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703&local_id=10086674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장지현(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590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다양한 교육정책적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교육정책적 영향요인들을 정책적으로 개선시킨다고 가정할 때, 이러한 개선 노력이 초중등 교육의 종국적 목표가 될 수 있는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에 얼마만큼의 효과 차이를 가져오는지 정책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석결과들을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링에 반영시켜 향후 2024년까지 우리나라의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이 어떻게 변동될 수 있을지에 대한 추정치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1인당 GDP가 현재보다 2%~4% 범위로 성장할 경우 우리나라의 교육경쟁력 점수와 청소년 행복도도 지속적인 상승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paper attemps to overview the existing studies on the determinants associated with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an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o construct causal diagram explaining its relationships based on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to build a simulation model to extimate possible results from optional policy scenarios, and to search for policy-rela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government to be able to make desirable judgements about adolscent policy measures.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many effort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happiness an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research employs system dynamics approach to derive policy scenarios applicable to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olicy scenarios on GDP per capita may lead to significant and sensitive results, implying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utilize policy simulation prior to implementing polic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청소년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도 개인적인 변수나 사회적 변수에 초점을 두는 미시적 수준에서 벗어나서 교육 정책적 변수들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청소년 행복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되는 다양한 교육정책적 변수들을 포함시켜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이 어떻게 변동될 수 있을지를 추정해 본 정책 지향적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분석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석결과들을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링에 반영시켜서 향후 2024년까지 우리나라의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이 어떻게 변동될 수 있을지에 대한 추정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교육정책 수립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모든 변수들의 시나리오별 향후 추정치 값에 근거하여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을 살펴보면, 향후 1인당 GDP가 일정 비율로 성장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교육경쟁력 점수 및 청소년 행복도의 점수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향후 1인당 GDP의 성장률을 2%성장, 3%성장, 4%성장으로 가정했을 때 2024년 기준으로 교육경쟁력은 2016년도의 5.95에 비해 6.91점, 6.99점, 7.07점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행복 는 약73.75점, 76.35점, 79.09점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정서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며 학교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한 나라의 교육경쟁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교육경쟁력은 청소년기의 행복도가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기대될 수 있는 효과는 첫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청소년 교육정책의 중요한 목표인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이라는 핵심개념을 보다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발전시킨 것이라고 본다. 기존의 연구들이 청소년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을 별개로 처리하여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검토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두 개념간의 상호관련성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향후 두 요소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관계에 대한 검증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정책결정자에게 중장기적 교육정책 수립에 필요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해주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정책시뮬레이션을 통해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행복도와 교육경쟁력을 지금보다 높은 수준으로 목표를 설정한 다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책적 영향요인들을 얼마만큼 어떻게 변동시켜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색인어
  • 교육 경쟁력, 청소년 행복, 시스템 다이내믹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