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17&local_id=10086851
일-가정 균형의 만족에 대한 선행 요인과 결과 요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가정 균형의 만족에 대한 선행 요인과 결과 요인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안드레아(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9014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9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가정지원적인 유급휴가제도와 상사의 관리방식이 종업원들의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서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이러한 매개 과정이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내부자 인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검토하였다. 종업원과 직속상의 118개 쌍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째, 가정지원 유급휴가 제도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는 모두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가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지원적인 유급휴가 제도가 정서적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가정친화적인 리더십이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이나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은 지각된 내부자 인식이 높은 근로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는 일가정 균형 분야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종업원들이 일가정 균형에 만족하도록 만드는 방법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영문
  • This study develop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o investigate how family‐supportive paid
    leave and supervision affect employees'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and in turn their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ervisor‐dir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epending on their perceived insider status in the organization. Our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118 employee–supervisor dyads in Korean organizations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mediated the linkages from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to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ervisor‐dir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linkage from family‐supportive paid leave to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further showed that the entire mediational process for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was more
    pronounced for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an insider of their organizations, while
    the same pattern was not found for the meditational process related to family‐supportive paid
    leave. Our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work–family balance research and offer
    practical suggestions to make employees satisfied with work–family bala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가정지원적인 유급휴가제도와 상사의 관리방식이 종업원들의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서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이러한 매개 과정이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내부자 인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검토하였다. 종업원과 직속상의 118개 쌍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째, 가정지원 유급휴가 제도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는 모두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가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지원적인 유급휴가 제도가 정서적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가정친화적인 리더십이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이나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은 지각된 내부자 인식이 높은 근로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과는 일가정 균형 분야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종업원들이 일가정 균형에 만족하도록 만드는 방법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자료 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발견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지원 유급휴가 제도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는 모두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친화적인 상사의 관리가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셋째,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은 가정지원적인 유급휴가 제도가 정서적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가정친화적인 리더십이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감을 통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이나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은 지각된 내부자 인식이 높은 근로자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사항들이 갖는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일-가정 균형 만족에 대한 선행 요인과 결과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의 제공이다. 기존 연구들이 일-가정 접점에서 주로 갈등이나 강화와 같은 한 단면만 연구했으며, 이러한 단면들을 포괄하는 일-가정 균형 만족이라는 개념은 비교적 최근에 정립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일-가정 균형 만족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둔 연구 결과는 많이 보고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어떻게 하면 일-가정 균형 만족을 도모할 수 있는 지 그 선행 요인을 밝힐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져 왔다. 특히, 일의 영역(work domain)에서 어떤 요소들이 일-가정 균형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었다(Greenhaus & Allen, 2011). 본 연구 과제는 작업장에서 조직과 상사로부터 제공되는 가정친화적 지원이 근로자들의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을 도모할 수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요청 사항들을 반영하였다. 두 번째 학문적 기여는 상사가 가정친화적인 관리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규명한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일-가정 접점에서 긍정적인 경험(예, 낮은 갈등이나 높은 촉진)을 한 근로자들이 조직에게 어떤 긍정적인 도움(예, 생산적인 태도나 과업 행동)을 주는 지를 주로 고려했다. 또한, 일-가정 균형 만족에 대한 최근 연구들은 근로자 개인에게 어떤 긍정적인 결과(예, 삶에 대한 만족, 결혼에 대한 만족, 건강,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일-가정 접점에서 근로자들이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원천 중 하나가 상사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이 잘 검토하지 않았던 상사에게 발생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조사하였으며, 상사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이 그러한 긍정적인 결과가 될 수 있는 지를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 과제가 조사했던 일-가정 균형의 만족에 있어서 개인간의 차이는 선행 연구와 가장 차별화 되는 부분이며, 이론적인 시사점이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수요와 실제 사용에 있어서의 심리적 두려움에 주목하여, 지각된 내부자지위와 같은 개인간 심리 상태(psychological state)의 차이에 따라 조직 및 상사로부터 제공되는 가정친화적 지원이 일-가정 균형의 만족을 통해 조직과 상사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전반적인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서구 근로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과제가 한국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는 점도 학문적으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일-가정 균형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임을 감안하여,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비서구권 근로자들로부터 발견된 결과들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본 연구 과제는 일 중심의 직업윤리가 중요하게 인식되는 한국 근로자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되므로, 비슷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중국이나 일본의 근로자들에게도 연구 결과를 확장시킬 수 있고, 기존 서구 근로자들의 연구 결과와 비교될 수 있다.
  • 색인어
  • 가정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지각된 내부자인식,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