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692&local_id=10086131
경상 방언 화자의 폐쇄음 발음에 나타나는 강화조음 현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경상 방언 화자의 폐쇄음 발음에 나타나는 강화조음 현상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미(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53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폐쇄음이 강화되어 발성되는 환경에서 그 음향음성학적 특성들이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한국어 표준어와 달리 초분절적 요소인 성조를 가진 경북 방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강화 조음 (hyperarticulation) 현상이 일어나는 환경에서 한국어 폐쇄음 발성의 음향학적 특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강화 조음의 환경으로는 먼저 의사소통환경으로 명료 발화와 일상 발화에서의 비교를, 운율 위치에 따른 요인으로는 억양구 첫머리와 억양구 중간에 위치했을 때의 발성 비교와, 운율 환경에 따른 요인으로는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성실험에서 경상지역에서 태어나 교육받고 생활해온 10명의 여성 화자들이 참여하였으며 피험자 부모님의 출신지역 또한 경상지역으로 한정하였다. 피험자의 서울 및 경기 지역 거주 기간은 모두 1년 미만이었다. 테스트 단어는 양순 평음과 격음 폐쇄음 /p, p/이 /i/, /a/, /u/, /e/ 모음 앞에 위치하는 두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로 구성하였다. 테스트 단어에서 나타나는 초분절적 요소를 통제하기 위해서 테스트 단어의 성조는 1음절에 고성조가 오는 단어로 제한하였다.
    억양구 첫머리와 억양구 중간에 위치한 테스트 단어에 초점 강세를 유도하기 위해서 피험자에게 테스트 단어를 제외한 유사한 내용을 가진 선행 문장을 먼저 읽게 한 후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소리 내어 읽게 하였다. 반대로 초점강세를 포함하지 않는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피험자에게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선행 문장을 읽게 한 후 이미 구정보가 된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명료발화로 인한 강화조음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명료 발화와 일상 발화를 하는 경우로 나누어 발화되도록 하였다. 명료발화의 경우 피험자에게 외국인에게 말하듯 주의 깊게 발음 하도록 하며, 일상발화의 경우 친한 친구에게 말하듯 테스트 문장을 읽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운율 위치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VOT가 증가하였으며 /i, a, u/ 모음의 F1과 F2가 증가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은 그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VOT의 경우 평음 폐쇄음이 두 운율 위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위치에 따른 VOT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폐쇄음 뒤에 오는 모음 길이에서도 격음 폐쇄음 만이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유의미한 길이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VOT나 모음 길이에서의 두 폐쇄음 간의 차이는 평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초에서 VOT의 증가로 자음의 특성이 강화되어 발음이 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VOT의 증가가 작은 대신 뒤에 오는 모음 길이로 그 운율 위치에 따른 강화현상이 실현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일상발화에서 보다 명료발화에서 후행 하는 모음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i/ 모음의 F2와 /a/ 모음의 F1 과 F2 의 증가 또한 명료발화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율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모음의 F0 최고치가 초점 강세를 받지 않는 경우에서 보다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증가되었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 /i/의 F2, /a/ 의 F1 과 F2, /u/와 /e/의 F1이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에서 더 증가하여 나타났다. VOT의 경우는 평음 폐쇄음 만이 초점 강세에서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격음 폐쇄음의 경우 운율 환경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o et. al(2011)의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본다면 서울화자들이 격음 폐쇄음을 발음할 때 모든 강화조음 환경에서 VOT가 증가하였으며 테스트 단어의 두 번째 음절의 길이 증가, 모음공간(vowel space)이 더 확장되어 나타났다. 모든 강화조음 환경에서 모음공간이 더 확장되고, 의사소통환경에서 모음의 길이가 증가하고 억양구 초와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VOT와 F0가 증가하는 결과는 본 연구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의사소통 환경에서도 VOT가 증가하고 명료발화에서 모든 분절음이 동일한 정도로 강화되어 발성 되는 것이 아니라 억양구 초와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더 강화된 음성학적 특성들이 나타나는 것 등의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경상화자가 의사소통환경, 운율위치, 운율환경과 같은 다른 강화조음 환경에서 폐쇄음을 발음할 때 동일한 패턴이지는 않지만 모든 강화 조음 환경에서 모음 공간이 확장되어 발음되고 있는 반면 세 가지 강화조음 환경에서 각각의 강화되는 음성적 특성들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 간에도 각 강화조음 환경에서 그 조음 특성으로 인해 강화되는 음향음성학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Korean stops were manifested under three different hyper-articulated speech conditions such as clear speech, prosodic domain-initial position, and focused position in Kyungsang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with tonal and non-tonal dialect speakers of Korean, it has been found that Seoul dialect speakers use both VOT and onset f0, while Kyungsang speakers make use of VOT to distinguish the three-way contrast of Korean stops (Lee and Jongman, 2012). Given that Seoul and Kyungsang speakers use VOT and onset f0 in a distinct way to signal the laryngeal contrast of Korean stops, it was expected that they showed different strategy in the use of phone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to enhance the contrast in the three different hyper-articulation speech conditions.
    Ten femal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had lived and been educated in Kyungsang dialect and their parents spoke the same dialect. Each of two bilabial aspirated and lenis stops, /p/ and /pʰ/ were embedded in disyllabic words including vowels /i, a, u, e/. The target words were placed in initial position and medial position of intonational phrase (IP) under focused position and unfocused condition. Then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est sentences with two different speaking styles such as casual speech and clear speech.
    Each participant was recorded using a digital recorder (Roland R-05), and the recorded material was sampled at 44,100 Hz with a 16-bit quantization. The voice onset time (VOT) and vowel duration, peak of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the first formant and the second formant of vowels were measured using Praat.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revealed that the VOT of the aspirated and lenis stops were increased in the IP-initial position than in IP-medial position. The F1 and F2 of vowels, /i, a, u/ were enhanced in the IP-initial position than in the IP-medial positio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spirated stops, the difference of VOT duration of the lenis stops was relatively great between the two different prosodic positions. However, the vowel durations following the aspirated sto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P-initial position than in IP-medial position while lenis stops did not show vowel difference between the IP-initial position and the IP-medial position.
    Under the different speaking styles, the vowels after the aspirated stop and lenis stop were longer in the clear speech than in the casual speech. It was also found that the F2 of /i/ and F1 and F2 of /a/ were enhanced in the clear speech.
    When the two Korean stops were produced in the focused and unfocused condition, the F0 peak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focused condition than in unfocused condition. In addition, vowel space expansion was also found in the focused condition: F2 of /i/, F1 and F2 of /a/, and F1 of /u/ and /e/ were increased in the focused condi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vided evidence showing that Korean stops were differently manifested under each hyper-articulated speech condition and that the enhancing strategi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the aspirated and lenis stops of Korean.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Seoul dialect, Kyungsang dialect speakers did not show consistent interaction effects across the different hyper-articulated condi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폐쇄음이 강화되어 발성되는 환경에서 그 음향음성학적 특성들이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한국어 표준어와 달리 초분절적 요소인 성조를 가진 경북 방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강화 조음 (hyperarticulation) 현상이 일어나는 환경에서 한국어 폐쇄음 발성의 음향학적 특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강화 조음의 환경으로는 먼저 의사소통환경으로 명료 발화와 일상 발화에서의 비교를, 운율 위치에 따른 요인으로는 억양구 첫머리와 억양구 중간에 위치했을 때의 발성 비교와, 운율 환경에 따른 요인으로는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성실험에서 경상지역에서 태어나 교육받고 생활해온 10명의 여성 화자들이 참여하였으며 테스트 단어는 양순 평음과 격음 폐쇄음 /p, p/이 /i/, /a/, /u/, /e/ 모음 앞에 위치하는 두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로 구성하였다. 테스트 단어에서 나타나는 초분절적 요소를 통제하기 위해서 테스트 단어의 성조는 1음절에 고성조가 오는 단어로 제한하였다.
    억양구 첫머리와 억양구 중간에 위치한 테스트 단어에 초점 강세를 유도하기 위해서 피험자에게 테스트 단어를 제외한 유사한 내용을 가진 선행 문장을 먼저 읽게 한 후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소리 내어 읽게 하였다. 반대로 초점강세를 포함하지 않는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피험자에게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선행 문장을 읽게 한 후 이미 구정보가 된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소리 내어 읽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명료발화로 인한 강화조음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 테스트 단어를 포함한 문장을 명료 발화와 일상 발화를 하는 경우로 나누어 발화되도록 하였다. 명료발화의 경우 피험자에게 외국인에게 말하듯 주의 깊게 발음 하도록 하며, 일상발화의 경우 친한 친구에게 말하듯 테스트 문장을 읽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운율 위치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VOT가 증가하였으며 /i, a, u/ 모음의 F1과 F2가 증가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은 그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VOT의 경우 평음 폐쇄음이 두 운율 위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위치에 따른 VOT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폐쇄음 뒤에 오는 모음 길이에서도 격음 폐쇄음 만이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유의미한 길이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VOT나 모음 길이에서의 두 폐쇄음 간의 차이는 평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초에서 VOT의 증가로 자음의 특성이 강화되어 발음이 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VOT의 증가가 작은 대신 뒤에 오는 모음 길이로 그 운율 위치에 따른 강화현상이 실현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일상발화에서 보다 명료발화에서 후행 하는 모음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i/ 모음의 F2와 /a/ 모음의 F1 과 F2 의 증가 또한 명료발화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율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모음의 F0 최고치가 초점 강세를 받지 않는 경우에서 보다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증가되었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 /i/의 F2, /a/ 의 F1 과 F2, /u/와 /e/의 F1이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에서 더 증가하여 나타났다. VOT의 경우는 평음 폐쇄음 만이 초점 강세에서 증가하여 나타났으며 격음 폐쇄음의 경우 운율 환경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o et. al(2011)의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본다면 서울화자들이 격음 폐쇄음을 발음할 때 모든 강화조음 환경에서 VOT가 증가하였으며 테스트 단어의 두 번째 음절의 길이 증가, 모음공간(vowel space)이 더 확장되어 나타났다. 모든 강화조음 환경에서 모음공간이 더 확장되고, 의사소통환경에서 모음의 길이가 증가하고 억양구 초와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VOT와 F0가 증가하는 결과는 본 연구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의사소통 환경에서도 VOT가 증가하고 명료발화에서 모든 분절음이 동일한 정도로 강화되어 발성 되는 것이 아니라 억양구 초와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더 강화된 음성학적 특성들이 나타나는 것 등의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경상화자가 의사소통환경, 운율위치, 운율환경과 같은 다른 강화조음 환경에서 폐쇄음을 발음할 때 동일한 패턴이지는 않지만 모든 강화 조음 환경에서 모음 공간이 확장되어 발음되고 있는 반면 세 가지 강화조음 환경에서 각각의 강화되는 음성적 특성들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 간에도 각 강화조음 환경에서 그 조음 특성으로 인해 강화되는 음향음성학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경상도 화자들이 명료발화와 일상발화, 억양구 초와 억양구 중간, 그리고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와 초점 강세를 받지 않는 경우와 같은 강화조음 환경에서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을 발음할 때 보이는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경상 화자들은 각 강화조음 현상은 조금씩 다른 형태의 특성들을 보였으며 특히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 간에도 그 특성들이 달리 나타났다.
    먼저 운율위치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VOT가 증가하였으며 /i, a, u/ 모음의 F1과 F2가 증가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은 그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VOT의 경우 평음 폐쇄음이 두 운율 위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위치에 따른 VOT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폐쇄음 뒤의 모음 길이에서도 격음 폐쇄음 만이 억양구 중간에서 보다 억양구 초에서 유의미한 길이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VOT나 모음 길이에서의 두 폐쇄음 간의 차이는 평음 폐쇄음의 경우 억양구 초에서 그 VOT의 증가로 강화되어 발음이 되는 반면 격음 폐쇄음의 경우 그 VOT의 증가가 작은 대신 뒤에 오는 모음 길이로 그 운율 위치에 따른 강화현상이 실현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뒤에 오는 모음의 길이로 일상발화와 명료발화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며 /i/ 모음의 F2와 /a/ 모음의 F1 과 F2 의 증가 또한 명료발화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율환경에서는 두 폐쇄음 모두 모음의 F0 최고치가 초점 강세를 받지 않는 경우에서 보다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 증가되었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 /i/의 F2, /a/ 의 F1 과 F2, /u/와 /e/의 F1이 초점 강세를 받는 경우에서 더 증가하여 나타났다. VOT의 경우는 평음 폐쇄음 만이 초점 강세에서 증가하여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상화자가 의사소통환경, 운율위치, 운율환경과 같은 다른 강화조음 환경에서 폐쇄음을 발음할 때 동일하지는 않지만 모든 강화조음 환경에서 모음공간이 확장되어 발음되고 있는 반면 세 가지 강화조음 환경에서 각각의 강화되는 음성적 특성들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평음 폐쇄음과 격음 폐쇄음 간에도 각 강화조음 환경에서 그 조음 특성으로 인해 강화되는 음향음성학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화조음 현상의 원인에 대한 세분화 된 연구로 한국어 화자의 강화조음 현상이 발화 환경적 요인과 운율적 요인에 따라 음성적으로 어떻게 실현되는지에 관한 구체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한국어에서도 성조가 있는 경상 방언의 폐쇄음 강화조음 현상에 대한 연구로 기존의 어휘 성조가 존재하지 않는 서울지역 화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교되는 결과를 도출할 것이며, 음성적 강화 현상에 나타난 성조 언어와 비성조 언어 간의 체계적 차이점을 설명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명료발화, 초점강세, 그리고 운율구 초 자음의 강화현상과 같은 다양한 발화 환경 내에서 나타나는 자음과 그 자음을 포함한 음절, 그리고 인접한 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특성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된 계량화된 결과물은 다양한 발화 환경 내에서 나타나는 가변적인 분절음의 음성생성과 관련된 음성 합성과 인식에 있어서 계량화 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발화의 자연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영어와 같은 강세를 가진 언어와의 비교연구만이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성조가 있는 다른 언어와의 비교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휘 성조를 가진 언어가 강화조음 환경 하에서 그 초분절적 요소인 억양과 분절음의 음성학적 특성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성조 언어와 관련된 음성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도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한국어 방언 특성에 따른 자음과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의 결과는 추후 경북 방언 화자의 영어 발화에 따른 분석 및 경북 방언 화자의 영어 억양 교육 및 발음 교육에 필요한 교수 학습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강화조음, 경상 방언, 한국어 폐쇄음, 명료 발화, 초점 강세, 운율초 강화현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