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857&local_id=10086574
프랑스어 무동사 속담에 있어 무관사와 평가형용사의 언어학적 작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프랑스어 무동사 속담에 있어 무관사와 평가형용사의 언어학적 작용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성영(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311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동서양을 막론하고 언중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속담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언어생활 가운데 기존의 전승된 속담들을 자신의 논증전개에 필요한 준거로서 담화에 즐겨 인용하고 있다. 속담은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구축된 경험적 진리와 교훈, 진중하면서도 풍자적인 인생관을 표상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속담내용은 인류 보편적인 가치관과 더불어 민족 고유의 문화적 독창성을 함축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속담연구는 전통적으로 민족학적, 또는 문화인류학적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언어학적으로는 비교적 늦게 시도되어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주로 의미⦁화용론적 차원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속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는 다양한 의미⦁화용적 특성, 지칭기능(fonction dénominative)과 총칭성(généricité), 고정성(fixité), 은유적 추론(inférence métaphorique), 화용적 논증기능(fonction argumentative) 등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어 왔다.
    그 결과, 속담에 대한 통사⦁의미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시적으로는 그동안 등한시되어 온 속담의 통사⦁의미적 연구에 일차적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우리는 일상 의사소통에 있어 발화체들을 구성할 때 표준문장(phrase canonique)뿐 아니라 경제적 의도와 응축효과를 노린 무동사문(phrase averbale)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무동사문은 그 언어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의 관심 밖에 있어 왔다.
    한편, 이러한 무동사문의 구조적 양상은 속담의 본질적 특성 구성에 많은 부분 잘 부합하여, 속담의 무동사문인 무동사 속담이 생겨났고 담화에서 즐겨 인용되고 있는 편이다. 특히, 무동사문의 내재적 속성들 가운데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은 일반 속담의 본질적 특성과 일치하여 무동사 속담이 속담의 전형적 유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결정적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런데, 무동사 속담에는 이러한 의미특성들을 약정적으로 활성화하고 강화하는 통사적 언어표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것들 가운데 무관사(article zéro)와 평가형용사를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시적 차원에서, 지금까지 주변적 언어현상으로 간주되어 온 무동사문의 대표적 한 부류인 무동사 속담을 중심으로, 두 언어표지가 각각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의 강화에 미치는 언어학적 작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무동사문으로서 무동사 속담이 지닌 범주적 위상을 정립하고, 무동사 속담의 본질적 의미특성과 일치하는 무동사문의 내재적 속성인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무동사 속담을 이루는 명사구 구조에는, 무관사가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속담 의미 구성에 있어 총칭성과 논증력을 약정적으로 강화하며 활성화하고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우리는 고어로부터 비롯된 무관사 고유의 총칭적 용법이 속담에 적용되어 무동사 속담을 배태하고 형태적 고정성과 함께 높은 단계의 총칭성을 구축하게 된 이유와 과정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무동사 속담의 권위적 논증력이 강화되고 논증기능도 확보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는, 무동사 속담의 무관사 명사 수식어들 중 가장 높은 빈도를 갖는 평가형용사를 중심으로, 속담 자체의 내재적 논증 지향성을 강화, 전도, 결정하는 평가형용사의 약정적 논증작용을 형용사들의 자체 기능과 상호 논증관계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처럼 무동사 속담 내에서 이뤄지는 형용사의 논증작용은 결과적으로 속담의 논증력을 배가함으로써 논증에 있어 속담의 권위적 위상을 구조적으로 보장해준다 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무동사 속담에 사용되는 평가형용사의 논증작용은 일반 평가형용사의 경우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onverbal sentence is regarded as the most appropriate syntactic frame of the proverb, because to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nonverbal sentence correspond the genericity and the authoritative argumentative force, two semantic characters representative of the proverb.
    We have proposed in this article to explain the linguistic functions of the zero article and of the evaluative adjective, taken as the syntactic markers which induce, activate and reinforce by convention these two characters from th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work consist of five chapters as below:
    In the first chapter, we have introduced its objective and need by insisting on the importance of the syntactico-semantic studies of the proverb.
    In the second chapter, we have established the categorical status of the nonverbal proverb in comparison with the nonverbal sentence, and qualified the two characters as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nonverbal sentence.
    In the third chapter, we have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zero article, which determines a good number of noun phrases of the nonverbal proverb, strengthens and activates conventionally these two characters. To demonstrate this, we first examined the generic usage of zero article that date from the old French and which was applied to paremic expressions, especially to nonverbal proverb. We have also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rong genericity within the nonverbal proverb of zero article, which explains to us that from this was derived the strengthening of the argumentative force of nonverbal proverb.
    In the fourth chapter, we have analyzed the five different argumentative functions of the evaluative adjective which strengthen, reverse or determine the argumentative orientation of the nonverbal proverb. It follows that these functions systematically ensure the argumentative authority by increasing the argumentative force of the proverb.
    In the last chapter, we have discovered by some concrete examples that the nonverbal proverb is used very often in the advertising messages in the form of false proverbs which, with their borrowed argumentative authority, increase the customer’s wants, needs and desires to purchase products. We have also shown that the speaker often quotes in his speech these nonverbal proverbs as his authoritative arguments to confirm his own argument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는 일상 의사소통에 있어 발화체들을 구성할 때 표준문장뿐 아니라 경제적 의도와 응축효과를 노린 무동사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무동사문은 그 언어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의 관심 밖에 있어 왔다. 한편, 이러한 무동사문의 구조적 양상은 속담의 본질적 특성 구성에 많은 부분 잘 부합하여, 무동사문 유형의 무동사 속담이 생겨났고 담화에서 즐겨 인용되고 있는 편이다. 특히, 무동사문의 내재적 속성들 가운데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은 일반 속담의 의미특성과 일치하여 무동사 속담이 속담의 전형적 유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결정적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런데, 무동사 속담에는 이러한 의미특성들을 약정적으로 활성화하고 강화하는 통사적 언어표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것들 가운데 무관사와 평가형용사를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변적 언어현상으로 간주되어 온 무동사문의 대표적 한 부류인 무동사 속담을 중심으로, 두 언어표지가 각각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의 강화에 미치는 언어학적 작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무동사문으로서 무동사 속담이 지닌 범주적 위상을 정립하고, 무동사 속담의 본질적 의미특성과 일치하는 무동사문의 내재적 속성인 총칭성과 권위적 논증력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무동사 속담을 이루는 명사구 구조에는, 무관사가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속담 의미 구성에 있어 총칭성과 논증력을 약정적으로 강화하며 활성화하고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우리는 고어로부터 비롯된 무관사 고유의 총칭적 용법이 속담에 적용되어 무동사 속담을 배태하고 형태적 고정성과 함께 높은 단계의 총칭성을 구축하게 된 이유와 과정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무동사 속담의 권위적 논증력이 강화되고 논증기능도 확보되었음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는, 무동사 속담의 무관사 명사 수식어들 중 가장 높은 빈도를 갖는 평가형용사를 중심으로, 속담 자체의 내재적 논증 지향성을 강화, 전도, 결정하는 평가형용사의 약정적 논증작용을 형용사들의 자체 기능과 상호 논증관계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처럼 무동사 속담 내에서 이뤄지는 형용사의 논증작용은 결과적으로 속담의 논증력을 배가함으로써 논증에 있어 속담의 권위적 위상을 구조적으로 보장해준다 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무동사 속담에 사용되는 평가형용사의 논증작용은 일반 평가형용사의 경우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본 연구는 그 동안 속담연구에 있어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어 온 통사⦁의미적 연구의 틀 안에서 언어학적으로 무관심 영역이었던 무동사 속담에 초점을 맞추어, 그 언어학적 특성들을 강화하는 무관사와 평가형용사의 언어학적 작용을 실증적, 해석적, 통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무동사 속담 연구의 필요성을 방증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2) 속담에 대한 통사⦁의미적 연구의 중요성을 환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속담 연구의 언어학적 지평을 넓히게 될 것이다.
    (3) 무동사 속담에 사용되는 다른 통사구조와 구성요소들의 분석 및 연구에 방법론적 차원에서 기여할 수 있다.
    (4) 국어학계에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어 무동사 속담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5) 연구결과는 유사 언어권의 무동사 속담 연구에도 적용하여 우리 분석 작업의 언어학적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해볼 수 있다.
    (6) 연구가 완료된 후 그 결과를 관련 학회에 발표함으로써 국내의 프랑스어 속담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7) 무동사문과 무동사 속담의 통사⦁의미적 연구와 관련한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속담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무동사 속담, 무동사문, 총칭성, 논증력, 논증 지향성, 무관사, 평가형용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