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56&local_id=10086759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문신(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49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의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청소년시의 대상이 되는 청소년은 중고등학교 학생이라는 좁은 의미의 개념이다. 청소년시는 이들을 독자로 설정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삶과 생각을 시로 형상화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쓰는 시와 시인들이 쓰는 청소년시는 조금 다르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고민을 자신의 말로 주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시는 성인의 눈에 비친 청소년의 세계를 청소년다운 언어로 써낸다. 그러다보니 청소년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정하고 있다.
    청소년시의 특징은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성숙이 동시에 진행되는 청소년기의 한 특성을 반영하는 양상을 보인다. 소재 측면에서 학교생활과 자기 탐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것은 청소년들이 학교-내-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리고 청소년시에서는 청소년 화자를 내세워 자신들이 보고 듣고 고민한 내용을 폭로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세계 인식에서부터 발화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시의 모든 과정에 ‘청소년’이 가상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청소년 문제를 성인의 관점에서 인식하지만 그것을 마치 자기가 발견한 것으로 (오)인식하고 발화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이른 바, 학습된 세계관을 마치 자기가 형성한 세계관처럼 인식하는 경우다.
    청소년시에서 줄곧 발견되는 표현방식은 개별적인 상황이나 사건을 과도하게 일반화하여 형상화한다는 점이다. 이 사실은 청소년을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청소년이라는 집단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시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청소년 세계는 개별 청소년의 고민보다는 청소년이라는 세대의 문제를 다루는 측면이 있다.
    그 결과 청소년시의 미적 범주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시는 청소년들의 인식 세계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신체적 성장과 내적 성숙의 모습을 파악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시는 청소년 세계와 문화를 보편적인 차원에서 사회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주어진 세계를 청소년에게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와의 세계에서 청소년의 세계를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사회화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시는 청소년에게 자기 정체성 형성을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교묘하게 우리의 삶을 조종하고 통제하는 어떤 것, 즉 비가시성의 이면을 탐색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청소년의 자아의식은 성숙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시의 형식은 현대시가 개진해온 미학의 복잡함, 난해함 등과는 조금 다르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시는 시적 제재가 거느리고 있는 맥락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방법론으로 접근해야 한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meaning of juvenile poetry that has appeared in earnest since 2010. It is a narrow concept that teenagers are teenagers. Teenagers set them as readers, and they characterize youth's lives and thoughts as poetry.
    However, youth poetry and poetry are different. Young people express their concerns with their own words. However, teenagers write the world of teenagers in the eyes of adults in the language of teenagers. As a result, the youth city is presumed to target youth.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oetry reflect a characteristic of adolescence in which physical growth and mental maturation proceed simultaneously. On the material side, school life and self-discovery are prominent, which emphasizes the fact that youth are school-within-existence.
    In the youth,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eenagers are exposed to what they see, hear and worry about. It is because 'youth' is participating as a virtual subject in every process of youth poetry from world recognition to utteranc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eenagers perceive youth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adults but recognize them as if they are found and utter them. In other words, the learned worldview is perceived as a worldview formed by oneself.
    The expression that is found all the time in juvenile poetry is that it shapes the individual situation or events in an over-generalized way. This fact derives from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as a group of teenagers rather than as individual entities. Therefore, the youth world, which is shaped by the youth, has the aspect of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generation of the youth rather than the concern of the individual youth.
    As a result, some aesthetic categories of youth poetry were presented. First, juvenile poetry should focus on identifying their physical growth and inner maturity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ognitive world of adolescents.
    Second, youths should play a role in guiding the youth world and culture to socialize in a universal dimension. At this time,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not healthy socialization that creates a world of youth in the world with the past, rather than imposing a given world on the youth.
    Third, youths need to act as an opportunity to seriously consider their own identity formation. The self-consciousness of adolescents can mature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exploring something that is not particularly visible, but which manipulates and controls our lives in a clever way, that is, behind the invisibility.
    Fourth, the form of adolescent poetry needs to be structured a little differently from the complexity and incomprehensibility of aesthetics that modern poetry has 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 youth city should approach the methodology which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context in which the poetic sanctions are involv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2010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살펴보고,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청소년시의 창작 방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청소년들이 쓴 시의 방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청소년들은 전문 시인들에 배해 시를 쓰는 방법적 능력은 떨어지지만, 청소년시가 표면에 내세우고 있는 시적 대상이나 내용, 다시 말해 청소년 문제의 당사자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청소년들의 관심사,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 방식, 청소년들의 인식적 범주, 청소년들의 내적 문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청소년들의 시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드러낼 것으로 본다. 그럼으로써 청소년들의 시는 전문 시인들이 청소년의 문제를 피상적 차원에서 다룰 소지가 다분하다는 한계를 극복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시인들이 쓴 청소년시에 나타난 시적 특징을 소재, 주제, 표현방법, 세계 인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것들이 청소년시로서 변별적 자질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청소년들의 시에는 청소년들의 자기정체성의 문제와 학교생활의 문제가 주로 나타난다. 하이데거의 지적처럼 인간이 세계-내 존재라고 한다면, 청소년들은 학교-내-존재로 그 존재론적 정체를 규정할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사유방식과 인식 범주는 ‘학교’라는 제도 내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세계’는 이중적인 의미가 된다. 보편적인 의미에서 열린 지평으로서의 세계가 존재한다면, 그 안에서 닫힌 지평으로서의 학교라는 특수한 세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청소년시는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내적 특성과 행동 성향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시와 시인들이 쓴 청소년시는 같은 시적 대상과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그 창작 주체의 특수한 사정으로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대체적으로 시인들이 청소년들의 특성에 부합하는 시를 쓰는 방향성이 있다. 청소년들은 자기들의 삶을 자기들의 어법과 사유로 표현하는데 비해, 시인들은 청소년이라는 대상의 사유와 삶을 관찰한 결과를 청소년다운 어법으로 표현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시의 미적 범주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시는 청소년들의 인식 세계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신체적 성장과 내적 성숙의 모습을 파악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둘째, 청소년시는 청소년 세계와 문화를 보편적인 차원에서 사회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주어진 세계를 청소년에게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와의 세계에서 청소년의 세계를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사회화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시는 청소년에게 자기 정체성 형성을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교묘하게 우리의 삶을 조종하고 통제하는 어떤 것, 즉 비가시성의 이면을 탐색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청소년의 자아의식은 성숙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시의 형식은 현대시가 개진해온 미학의 복잡함, 난해함 등과는 조금 다르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시는 시적 제재가 거느리고 있는 맥락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방법론으로 접근해야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영역에서 발전해나갈 수 있다. 첫째, 학술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여 청소년시의 영역을 학술 담론의 장에서 활발하게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일이다. 청소년시라는 현상이 나타난 이상, 이 현상의 배후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에 대해 학술적인 접근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청소년시에 대한 학술 담론은 촉발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청소년시의 창작성과가 좀 더 축적되고, 청소년시에 대한 미적 양식이 부각되다 보면 청소년시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믿는다.
    또 하나, 청소년시의 학술적 성과물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에 대한 비평 담론이 활성화되고, 이 과정에서 청소년시의 영향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논의하고 통찰해낸 성과는 청소년문학의 비평 담론으로 확대해나감으로써 청소년시를 한국 문학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시의 다양한 특징들을 확보함으로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의 생각과 감각을 시적 언어로 형상화하는 창작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동안 청소년들은 기성 시인들의 시를 모방하거나 패러디 형식으로 개작하는 활동을 해 왔다. 그러나 시인들의 시 세계와 청소년의 미의식 사이에 괴리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청소년들의 시 창작 프로그램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학 창작 교육의 일환으로 청소년시를 가르칠 수 있다. 현재 중등 교육과정의 국어, 문학 교과서에 실린 시 작품은 대다수가 성인 시인들의 작품들이다. 물론 시의 심미성을 학습하는 중요한 제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청소년의 관심과 문화와 고민, 사유 등을 담아낸 청소년시가 교과서에 수록되고, 그것을 학습 활동의 제재로 삼게 된다면 보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청소년, 청소년시, 학교, 자기정체성, 성장, 성숙, 청춘, 박성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