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69&local_id=10086919
영어과 국가교육과정과 중학교 수업 및 평가와의 연계성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어과 국가교육과정과 중학교 수업 및 평가와의 연계성 분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효신(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589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한 영어교육정책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학교 영어시험이 교육과정에서 정한 성취수준과의 연계성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를 분석하여 학교영어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을 지향하면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평가결과의 객관성 확보의 문제로 개선이 어렵다고 여겨지는 중학교 영어 평가 문항 및 교실 수업의 상황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비구조화면담을 실시하여 학교 현황을 분석한 후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 영어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영어교육을 주 대상으로 연계성 제고 방안을 모색할 목적이었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학교 영어교육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영어교육과의 수직적 연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사 범위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로 확대하여 초등학교 교사 227명 (34.7%), 중학교 교사 210명 (32.1%), 고등학교 교사 218명 (33.3%)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들은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language assessment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level defin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nglish education policy aimed at improving th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teaching practice an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were examined since the situation of the middle school English evaluation items and the classroom lessons are considered difficult to improve due to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result despite its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cusing on communicative English education. Literature review, non-structured interviews,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were employed. Considering that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one in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227 (34.7%)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0 (32.1%)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218 (33.3%) of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eachers are positive about the necessity of alignment of curriculum – teaching practice- assessment and responded that they were practicing in school field. In addition, the middle school teachers practicing the free school syst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valuation with the other grou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한 영어교육정책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학교 영어시험이 교육과정에서 정한 성취수준과의 연계성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를 분석하여 학교영어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을 지향하면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평가결과의 객관성 확보의 문제로 개선이 어렵다고 여겨지는 중학교 영어 평가 문항 및 교실 수업의 상황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비구조화면담을 실시하여 학교 현황을 분석한 후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 영어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영어교육을 주 대상으로 연계성 제고 방안을 모색할 목적이었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학교 영어교육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영어교육과의 수직적 연계성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조사 범위를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로 확대하여 초등학교 교사 227명 (34.7%), 중학교 교사 210명 (32.1%), 고등학교 교사 218명 (33.3%)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용영어교육과 세계시민 양성이라는 영어교육목표에 대해서는 모든 응답자들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가장 높고 고등학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영어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성취평가가 이미 실시되고 있고, 수능 영어과목에 대한 절대평가가 2018학년도부터 실시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절대평가가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응답자들은 내신 절대평가와 수능 절대평가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이지만 영어수업 집중도를 저하의 우려가 있고,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는 긍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평가가 영어수업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는 영어교사들의 우려가 학교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셋째,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에 대해 영어교사들은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전문성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의 강화에 긍정적인 요소이다.

    넷째, 응답자들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A 교육청이 학생중심의 협력수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에 대한 높은 인지와 실행 노력이 투영된 결과라고 해석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떤 방식을 적용되고 있는지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응답자들은 동료교사들과의 협력과 수업 실행능력을 매우 중시하는 반면 영어구사능력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교사중심의 영어수업의 변화를 위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자유학기제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자유학기제가 학생참여 수업, 과정평가의 확대, 성취기준 반영 평가의 활성화,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집단 평균은 보통 수준이었지만 자유학기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들은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높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교실수업개선을 통한 학교 영어교육의 정상화를 하는데 긍정적인 조건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자유학기제를 시행한 교사들의 경우 자유학기제 실시가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반응하고 있어 향후 자유학기제 확대 시행의 순기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한편, 성취기준의 모호성과 학교 평가로의 연계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원 연수 및 성취 기준의 재구조화가 요구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영어교과교육 관련 연구에서 국가교육과정과 수업실행, 그리고 평가와의 연계성을 다룬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성취평가제의 도입에 따라 초·중등 교육내용, 방법, 평가체제 개선 사례를 분석한 정책연구(정미경 외, 2013)가 있으나 거시적 측면에서의 문제를 진단한 연구이며 교과의 특성에 따른 현황을 진단하거나 분석한 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성취평가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한계, 평가의 객관성 확보 등 기존의 학교환경이 지닌 제약 요인을 극복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여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교의 수업방법과 이를 시행하지 않는 학교를 비교하는 방법을 활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학문적 기여도

    사회의 패러다임과 산업구조가 격변하고 있는 요즘의 우리 사회는 교육에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중시하여 거꾸로 교실, 문제중심교수법, 프로젝트 학습, 협력수업 등 다양한 교수법의 적용을 통한 학습자 중심 수업을 그 어느 시대보다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교실수업의 개선은 학교시험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으면 실현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 인식하에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을 지향하면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평가결과의 객관성 확보의 문제로 개선이 어렵다고 여겨지는 중학교 영어시험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아직 제대로 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이 분야의 연구 진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시행과 연계하여 자유학기제 시행학년과 비시행학년간의 비교를 통해 중학교 영어시험 운영과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 현장중심의 실용연구

    교육과정의 개정, 성취평가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성취평가제의 취지가 반영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을 현장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영어교육정책에의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는 영어시험의 변화의 장애요인과 촉진요인의 규명을 통해 영어교육정책에 활용될 것이다. 특히 영어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매뉴얼의 제작, 지원 체제의 구축 등 구체적인 개선방안의 마련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타 교과의 평가 및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 활용

    의사소통중심의 영어교육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토대 위에 개선 방안을 조기에 마련하여 타 교과에도 확산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색인어
  • 국가교육과정-수업-평가 연계성, 성취기준, 성취평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