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61&local_id=10086086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호신(한성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52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서 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 서울시내 공공도서관 1곳과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 1곳을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관련 내러티브를 수집하였다. 참여관찰은 2016년 6월부터 8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각각의 도서관에서 진행되었고, 해당 기간동안 연구참여자 5명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별로 2-3회 정도의 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출생부터 지금까지의 삶 그 가운데 도서관 이용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참여관찰의 내용은 연구일지를 통하여 정리되었고, 인터뷰의 내용은 모두 녹취록으로 작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텍스트(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가 담긴 이야기)를 작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젊은 시절부터 독서의 경험을 갖추고 있는 경험을 공통으로 간직하고 있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계기를 통해서 도서관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것은 공공도서관은 노인들을 잉여의, 여분의 삶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아직까지 삶의 주인공으로 받아들여주는 공간이고, 아직까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몫을 수행하는 자신들의 자리로 인식하게끔 여겨준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서로 다른 형식의 다섯 편의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도서관의 사회적 편익을 보여주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retired person through narrative inquiry. One public library in Seoul and one public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conducting research, and related narrative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16, from December 2016 to February 2017 at each of the librar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research participants during the period. Two or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mi-structured form centering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from the birth to the present, espeacially focus on the experience of library use.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summarized through the journal,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ll transcrib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texts (narratives of participants) were written. Participants in the study shared their experience of reading from their young age and used the library through a variety of different occasions. What is commonly found in these narratives is that the public library is not a place to accept the elderly as a surplus, extra life, but to accept it as the main character of life, and as a place of their own. These narratives are composed of five stories of different formats and are expected to be useful data showing the social benefits of public libra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서 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 서울시내 공공도서관 1곳과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 1곳을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관련 내러티브를 수집하였다. 참여관찰은 2016년 6월부터 8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각각의 도서관에서 진행되었고, 해당 기간동안 연구참여자 5명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별로 2-3회 정도의 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출생부터 지금까지의 삶 그 가운데 도서관 이용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참여관찰의 내용은 연구일지를 통하여 정리되었고, 인터뷰의 내용은 모두 녹취록으로 작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텍스트(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가 담긴 이야기)를 작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젊은 시절부터 독서의 경험을 갖추고 있는 경험을 공통으로 간직하고 있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계기를 통해서 도서관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것은 공공도서관은 노인들을 잉여의, 여분의 삶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아직까지 삶의 주인공으로 받아들여주는 공간이고, 아직까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몫을 수행하는 자신들의 자리로 인식하게끔 여겨준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서로 다른 형식의 다섯 편의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도서관의 사회적 편익을 보여주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도서관 서비스의 다차원적이고 풍부한 디테일을 은퇴노인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입체적인 형상과 경험의 분석을 통해서 공공도서관 노인 대상 서비스의 현 단계를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 속에는 설문조사와 같은 양적 접근을 통해서는 얻을 수 없는 이들의 속깊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고, 지금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여러 노인들의 감춰진 이야기를 대변하고 있다. 이 이야기들을 통해서 은퇴 노인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고, 이들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은퇴노인의 도서관 이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가칭)라는 명칭의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는 도서관의 사회적 편익을 우리 사회 구성원들과 소통하는 훌륭한 매개물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짧은 분량으로 제한된 논점만을 다루는 연구논문 형식보다는 지면의 제한이 없는, 보다 대중적인 접근이 가능한 단행본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단행본의 발간을 통해서 문헌정보학을 공부하는 학생과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방법을 확인하고 익힐 수 있는 기초자료 활용함은 물론이고, 도서관이라는 사회적인 제도, 문화적인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얼마나 삶이 풍성하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사회구성원들에게 들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단행본에는 이 보고서에는 미쳐 담지 못한 보다 심층적이고 세심한 분석을 통해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과 개선방안도 함께 제안할 예정이다. 이들의 경험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와 해석을 통해서 공공도서관이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제공하는 가치와 의미, 그 사회적인 편익을 실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로 도서관계와 문헌정보학계에 보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한편 이 연구는 아직까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아직은 생소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방법으로 활용해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들의 경험을 연구한 것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교육학에서 비롯된 연구방법으로, 문헌정보학계에서는 사서교사의 직업경험에 관한 연구에서 몇 가지 선행연구가 발견이 된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국내 문헌정보학계에서는 상당히 낯선 연구 방법으로 법학전문사서의 직업적인 정체성 형성을 탐색한 연구(이호신, 2012)가 유일한 사례일 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 ‘내러티브 탐구’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특히 도서관 운영자가 아니라 도서관 이용자의 경험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전통적인 학술논문의 작성 형식과는 달리 이야기를 통해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제시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관련된 사회적인 이슈를 사회구성원들과 소통하고, 학문적인 이슈를 대중화하는 획기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실험적으로 수행하고 그 방법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도 이 연구의 커다란 의의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제기된 문헌정보학 연구와 내러티브탐구의 방법론적인 쟁점과 이론적인 사항들은 향후 연구논문으로 정리하여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은퇴노인, 도서관 이용 경험, 내러티브 탐구, 도서관의 사회적 편익, 공공도서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