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887&local_id=10086908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희동(군산간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128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7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회 안전 시스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소방조직을 대상으로 개인이 처한 환경, 심리적 자본 및 조직 효과성을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방공무원들이 직무 수행 중 감내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조직의 효과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주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변인의 효과에 의한 차이 비교 및 그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서울권에 위치한 소방학교를 섭외하여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분석을 위한 잠재평균 분석 및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차이 분석 결과, 소방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위험유발요인에 따라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유발요인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및 직무몰입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 및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 보이는 결과로서 위험유발요인의 상쇄 필요성 및 이들이 감내하는 위험요인들에 대한 사후관리의 필요성 또한 부각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직업소명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 자본으로써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소방조직의 시스템 개편 및 교육프로그램 설계, 제공 시 이러한 심리적 자본의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environment,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tructural aspec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risk factors which fire fighters experience in their workplace can effect their psychological capitals, and then it consequently undermin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hypothesis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 collected data from fire figthing school in Gyeonggi region and Seoul. Using valid data, we se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variables, analyzed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latent mean analysis, according to fire fighters' perceived level of risk factor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calling and job commitment. To be specific, when fire fighters highly perceived their risk factors, they showed lower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calling and job commitment. This result indicate that risk factors give negative effect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needed to diminish the risk factors and provide follow up service for fire fighters who experience risks. In addition, we also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calling and job commitment. As a result,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ommitment. This showed that the effect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alling on job commitment. The results implied the importance of regarding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s in reorganizing work system, educational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사회 안전 시스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소방조직을 대상으로 개인이 처한 환경, 심리적 자본 및 조직 효과성을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방공무원들이 직무 수행 중 감내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조직의 효과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주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변인의 효과에 의한 차이 비교 및 그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및 서울권에 위치한 소방학교를 섭외하여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분석을 위한 잠재평균 분석 및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차이 분석 결과, 소방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위험유발요인에 따라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유발요인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및 직무몰입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 및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 보이는 결과로서 위험유발요인의 상쇄 필요성 및 이들이 감내하는 위험요인들에 대한 사후관리의 필요성 또한 부각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직업소명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 자본으로써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소방조직의 시스템 개편 및 교육프로그램 설계, 제공 시 이러한 심리적 자본의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소방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위험유발요인에 따라 이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유발요인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및 직무몰입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유발요인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 및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 보이는 결과로서 위험유발요인의 상쇄 필요성 및 이들이 감내하는 위험요인들에 대한 사후관리의 필요성 또한 부각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소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직업소명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몰입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 자본으로써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소방조직의 시스템 개편 및 교육프로그램 설계, 제공 시 이러한 심리적 자본의 중요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소방공무원, 안전, 위험유발요인,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 직무몰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