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2059&local_id=10086682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현아(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7495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에서는 통일 문법 이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미군정기 당시의 검인정 문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하여 문법 지식의 체계 구조화 측면에서 개별 문법 교과서의 문법 기술 방식 특성을 거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개별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양상을 그 논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문장 단위 문법 지식 관련 기존 연구는 특정 문법 범주에 한정된 논의라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횡적인 차원에서 특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에 주목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도 미군정기 당시의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설정과 체계를 다룬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인 교육인적자원부(2002)는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심화 선택 과목으로서의 ‘독서․문법’ 검정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되고 ‘언어와 매체’ 검정 교과서 개발이 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현대 교육과정기의 마지막 국정 교과서라는 점에서 비교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문장 단위 문법 지식과 단어 단위 문법 지식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문법 용어의 명명 방식이 형태 중심인가 통사 중심인가’의 문제에 대해 천착해 볼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article tries to conduct research with its period of interest limited to the times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nder its awareness of the fact that work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has been an important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nder the Curriculum led by the government.
    Existing research on sentence unit grammar knowledge has limitations that are limited to specific grammatical catego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grammar knowledge setting and system of sentence unit grammar of the middle school grammar bulletin at the time of the US military period in that the study of grammatical texts at a certain period is rare in the horizontal dimension.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which is a grammatical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pplied the textbooks of reading and grammar as an elective course for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he last state textbook of modern education and period at the present time.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how we can distinguish between sentence unit grammar knowledge and word unit grammar knowledge, and whether the nomenclature of grammar terms we use is form-centered or syntactic-centered. It is expected that you will be able to discover one possibility that can b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에서는 통일 문법 이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미군정기 당시의 검인정 문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하여 문법 지식의 체계 구조화 측면에서 개별 문법 교과서의 문법 기술 방식 특성을 거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개별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양상을 그 논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문장 단위 문법 지식 관련 기존 연구는 특정 문법 범주에 한정된 논의라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횡적인 차원에서 특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에 주목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도 미군정기 당시의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설정과 체계를 다룬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인 교육인적자원부(2002)는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심화 선택 과목으로서의 ‘독서․문법’ 검정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되고 ‘언어와 매체’ 검정 교과서 개발이 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현대 교육과정기의 마지막 국정 교과서라는 점에서 비교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실제 분석 과정에서는 크게 1) 문장의 성분, 2) 문장의 짜임, 3) 문법 요소, 4) 기타 차원으로 나누어, 1) 문장 성분 차원에서 (1) 관형어와 부사어 구분 문제, (2) 목적어 설정 문제, (3) 보어 설정 문제, (4) 문장 성분 배열 문제로, 2) 문장의 짜임 차원에서는 (1) 겹문장 설정 문제, (2) 안긴 절 명명 문제, (3) 명사절 설정 문제, (4) 관형절 설정 문제, (5) 부사절 설정 문제, (6) 서술절 설정 문제, (7) 인용절 설정 문제, (8)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설정 문제, (9) 문장 구조 분석 과정 이해를 위한 설명과 그림 활용 문제로, 3) 문법 요소 차원에서는 (1) 종결 표현, 2) 높임 표현, 3) 시간 표현, 4) 피동 표현. 5) 사동 표현, 6) 부정 표현으로, 4) 기타 차원에서는 고유어계․한자어계 용어 사용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 문제들 중 문법 요소 차원의 ‘종결 표현’ 문제는 교육인적자원부(2002)의 ‘문장’ 단원의 하위 항목인 ‘종결 표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 7종 중 3개 교과서는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문장’ 단원에서 다루고 있으나, 4개 교과서는 ‘단어’ 단원의 ‘용언’의 하위 항목에서 다루고 있다. 또한 ‘높임 시간 표현, 피동 표현, 사동 표현, 부정 표현’ 문제는 이러한 문법 내용을 다루는 당시 모든 교과서들이 ‘단어’ 단원의 ‘용언’ 하위 항목에서 다루고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대부분이 품사론을 중심으로 ‘문법 요소’ 설명을 부가하는 형태론 중심의 방식을 취함으로써 문장 차원에서 ‘문법 요소’를 설명하는 통사론 중심의 방식을 보이는 교육인적자원부(2002)의 문법 인식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2002)처럼 결합한 전성어미 유형에 따라 안긴 절의 명칭을 명명하는 방식과는 달리 교육인적자원부(2002)의 ‘문장 성분’처럼 절의 문장에서의 기능에 따라 명명한 방식도 있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국어교육사 연구의 심화 및 확장

    국어교육사의 종적인 차원의 논의는 ① 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 연구, ② 국어 교과서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 ③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로는 미군정기부터 5차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단원을 중심으로 고전시가 교육의 변천에 대해 다룬 유옥순(1995)가 있다. 문법 교육의 변천에 대해 다룬 연구로는 고영근(2001)과 최호철 편(2008)뿐으로 문법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가 다른 영역에 비해 소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적인 차원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이 다루어지지 못한 횡적인 차원의 논의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제재 목록을 대상으로 작가, 작품 유형, 게재 방법에 대해 다룬 최현섭(1990), 건국기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건국기의 학제와 교과서 정책 변천, 중등 국어 교과서의 발행 역사와 체재 및 내용 변화를 다룬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뿐이어서 문학 교육 영역 중심으로 횡적 차원의 국어교육사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어교육사 연구의 심화 확장 및 횡적인 차원의 문법 교육 영역 관련 논의가 확충될 수 있다.

    (2) 문법교육사 연구의 심화 및 확장

    문법 교육사 측면에서 종적인 차원의 연구로는 민족어 학교 문법의 발자취를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남한의 학교 문법, 북한의 학교 문법, 옛 소련과 중국 한인사회의 학교문법으로 구분하여 당시의 문법 체계와 문법 용어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 고영근(2001)과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체재와 구성, 체언, 용언, 수식언과 독립언, 조사, 어미, 조어법, 문장 성분, 구문도해, 음운으로 그 문법 범주를 구분하여 분석한 최호철 편(2008), 4차부터 7차까지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을 중심으로 세 가지 핵심 부분인 ‘문장성분, 문법요소, 문장의 짜임’으로 나누어 교과서의 기술 내용을 분석적으로 검토한 김은성․박재현․김호정(2008)이 있다.
    그러나 문법 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의 연구는 미군정기 중등 문법 교과서를 사적으로 고찰해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오현아(2012)와 실제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조사 관련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를 시도한 오현아(2013)에 그치고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문법 교육사 연구를 심화 확장할 수 있다.

    (3) 특정 시기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설정과 체계 논의의 확장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측면에서 종적인 차원의 연구로는 광복 이후 학교 문법과 관련하여 시기를 구분하여 각각의 시기에 나타난 문장 성분 연구를 검토한 우형식(2002), 중, 고등학교 학교 문법 통일을 다룬 정달영(2005), 1차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학교 문법에서의 연결 어미와 부사형 어미를 다룬 이은경(2010), 외솔문법이 학교문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이관규(2014) 등이 있다.
    그리고 횡적인 차원의 연구로는 학교문법에서의 보어 문제를 다룬 양명희(2006), 문장 성분과 짜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한 최규수(2007), 겹문장 체계 기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최재희(2011)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특정 문법 범주에 한정된 논의라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횡적인 차원에서 특정 시기의 문법 교과서에 주목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미군정기 당시의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를 다룬 본 연구는 특정 시기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문장 단위 문법 지식 체계 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국어교육, 문법교육,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 문법 지식 체계, 문장 단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