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742&local_id=10086159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거시 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거시 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현희(국민대학교 국정관리전략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63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을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생태계를 이해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힘입어 지난 몇 해 동안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들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사회적기업의 수익 가운데 정부지원이 평균 77% 가량으로 경제자립도가 상당히 낮은 상황이다(한국노동연구원, 2014). 이에 따라 2013년부터 정부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기업의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강화, 기업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지역 내 민간 부문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2013).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는지를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활동, 지역사회와의 관계, 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통해 밝히고, 사회적기업들의 육성 및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전국의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21개의 전국의 사회적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의사결정기구, 지역협의회, 지방자치단체와의 효과적인 네트워크 활동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활동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긴밀한 지역관계를 구축할 경우에만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의사결정기구, 지역협의회,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사회적기업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결정적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erprises’ networking activities and their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erprises’ networking activities and their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a sample of 121 social enterprises certifi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Hayes’ (2013) bootstrapping method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community rel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networking activities with member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e., shareholders, board of trustees, operation committee, and union council in this study) increas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community relations fully mediate the effect of the relation of networking activities with industry associations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activities with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erformance. The results emphasize that networking activities do not normally increase performance but allow social enterprises to build a persistent and collaborative network with local major stakeholders who may be able to bring new opportunities and other necessary resources to the social enterprises. The network ultimately increases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hat is, local agencie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building a collaborative network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local stakehold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을 둘러싼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생태계를 이해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힘입어 지난 몇 해 동안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들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사회적기업의 수익 가운데 정부지원이 평균 77% 가량으로 경제자립도가 상당히 낮은 상황이다(한국노동연구원, 2014). 이에 따라 2013년부터 정부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기업의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강화, 기업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지역 내 민간 부문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2013).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는지를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활동, 지역사회와의 관계, 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통해 밝히고, 사회적기업들의 육성 및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전국의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21개의 전국의 사회적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의사결정기구, 지역협의회, 지방자치단체와의 효과적인 네트워크 활동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활동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긴밀한 지역관계를 구축할 경우에만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의사결정기구, 지역협의회,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사회적기업이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결정적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활동이 성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밀접한 관계를 통한 거버넌스구조의 구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에 있어서 사회적기업가에게는 기업의 생존 전략을 수립하는데, 정책 담당자에게는 효과적인 정책지원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내용을 단순한 재정지원에 국한하기 보다는 그들이 자생력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재정자립도를 향상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지원을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조직의 운영 과정에서 네트워크 활동을 수행할 때, 그러한 활동이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공공히 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가를 일종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실질적인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이다. 결국 정부와 사회적기업 모두 지역사회와 사회적기업이 상생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축적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과 경제적 기능의 수행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2017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활동이 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2017년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사회적 기업의 지역관계와 조직역량이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에서 연구내용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논문을 한국조직학회보에 투고하여 심사중이다. 또한 향후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실증논문 최소 1개 및 학위논문을 작성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사회연결망분석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 육성정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