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25&local_id=10086243
근거이론분석을 통한 진로전환결정요인, 새로운 진로선택과정 및 진로전환유형에 관한 연구: 관광산업 종사원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거이론분석을 통한 진로전환결정요인, 새로운 진로선택과정 및 진로전환유형에 관한 연구: 관광산업 종사원을 중심으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우성(호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3417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1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진로전환은 자신의 직업결정행동의 의미를 재평가하며 자신의 이상적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 산업체에 종사했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2017년 5월까지 총 100명을 참여자 선정하여 첫째, 연령대별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며, 둘째, 진로전환을 한 사람들 중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진로전환유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진로를 결정하고 선택하였는지, 진로선택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산업체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주요원인은 20, 30대의 경우 고용환경에 대한 불만족이었으며, 40대는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진로를 전환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료의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지속적으로 비교한 후 각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정형화하여 진로전환결정 유형을 구분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 ‘대안발견형’, ‘경력활용형’, ‘자포자기형’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들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은 중재적 조건인 내적 및 외적 지지에 대해 강하게 인식한 사람들로 나타났으며, 대안발견형은 진로전환결정을 위기로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방식을 통해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활용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과 소진 등과 같은 맥락적 조건에 대해 약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이 내적 및 외적 지지와 같은 중재적 조건들에게 약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포자기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에 의해 높은 소진이나 직업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진로전환에 따라 경제적으로 어려우며, 자신감이 상실되면서 동시에 주변사람의 지지나 대처방식이 없는 사람들로 새로운 진로를 찾는 것을 포기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 및 기업차원에서 다양한 진로전환과 관련된 프로그램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 영문
  • Career transition is equipped with academic significance as it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a person’s ideal occupation by reevaluating the meaning of his or her career determination behavior. Here, in this study, total 10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e employees who had engaged in tourism industry and studied from October, 2016 until May, 2017 firstly, to figure out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by age, secondly, to examine the types of career transition in those who had succeeded or failed in career transition, and lastly, to investigate how they had decided on or chosen new career, that is,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main and common reasons why those engaged in tourism industry decided on career transition, those in the 20’s and 30’s chose dissatisfaction about the environment of employment, and those in the 40’s decided on career transit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ir futur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ypothetic standardization and relation statements of materials continuously and then standardizing relations repetitively in each of the categories and dividing the types of determination in career transition, four types were drawn as follows: the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type’, ‘alternative discovery type’, ‘career use type’, and ‘self-despair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types, the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type includes those who recognize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strongly. The alternative discovery type includes those who accept the determination of career transition as risk and succeed in startup through various coping methods by overcoming it. Also, the career use type includes those who recognize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or contextual conditions like exhaustion subtly and perceive interventional condition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vaguely, too. The self-despair type include those tend to experience much exhaustion or confusion in occupational identity on account of the determinants of career transition, face financial difficulties for career transition, lose confidence, and have no support from people around or coping methods. They often give up looking for new career.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and provide support for career transition multilaterally by the government and also enterpri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진로전환은 자신의 직업결정행동의 의미를 재평가하며 자신의 이상적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 산업체에 종사했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2017년 5월까지 총 100명을 참여자 선정하여 첫째, 연령대별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며, 둘째, 진로전환을 한 사람들 중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진로전환유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진로를 결정하고 선택하였는지, 진로선택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산업체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진로전환을 결정하게 된 주요원인은 20, 30대의 경우 고용환경에 대한 불만족이었으며, 40대는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진로를 전환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료의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지속적으로 비교한 후 각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정형화하여 진로전환결정 유형을 구분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 ‘대안발견형’, ‘경력활용형’, ‘자포자기형’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들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진로전환성공형은 중재적 조건인 내적 및 외적 지지에 대해 강하게 인식한 사람들로 나타났으며, 대안발견형은 진로전환결정을 위기로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방식을 통해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활용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과 소진 등과 같은 맥락적 조건에 대해 약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이 내적 및 외적 지지와 같은 중재적 조건들에게 약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포자기형은 진로전환결정요인에 의해 높은 소진이나 직업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진로전환에 따라 경제적으로 어려우며, 자신감이 상실되면서 동시에 주변사람의 지지나 대처방식이 없는 사람들로 새로운 진로를 찾는 것을 포기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가 및 기업차원에서 다양한 진로전환과 관련된 프로그램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첫째, 개인의 진로발달과정을 보면 전공 선택, 학교에서 노동현장의 첫 직장 선택, 노동현장에서 노동현장으로의 전환 등의 다양한 진로결정과 재결정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잘못된 진로결정 및 진로전환은 직업만족이나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진로전환이 일어나기 전 상황에서 진로전환의 발생원인을 파악하거나 새로운 진로선택 및 결정을 어떻게 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청소년 및 재직자에게 교육을 시킨다면 잘못된 진로전환이나 실패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기존 진로전환유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다만 개인의 의사결정유형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의 교육이나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상담자에게 매우 중요한 측면이라고 한다. 본 연구의 최종적인 진로전환유형은 하나의 의사결정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진로전환유형을 이론화 및 체계화 시킬 수 있다면 진로전환유형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사전에 진로전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학생이나 종사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2017년 11월 현재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인 한국관광산업학회 Tourism Research에 투고되어 심사를 받고 있어 심사가 완료되면 진로전환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근거이론분석, 진로전환결정요인, 진로선택과정, 진로전환유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