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847&local_id=10086328
교사와 학생의 경험에 의한 학교폭력 예방 교사역량 탐색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사와 학생의 경험에 의한 학교폭력 예방 교사역량 탐색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재연(목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78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교사 및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과 사안처리 관련 경험이 있는 교사 10명과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면접하였고, 면접결과를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합의적 질적 연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학생에 대해 파악하는 것, 학생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부모와 소통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급 대상으로 예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 일상적 예방활동과 폭력예측 학생 관리를 통해 비폭력 풍토를 조성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또 학교폭력 사안 발생 후 대처를 위해서는 학생 간 관계회복을 돕는 것, 학부모와 자녀성장에 초점을 둔 상담능력, 공식적 사안처리 및 적극적 태도, 교내‧외의 교사 및 전문가와 협력‧연계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추후의 관리를 위해 교사의 자기이해 및 관리, 전문성 개발 등을 중요하게 보았다.
    반면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긴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은 사소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인식하며 적극적이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 사안처리 과정에서 절차의 원칙을 지키며 교육적인 관점에서 개입하는 방식, 해당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중재, 지도하는 능력과 기술, 그리고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형성, 학급 관리 및 리더십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역량보다 사안 발생 후의 대처를 위한 교사역량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교사와 학생의 관점에서 차이점으로는 교사의 관점에서 학부모 대상의 예방활동하기와 사안처리를 위해 소통과 상담하는 역량, 교사의 자기이해ㆍ자기관리 역량 등이 중요하게 나타난 반면, 학생의 관점에서는 학교폭력과 사안처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해당학생 관련 교육적 관점에서 사안을 처리하기, 교사의 피해․가해학생에 대한 지도 능력 등이 중요하게 보고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eachers' competency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and students'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10 teachers and 10 students (victims and perpetrator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how it was handled by the school were interviewed. Afterward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reported importantly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re the following; To prevent school violence, it was turned out to be important, understanding students,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for a trust relationship, providing ongoing prevention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programs for each class, managing usual activities for violence prevention, creating a nonviolent school climate through managing problem students.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following things are required, like helping student-student relations, counseling skills with parents focused on students’ growth, proactive attitudes and official case handling, and a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specialists. For afterward managing, teachers need self-knowledge and profession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acknowledging the seriousness of even the minor school violence cases and trying to resolve those cases actively and properly, to have methods to intervene in an educational way to follow the principles of the procedures, to have skills and competence to counsel, mediate and supervise relevant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o have leadership and class managing skills to prevent school violence.
    Both teachers and students were perceived more importantly about teachers' competency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than teachers' competency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it is importa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for a trust relationship, counseling skills with parents, self-knowledge and self managing.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ha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school violence cases and trying to resolve, to have methods to intervene relevant students in an educational way, to have skills and competence to supervise relevant stud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교사 및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과 사안처리 관련 경험이 있는 교사 10명과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면접하고, CQR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생에 대해 파악하는 것, 학생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부모와 소통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급 대상으로 예방교육의 지속적 실시, 일상적 예방활동과 폭력예측 학생 관리를 통한 비폭력 풍토조성 등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또 대처를 위해 학생 간 관계회복을 돕는 것, 학부모와 자녀성장에 초점을 둔 상담능력, 공식적 사안처리 및 적극적 태도, 교내‧외 교사‧전문가와 협력‧연계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추후관리를 위해 교사의 자기이해 및 관리, 전문성 개발 등을 중요하게 보았다.
    반면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긴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은 사소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인식하며 적극적이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 사안처리 과정에서 절차의 원칙을 지키며 교육적인 관점에서 개입하는 방식, 해당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중재, 지도하는 능력과 기술, 그리고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형성, 학급 관리 및 리더십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폭력 예방보다 사안 발생 후 대처를 위한 교사역량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교사의 관점에서 학부모 대상의 예방활동과 사안처리를 위한 소통ㆍ상담 역량, 그리고 교사의 자기이해ㆍ자기관리 역량 등이 중요하게 나타난 반면, 학생의 관점에서는 학교폭력과 사안처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해당학생 관련 교육적 관점에서 사안을 처리하기, 교사의 피해․가해학생에 대한 지도 능력 등이 중요하게 보고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는 현직 교사들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 어떤 역량을 강화해야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교사는 본인이 가진 역량과 더 강화해야할 역량들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도록 돕는 자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학교폭력 관련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정부기관 또는 관련기관의 관계자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폭력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식을 점검해보고 새롭게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교원양성과정의 예비교사에게도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사역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교폭력 관련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개선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교 뿐만아니라 학생들의 활동과 교육이 있는 다양한 현장의 실무자에게도 유익한 정보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학교 밖 교육 현장의 실무자들이 학교폭력 관련하여 예방하고 학생을 상담하며 관련 학생을 학교로 연계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교사역량, 교사의 경험과 학생의 경험, 합의적질적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