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52&local_id=10086089
STAD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독해수업에서 영어능숙도와 초인지전략과 인지전략에 미치는 효과-학습스타일별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STAD 협동학습을 활용한 영어독해수업에서 영어능숙도와 초인지전략과 인지전략에 미치는 효과-학습스타일별로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황선유(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46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는 영어능력이 우수하지 못한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장 일반화된 대학영어 독해수업에서 전통적인 독해방식과 차별화된 상호작용 접근법을 기초로 한 STAD 협동학습의 적용가능성과 학습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영어독해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후 영어독해시험과 설문지, 인터뷰를 통해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독해시험의 결과는 영어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줌으로 STAD 협동학습이 긍정적인 효과를 입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연구대성자인 중하위권 학습자 모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고 특히 협동학습이기 때문에 학습자간 정보교환에 관심이 있었고 조별로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조별목표가 있기 때문에 조원 간 의사소통하는 데 초점을 집중하고 활동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하위학습자는 자신들의 부족한 영어능력과 정보를 상위학습자에게서 제공받기위해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피드백을 받은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영어실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긍정적으로 적용가능한 독해 수업방식으로 학습자에게서 잠재적인 학습능력을 자극할 수 있는 가능성있는 방법이라고 보여진다. .
  • 영문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while 47 EFL college students were taking a basic English reading class with the two different English levels. To then end,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7 students with a variety of majors, 22 of whom were taking a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ourse combined with STAD cooperative learning. As a comparison group, 25 students were taking a traditional reading class with a teacher-initiated class. After 12-week experiment, the students of both groups were required to take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the STAD students asked to complete a survey on students’ awareness about STAD cooperative learning. First of all, the scores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STAD cooperative learning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 It means STAD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in reading comprehension. Also the results of survey said tha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STAD cooperative learning. Especially the lower level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more active to get information from their peers while reading and understanding passages, which means they were participated with their learning as well as the cooperative activity. In general, STAD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to the survey on their awareness about STAD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STAD cooperative learning have a great potential appl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영어 독해수업에서 전통적인 방식과 STAD 협동학습을 비교함으로 STAD 협동학습의 적용가능성과 학습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STAD 협동 독해수업을 마치고 영어능력을 측정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서 실험반에 적용했던 STAD 협동독해 수업방식이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시험을 어휘점수와 독해점수로 세분화하여 분석해 본 결과, 어휘점수는 실험반이 우세하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서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지문이해능력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STAD 협동독해 수업방식이 지문이해에 더 효과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협동독해수업 이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독해 중 활동에서 독해내용에 대해 조원과 의사소통이 잘 될 때가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TAD 협동학습의 특성상 협동과제가 주어지고 집단의 목표를 위해 구성원들의 협의나 의사소통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은 독해과제이기는 하지만 지문의 난이도나 단어의 수준보다는 조원과의 의사소통에 높은 점수를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에 지문에서 문장의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를 파악하지 못했을 때 가장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응답했는데 이는 독해라는 과제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문장의 구조를 이해해야만 지문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협동독해학습에 관한 학습자 인식설문지를 학생들의 영어수준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점은 영어능력이 부족하고 정보가 부족한 하위집단의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과 정보를 적극적으로 교환했고 자신들의 학습에 능동적으로 활동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들은 STAD 협동학습이 독해수업에 적합하고 유용하다고 긍정적인 응답을 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학습으로 인식하고 있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STAD협동독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학습자의 인식이나 영어실력에서의 향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STAD 협동독해 학습이 대학생의 독해수업방식으로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는 영어능력이 우수하지 못한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장 일반화된 대학영어 독해수업에서 전통적인 독해방식과 차별화된 상호작용 접근법을 기초로 한 STAD 협동학습의 적용가능성과 학습효과를 연구한 결과, 영어독해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 효과적인 수업방식으로 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수업만족도나 효율성에서도 학습자가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은 앞으로 독해수업에서 협동학습으로 다양하게 활용함으로 학습자의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주고 서로 학습을 격려하고, 특히 정보가 부족한 하위 학습자가 동료에게서 정보를 적극적으로 얻게 되고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어서 잠재적인 학습가능성도 내다 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여진다.
  • 색인어
  • 협동학습, 독해능력, 독해전략, 학습스타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