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842&local_id=10086202
한국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성장전략 분석 - 스토리와 정서구조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성장전략 분석 - 스토리와 정서구조를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은준(대전보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76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전략이 문화정치 측면에서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는지 알아보겠다는 목적 하에, 케이블 드라마 콘텐츠의 스토리전략과 정서구조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케이블 드라마 콘텐츠의 성장전략이 무엇인지를 콘텐츠 내부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폭넓게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기존 지상파 패권주의에서 점차 다양한 미디어와 채널로 이동하고 있는 미디어 수용 양식을 콘텐츠에 기반하여 해석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케이블 드라마는 시즌제 형식으로 제작되면서 그에 따라 이야기와 캐릭터의 동질성이 지속성있게 담보된다는 이점이 있다. 시즌제는 기존 한국의 지상파 드라마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특성이 아닌데, 케이블의 특성상 다양한 소재와 장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고 그만큼 새로운 시점의 드라마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지면서 시청충성도가 높은 틈새 수용자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시즌제는 지상파 채널에 비해 다양한 소재와 장르를 다루면서 고정 시청자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공동체 정서에 기반한 스토리 전개가 이어지면서도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프트한 성격의 갈등이 극의 흐름을 이어간다. 이는 서사의 취약성으로 이어지지만 이러한 취약성은 캐릭터 파워와 인물이 구현하는 정서적 힘으로 상쇄된다. 더불어 주인공의 성장을 시청자가 오랜 시간을 두고 함께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충성도를 확보한다. 분석대상 드라마들은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 시청자들이 삶의 질서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며 어떻게 견뎌야 하는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공히 문화소비의 주요 계층이라 할 수 있는 30, 40대를 주요 타겟으로 삼으면서 이들이 경험한 과거 공동체에 대한 향수를 주된 정서로 활용하되 매우 연성화된 방식으로 과거의 기억을 다루거나, 오늘날 30대 여성들이 겪을 수 있는 다소한 삶의 고민들을 주인공의 사랑이야기와 등치시킴으로써 삶의 갈등을 소비의 대상으로 구체화시킨다.
    본 연구가 수행한 것은 분석 대상의 텍스트 분석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케이블 콘텐츠 전략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를 정리해야 할 필요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를 위해 분석의 틀과 세부적 방법론이 더욱 정교화될 필요가 있고, 텍스트의 특성이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갖는 문화적 전략과 효과로 정리될 때 콘텐츠 내부적 특성을 비롯해 오늘날 케이블 드라마가 갖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성장 동인을 함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story structure and structures of feelings of the cable drama contents. It set out to explore how the content strategy of cable dramas works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s. So there are interpret the contents of the media based on content, and then target the growth strategy of Korea's cable drama contents not only in terms of content it self, but also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Cable dramas are produced in the form of seasonal formats, thereby benefiting the continuity of the story and the characters identities. The seasonal format is not ordinary pattern in traditional Korean dramas environmental. But it is more likely to gain access to viewers of diverse items and genres, providing with a new perspective on viewers. Seasonal formats are used to maintain a fixed audience for a long time with loyalty while handling various items and genres compared to terrestrial channels.
    Basically there's a story based on community sentiment. At the same time, the flow of content is dominated by soft conflicts. This leads to the weakness of the narrative, but this vulnerability is offset by the emotional power and the emotional forces implemented by various characters. During the drama season, the audiences will experience the growth of the drama characters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audiences identifies the characters so and then it guaranteed to fixed audiences.
    The analyzed dramas shows differently how audiences in neo-liberalism are embracing the order of life and how to withstand it.
    However, these dramas are the main target of 30 to 40 year-old audiences, which can be regarded as major layers of cultural consumption. It uses nostlasia as a primary emotion for past communities, but treats past memories as a highly soften manner, or
    equivalents real life’s troubles to love story in the drama, so this limits the problems of life to the object of consumption.
    Because this study is limited to textual analysis of the subject, it is still necessary to have a more holistic approach to organizing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cable drama content strategy. To this end, analytical framework and detailed methodologies need to be more sophisticated. And if the currently organized text attribute is organized into social and cultural levels, it will be able to g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growth driver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oday's cable dram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텔레비전 드라마는 그 이야기를 통해 발현되는 다양한 차원의 이데올로기 질서, 생경하는 문화의 흐름, 나아가 문화자본의 전략까지도 파악하기에 효과적인 창구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확인할 수 있는 케이블 드라마들의 약진은 우리가 속한 사회와 문화 속에서 변화하는 미디어 문화 생산과 수용 양상을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분석의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전략이 문화정치 측면에서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는지 알아보겠다는 목적 하에, 케이블 드라마 콘텐츠의 스토리전략과 정서구조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케이블 드라마 콘텐츠의 성장전략이 무엇인지를 콘텐츠 내부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폭넓게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케이블 드라마의 성장전략을 스토리구조와 정서구조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해 냄으로써 기존 지상파 패권주의에서 점차 다양한 미디어와 채널로 이동하고 있는 미디어 수용 양식을 콘텐츠에 기반하여 해석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분석대상으로 삼은 것은 케이블 드라마 중 <응답하라 시리즈>와 <막돼먹은 영애씨>다. 각 텍스트의 분석은 계열체 분석과 통합체 분석을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스토리전략 측면에서는 이야기 구성이나 기능, 인물, 배경 등 통합체 차원에서의 분석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계열체 분석을 통해 텍스트 구조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관, 규범이 무엇이고 특히 각 드라마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주요한 정서구조 전략이 시즌에 따라 어떻게 다르거나 혹은 공통되게 드러나는지를 면밀히 검토한다. 그런 다음 종합적으로 이러한 각각의 특성들이 케이블 드라마 콘텐츠 성장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는지를 정리한다. 이를 통해 케이블 드라마를 통해 볼 수 있는 변화된 콘텐츠 전략이 새로운 문화 생산의 차원에서 어떤 사회문화적 함의를 보여주는지 통찰해보려 한다. 이상의 작업은 문화연구적 측면에서 볼 때 지상파와 대비되는 케이블 프로그램의 성장동력을 콘텐츠 측면에서 분석한 사례가 됨으로써 콘텐츠 내부적 특성을 비롯해 오늘날 케이블 드라마가 갖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성장 동인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콘텐츠 산업 차원에서 실제적 수용국면을 고려한 콘텐츠 전략을 수립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최근 케이블 드라마의 약진에 주목하여,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대표적인 케이블 드라마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한국형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성장전략을 분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가 담고 있는 스토리전략과 정서구조전략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콘텐츠의 내용적 측면을 비롯하여 수용자의 취향과 욕구 반영이라는 보다 거시적 차원을 고루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의의를 함께 다루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문화연구적 측면에서 근래 지상파와 대비되는 케이블 프로그램의 성장추세를 콘텐츠 측면에서 분석한 사례를 제공한다. 현재까지 케이블 콘텐츠들에 관한 연구는 대개 콘텐츠의 재활용이나 거래 등 산업차원의 논의들이 주를 이루며 이 역시 지상파 질서 위주로 논의되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케이블 드라마들의 경우 지상파에서 다루지 않는 소재를 과감히 사용하기도 하고 유연한 편성 전략을 구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꾸준히 시청률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웰메이드 콘텐츠들이 속속 등장하고, 평범한 일반인들의 이야기를 공감있게 다루면서 호평을 받기도 한다. 이는 최근 지상파 드라마들이 막장논란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드라마들의 콘텐츠 성장 전략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텐츠 내부적 특성을 비롯해 오늘날 케이블 드라마가 갖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성장 동인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콘텐츠 산업 측면에서 콘텐츠 전략 수립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정부는 한류3.0 시대를 주창하면서 그간 다소 침체기에 접어들었던 한류문화콘텐츠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유튜브와 SNS 등 인터넷 기반 개인 미디어들의 급격한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오늘날 한국의 문화 콘텐츠는 거의 실시간으로 세계 곳곳에서 수용, 소비된다. 그동안 지상파 프로그램 위주의 콘텐츠가 한류문화콘텐츠의 기저를 이루었다면, 이제는 지상파와 케이블을 구별하지 않고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한류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의 성장 전략을 분석하는 작업은 콘텐츠 경쟁력 시대의 질적 도약을 위해서 매우 필수적인 작업이 된다. 이에 본 연구가 분석하는 케이블 드라마의 콘텐츠 성장전략은 특히 스토리와 정서구조라는 측면을 다룬다는 점에서, 수용국면을 고려한 콘텐츠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케이블 드라마, 스토리구조, 정서구조, 텍스트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