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07&local_id=10086168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윤주(한성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961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학습 한국어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내용 중심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해외 각국의 ESL, JSL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의 KSL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초·중·고등학교의 타교과 영역이나 대학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 중심 교수법 활용 교수-학습 방안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 조사 및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모든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 중이다.
  • 영문
  •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ALP program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theoretical root of this study is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ories. Then, ESL, JSL education programs,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many countries are analyzed and these analyses are followed by comparative analyses with KSL programs of South Korea. This study also conducts case study o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ses of content-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s, and college level education o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 rich implications in developing a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field research are the sources of demand analysis f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with these results and data, the enhancement of CAL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content-based instruction is underwa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초·중·고등학교의 학령기 다문화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장면에서 최근 주목받게 된 개념으로 BICS와 CALP가 있다. Cummins(1980)에 의해 주창된 개념으로, BICS는 ‘기본적 대인관계 의사소통 능력’을, CALP는 ‘인지적・학문적 언어 숙달도’를 의미한다. 통상 BICS를 갖추는 데는 2-3년 정도면 충분하지만, CALP에 숙달하려면 적어도 5-6년은 소요된다. 이러한 구분은 교과 학습을 위한 언어 학습자의 학문적 언어 능력 신장 방안과 관련한 많은 논의를 가능케 했고 다양한 교육 방안이 등장하게 된 화두가 되었으며 우리의 한국어 교육과정에는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개념으로 원용되고 있다.
    BICS와 CALP의 지원 방안으로 내용중심 교수법(CBI: Contents-Based Instruction)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Mohan(1986)에 의해 처음 주창된 언어 교수법으로 내용 학습과 언어 교육 목표를 통합한 접근법을 말한다. 즉, 언어와 교과의 내용 지식을 동시에 공부하는 것을 뜻하며, 내용 자료가 언어 형태와 언어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교수법이다.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이러한 보호 모형으로 SI, SIOP, SEI, SDAIE 등을 비롯해, 전략 학습을 위한 CALLA 모형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모형들은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우리의 초·중·고등학교 KSL 한국어 교육 현장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모형 개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 중심 교수법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우리의 초·중·고등학교 다문화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한 KSL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합한 학습 한국어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축적된 연구가 적은 편인데다 공교육 현장과 대학의 교육 현장이 서로 분리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해 초·중·고등학교 현장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한국어 향상 방안 및 학업 능력 향상 방안, 내용 중심 교수법 활용 방안,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 등에 대한 연구들을 먼저 고찰하였다. 이후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모색을 위해 초·중·고등학교의 타교과 영역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찾아본 후,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 중심 교수법 활용 한국어 교육 방안의 시사점을 추출해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의 장면에 적용할 만한 점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해외 각국의 ESL, JSL 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의 KSL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주안점을 두어야 할 학습 한국어 영역의 내용과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고민하고 내용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및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방문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다문화 배경 학생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추출한 학습 한국어 내용과 현장에 기반한 요구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Collier & Thomas(1997, 2002)의 종적 연구 결과나 Herrera & Murry(2005)의 주장 등에 기반하면, 사실 이중언어 교육 형식이 제2언어 교육 형식보다 효과적이며 그 중에서도 쌍방향 이중언어 교육 모형(Two-way development bilingual education)이 장기적으로 볼 때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다문화 배경 학생의 규모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출신 국가나 모어가 매우 다양한 학습자들이 혼재해 있는 우리의 학교 상황에서 쌍방향 이중언어 교육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모국어를 활용하는 이중언어 교육보다는 제2언어인 한국어 자체에 초점을 두는 KSL 교육 방식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는 방과 후 수업, 별반식 수업, 특별학급 수업, 이중언어 수업 등의 네 가지 유형만 시행되고 있다. 게다가 안타깝게도 미국에서 가장 효과가 낮다고 지적된 별반식 교육(pull-out ESL) 모형이 방과후 수업 모형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형이다.
    다문화 배경 학생의 규모가 점차 커지고 단일 모국어 배경의 학생이 증가하면 앞으로 좀 더 다양한 형식의 수업 모형이 개발될 수밖에 없겠으나, 현재로서는 내용 중심 교수법의 여러 모형을 활용하여 언어와 교과 내용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며 학교 및 구성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모형 적용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내용 중심 교수법에서도 서양의 논저에서 많이 언급되곤 하는 CALLA 모형이나 SIOP 모형 등을 활용한 교수 모형을 한국적 현실에 적용한 모형 개발이 시도될 만하며 이러한 모형의 현장 보급을 다양한 경로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 있는 내용 중심 교수법의 다양한 모형을 활용한 학습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은, 대학의 성인 대상 한국어 교육의 장면이나 영어 교육 분야에서 간혹 시도되었던 내용 중심 교수법을 초·중·고등학교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의 장면에 도입해 학습 한국어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이 분야에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외국 여러 나라의 사례 분석을 통해 그들의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종적 연구 및 횡적 연구의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우리의 학교 내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할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추후 이 분야 연구에 다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은 주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현장 연구나 교육대학원의 학위 논문을 통해 연구되어 왔으며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분야의 학자와 교수, 대학의 연구자들과는 분리되어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경향이 있었으나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및 다문화교육지원센터 등 실제 한국어 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기관과 현장에 밀착한 연구로 이론과 실제가 조화된 연구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모형 및 교수-학습 자료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투입,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한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 모형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교육하고 확산시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다문화 배경 학생, 학습 한국어, 내용 중심 교수법, KSL 한국어 교육과정, SIOP 모형, CALLA 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