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954&local_id=10086709
이산형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가족 글램핑장 지불의사 고찰: 가족 기능 세분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이산형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가족 글램핑장 지불의사 고찰: 가족 기능 세분화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류성옥(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90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새로운 가족 여가활동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글램핑은 전통적인 캠핑과 달리 쾌적한 숙박시설과 다양한 서비스로 최근 많은 참여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택실험법을 활용, 가족 글램핑 참여자들이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글램핑장을 선택하며, 이 과정에서 특정 글램핑장에 어느 정도 지불의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족 단위 글램퍼들은 글램핑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사이트 격리에 가장 신경을 기울였다. 아울러 가족 기능 측면에서 불균형을 보인 가족이 그렇지 않은 가족보다 글램핑 활동에 더 많은 지불의사를 나타냈다.
  • 영문
  • As an alternative family vacation pattern, “glamping” travel has increased in popularity due to diverse facilities and accommodations that are more comfortable than those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camping travel. This study uses a sample of South Korean family glampers to examine how they exhibit their willingness-to-pay for each glamping travel site attribute. This study employs the notion of family functioning as a new segmentation criterion to better understand the heterogeneity in family glampers’ inherent preferences. The results of a discrete choice experimental approach suggest that family glampers place the greatest importance on the site separation attribute to protect their privacy. A segmentation scheme based on family functioning also provides clear evidence that glampers from an unbalanced family system are willing to pay more for their glamping holidays.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 management implications to develop optimal family glamping travel destin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새로운 가족 여가활동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글램핑은 전통적인 캠핑과 달리 쾌적한 숙박시설과 다양한 서비스로 최근 많은 참여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택실험법을 활용, 가족 글램핑 참여자들이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글램핑장을 선택하며, 이 과정에서 특정 글램핑장에 어느 정도 지불의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족 단위 글램퍼들은 글램핑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사이트 격리에 가장 신경을 기울였다. 아울러 가족 기능 측면에서 불균형을 보인 가족이 그렇지 않은 가족보다 글램핑 활동에 더 많은 지불의사를 나타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현재 SSCI 저널인 Tourism Management에 투고돼 심사중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글램핑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색인어
  • 글램핑, 가족 기능, 선택실험법, 선호 이질성, 지불의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