논의를 진행한 것이지만, 국어 교육 내용 자체가 범교과 내용이며, 특히 언어와 매체라는 교과에서 다루는 지식들은 우리 사회가 인간의 바르고 효율적인 소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교육 내용 구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종 사회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공공기관, 민간기관의 소통 교육의 프로그램들을 통해서도 그 결과물은 언제든지 다양한 접근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매체언어, 언어와 매체, 복합양식문식성, 문법 교육, 통합 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