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942&local_id=10086636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보장 수준 연구: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육 관련 변인, 심리적 변인의 영향력 검증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보장 수준 연구: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육 관련 변인, 심리적 변인의 영향력 검증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보순(동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25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의 목적> 1) 발달지체유아 권리 존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IPA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달지체유아 권리 보장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한다. 2)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를 살펴보고,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3)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연구방법> 2개 광역시와 5개도에 거주하는 발달지체유아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IBM SPSS Statistics 21.0과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PA분석, 빈도분석,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어머니들은 유아권리 존중의 중요도를 매우 높이 인식하였지만, 실행도는 그보다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였다. 2) 발달지체유아 권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는 유아의 연령과 장애진단 여부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3) 보호권과 발달권의 6가지 하위요소들이 집중 지원요소로 나타났고, 참여권의 모든 요소들이 저순위 지원요소에 포함되었다. 4)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보장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차별과 유해 자극으로부터의 보호, 유아의 개별적 요구와 놀이에 기반한 발달로 나타났다. 5)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한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는 자녀의 연령과 장애진단 여부,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가계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6)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한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는 양육효능감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가계소득, 자녀의 장애진단 여부, 자녀의 연령 변인들은 자녀권리 존중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8)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 존중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권리 존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11)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권리 존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의의> 본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들에게 자녀권리 존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실행정도를 점검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발달지체영유아의 권리 증진을 위해 어머니와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영문
  • <Purpose> 1)Identify elements that need to be supported for right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2)Analyze how mothers’ parenting stress effects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lso,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perception. 3)Analyze mothers’ perception on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o shed the light the impact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their perception on righ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00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elays and they were pooled from the residence in two metropolitan city and five province in Korea.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IPA technique, frequency analysis, t-test, M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Results> 1)The importance level of mothers’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rights was high, but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er than that. 2)There was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diagnosis of disabilities. 3)It proved that 6 elements of protection rights and development rights were in the ‘Concentrate area’, and all the elements of participation rights were in the ‘Low priority area’ within IPA matrix. 4)Protecting against discrimination or noxious environment, and supporting child’s individual needs were core elements. 5)There is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 on righ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ccording to children’s age, diagnosis of disorder, the age of mothers, and family income. 6)Mothers’ perception on righ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hers’ parenting efficacy, but it has also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ress. 7)There is evidence for variables affecting mothers’ perception on righ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others’ parenting stress, family income, age of children, and issue in diagnosis of disability. 8)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of children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ress, but it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hers’ self-esteem. 9)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10)Parenting stress has effects on their self-esteem. 11)There is evidence for mothers’ self-esteem is working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respecting the rights.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d opportunities that mothers thought about their child’s rights. And it indicated practical discussion items to promote children‘s righ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actical implication for improving righ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as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보장 수준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육 관련 변인, 심리적 변인의 영향력과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여 발달지체유아 및 어머니에 대한 지원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개 광역시와 5개도에 거주하는 발달지체유아 어머니 300명에게 아동권리의 중요도와 보장 수준, 사회인구학적 변인(어머니의 연령, 학력, 가계 소득, 직업 유무, 자녀수, 자녀 성별, 자녀 장애 특성), 양육 관련 변인(양육태도,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변인(주관적 안녕감, 자아존종감)을 조사한 후, IPA분석, 빈도분석, t-검증, 변량분석, 회귀분석, 사후검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들의 자녀권리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유아권리 존중의 중요도를 매우 높이 인식하였지만, 실행도는 그보다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발달지체유아 권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는 유아의 연령과 장애진단 여부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셋째, 보호권과 발달권의 6가지 하위요소들이 집중 지원요소로 나타났고, 참여권의 모든 요소들이 저순위 지원요소에 포함되었다. 넷째,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보장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차별과 유해 자극으로부터의 보호, 유아의 개별적 요구와 놀이에 기반한 발달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를 살펴보고, 그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첫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한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는 자녀의 연령과 장애진단 여부,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 가계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한 자녀의 권리 존중 정도는 양육효능감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가계소득, 자녀의 장애진단 여부, 자녀의 연령 변인들은 자녀권리 존중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 존중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권리 존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자녀권리 존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의 보장 수준과 권리 항목에 대한 어머니들의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권리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권리 보장 수준에 대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변인 간 관계를 검토하여 발달지체유아와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의 보장 수준과 권리 항목에 대한 어머니들의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권리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권리 보장 수준에 대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변인 간 관계를 검토하여 발달지체유아와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부모, 교육자, 연구자, 행정가를 비롯한 사회구성원들에게 발달지체유아의 권리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그 보장 수준을 점검할 계기를 제공하며, 개선을 위한 논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국내연구에서 시도되지 못했던 발달지체유아의 권리를 탐구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연구가 되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우선적 지원이 필요한 권리항목 도출은 추후의 실태분석 연구, 정책 제안 연구,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방향과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유도하고, 부모지원을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발달지체유아의 인권을 보장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생애주기별 권리, 소수아동 권리, 부모에 의한 권리 보장 등을 주제로 한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다양한 후속연구로의 파급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아동권리 보장,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 양육 관련 변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